메뉴

중국 안팎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에 우려 제기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는 지난주 '제로 코로나' 정책에 불만을 제기하는 세력과 전쟁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4월 중국의 수출 증가율이 전월의 14.7%보다 10%포인트 이상 떨어진 3.9%를 기록하는 등 강력한 봉쇄 방역으로 인한 경제 피해가 커지면서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한 우려가 중국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11일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의 저명 경제학자인 쉬젠궈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 교수는 지난 7일 제로 코로나 정책이 중국 경제를 망가뜨리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쉬 교수는 상하이, 선전, 쑤저우, 베이징 등 주요 도시들이 전면 또는 부분 봉쇄되면서 올해 성장률 목표인 5.5%는 물론 2020년 성장률인 2.3% 달성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당국의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으로 경제 활동에 차질을 빚은 인구가 1억6000만 명에 달하고 경제 피해액은 18조 위안(약 3400조 원)에 달할 것"이라며 "현재 경제를 냉각시키는 주된 원인은 사회적 자금 조달이나 통화정책 이슈가 아닌 제로 코로나 정책에 있다"고 강조했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도 10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중국의 강력한 봉쇄를 기반으로 한 제로 코로나 정책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했다.

또한 "제로 코로나 이외에 더 좋은 대처 수단이 있기에 중국은 전략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테드로스 사무총장의 지적에 대해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무책임한 발언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일축했다.

자오리젠 대변인은 "제로 코로나는 수많은 사망자 발생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역 정책이며 중국 정부는 어떤 어려움이 있건 승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