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e-CNY)로 소비지원금을 지급키로 했다.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 사용 범위를 더욱 넓히고 나선 것이다. 디지털 위안화는 중국 인민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CBDC)로 2019년 말부터 베이징, 상하이 등 여러 대도시에서 시험 운영이 진행돼왔다.
일반 시민들이 참여해 온·오프라인에 걸쳐 사용 가능 영역을 대폭 확대되면서 시범 도시에서는 사실상 정식 도입에 가까워진 상태다.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의 국내외 상용이 이뤄지면 세계 첫 디지털화폐가 된다.
디지털 화폐에서는 실질적인 기축 통화 역을 하겠다는 중국의 야심찬 계획이 현실화할 지 주목된다.
인민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으로 디지털 위안화 전자지갑, 디지털 위안화 사용 가능 장소는 각각 2억6000만 개, 800만 곳을 넘겼고 누적 거래액은 875억 위안(약 16조 원)에 달했다.
31일 로이터통신은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봉쇄 방역으로 침체된 가계 소비와 기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각지 주민들에게 디지털 위안화를 소비지원금을 지급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최근 베이징 인근의 신도시 허베이성 슝안(雄安)신구 당국은 주민들에게 디지털 위안화 총 5000만 위안(약 92억5000만 원) 지급에 착수했다.
또 광둥성 선전(深圳)시 당국도 30일부터 총 3000만 위안(약 55억5000만 원) 상당의 소비지원금을 디지털 위안화로 나눠주고 있다.
선전에서는 추첨을 통해 디지털 위안화를 받은 뒤 온·오프라인에서 소비할 수 있고 슝안신구에서는 식료품·가전제품·가구 등을 살 수 있다.
중국 당국은 이번 지원금 지급으로 소비를 진작시키고 디지털 위안화 사용을 더욱 홍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정부가 과거에 보조금을 줬을 때는 수혜자에게 도달하기까지 장애물이 있었지만, 디지털 위안화를 쓰면 수혜자에게 바로 지급해 투명성이 개선돼 향후 연금이나 재정 보조금 등 지급에서도 디지털 위안화 사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디지털 위안화의 경우 보유자와 사용자에 대한 중앙 통제가 완벽히 이뤄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탈중앙화'에 극으로 반대되는 개념이어서 사용이 확산할 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일부는 '중앙집중화'의 영향으로 현 현금과 병용돼 서로 보완 역할을 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점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어차피 노출이 되는 카드 사용 등의 영역을 디지털 화폐가 대체하는 데 그칠 것이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