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뼈에서 살을 발라내는 아픔,이별의 별(別)



 

단장의 고사는

아기를 잃은 어미 원숭이의 이야기다.

 

아기 원숭이가 잡히자,

어미가 따라 오며

울다 울다

결국 죽고 말았는 데,

 

죽은 어미 원숭이의

그 가슴을 열어보니

 

너무 깊은 슬픔에

오장육부가

마디마디

끊어져 있었다는 이야기다.

 

짧지만 이처럼

혈육 간 이별을 표현한 글이 있을까.

 

그래서 나온 표현이 

단장, 

장이 끊어졌다는 

말이다.

 

단장의 슬픔이

단장의 아픔이

바로

이별의 슬픔요

아픔인 것이다.

 

애달픈 것은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

이 아픈

이 슬픈

단장의 이별을

약속 받는다는 점이다.

 

그게 삶이다. 

 

삶은 얻었다

잃는 것이다.

 

차면 기우는 달처럼

만났다 헤어지는 게

바로 우리네 삶이다.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

노랫말

그대로다.

 

우리는 매일

너무 살갑고 익숙한

너무도 사랑하는

오늘의 너와

너희와

이별하고 있다.

 

갑골자 별(別)은 이런 이별의 아픔을

하나 틀림없이 그려낸다.

 

뼈에 붙었던 살점을

칼로 뜯어내는 모습이다.

 

뼈에서 살이 떨어지는 아픔,

그게 바로 이별의 별이다.

 

단장의 고사,

이별의 아픔,

별(別)이라는 한자는 

그렇게 담고 있는 것이다.

 

뼈에서 살을 발라내는 것,

내게서 너를 떼어내는 것,

그래서 

너무도 아픈 것

아파서 

잊을 수 없는 것

 

바로 이별인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