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중국인들은 대부분이 은행을 찾기보다 집의 은밀한 곳에 돈을 숨겨뒀다. 아끼고 아껴서 훗날을 대비하는 생활 습관, 한 때 일반적인 중국인들의 상징적인 모습이었다. 개혁개방으로 중국이 부유해지면서 과거 자린고비 같은 이미지보다, 낭비하고 허세를 떠는 중국인들의 이미지가 더 강해졌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세계에서 저축을 많이 하는 나라 중 하나가 중국이다. 오늘날 중국의 부가 일확천금의 벼락부자라기 보다, 꾸준한 저축을 기반으로 일군 알찬 부유라는 의미다. 그럼 중국의 수많은 도시 가운데 부가 집중된 곳은 어느 곳일까? 이러한 궁금증에 대해 일반적으로 GDP를 보라고 하지만 사실 GDP에는 거품이 많이 껴 있어 수치상으로는 알 수 없는 진짜배기 정보가 궁금하다. 지난해 11월 기준 저축액(예금잔고)를 통해 중국의 진짜 부자 도시 Top 5를 알아보았다. 1위 쑤저우 2위 포산 3위 우시 4위 둥관 5위 원저우 1위를 차지한 쑤저우는 중국의 1선 도시로 GDP도 상당히 높고 저축액도 1위라 다른 도시를 압도하는 수준이다. 게다가 도시 성장률도 12%에 달한다. 경기가 다소 침체되었을 때조차 쑤저우의 저축액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쑤저우의 강력한
판매 회사는 하나지만, 소비자들은 전국에 있다. 판매 회사는 한 제품을 각 소비자들에게 고르게 같은 경비를 들여 제공하려 하지만, 물류에 따른 비용과 유통기간의 차이를 어쩔 수 없이 발생하게 된다. 중국처럼 땅이 넓은 나라일수록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다르기 마련이다. 결국 중국 전역에 어떤 유통망을 구축하고 판매에 나서냐에 소비자 만족도 역시 달라지게 돼 있다. 중국 소비자들의 지역별 만족도는 어떻게 다를까? 중국소비자협회(中国消费者协会)가 '2023년 중국 100개 도시 소비자 만족도 평가 보고서'를 13일 발표했다. 그 중 Top 10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 우시 2위 항저우 3위 푸산 4위 쑤저우 5위 칭다오 6위 옌타이 7위 선전 8위 난징 9위 베이징 10위 이창 장쑤성 우시가 종합 평점 93.08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꼴찌(100위) 자리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하미(71.72점)에게 돌아갔다. 우시 이외에 상위 10개 도시에는 항저우, 푸산, 쑤저우, 칭다오, 옌타이, 선전, 난징, 베이징, 이창 등이 포하됐다. 2023년 100대 도시 종합 소비자 만족도 평균 점수는 79.92점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국소비자협회는 올해로 7년 연속
세계 인공지능(AI) 투자를 보면 글로벌 미래 파워가 보인다. AI는 인류의 미래를 바꿀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24시간 쉬지 않고 쏟아지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학습한 AI는 인류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으며, 미래 인류 사회 모습을 바꿀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AI 기술 투자에서 미국과 중국이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주목된다. 산업연구원(KIET)이 13일 발표한 'AI 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국가별 AI 민간 투자 누적액 1, 2위는 미국(2489억 달러)과 중국(951억 1000만 달러)이 차지했다. 미국은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같은 빅테크 기업 중심의 민간 투자가 AI 분야 혁신과 인력양성을 주도한 것으로 평가됐다. 2022년 기준 전 세계 AI 투자액 919억 달러 중 51.6%인 474억 달러를 미국 민간 부문이 달성했다. 중국은 국가 주도로 학제 중심의 연구개발을 지원하며 고급 AI 인재 양성 가속화 전략을 추진해 뚜렷한 연구개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2021년 기준 중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AI 논문 등재 실적의 39.8%, 저널 인용
'세계 3위' 영국 한 컨설팅 회사가 발표한 중국의 소프트파워 브랜드 글로벌 순위다. 이 회사가 정의하는 소프트 파워는 한 나라가 다른 나라를 강압이 아닌 매력으로 설득할 수 있는 능력 지수다. 글로벌 무대 중국의 영향력이 그만큼 커졌다는 의미다. 물론 강압이냐, 매력이냐에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중국의 영향력 자체다. 실제 중국이 강력한 경제력을 무기로 국제 무대에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는 사례가 커지고 있다. 이는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게 만드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국의 브랜드 컨설팅 업체 '브랜드 파이낸스'가 '2024 글로벌 소프트파워 지수(Global Soft Power Index)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순위는 세계 100여개국 17만 명을 대상으로 유엔 회원국 193개국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집한 후 계량화 작업을 거쳐 도출됐다. 총 55개 항목에 걸쳐 193개 국가에 대한 각각의 점수를 매겨 합산하는 방식으로 평가가 이뤄졌다. 상위 Top 10 국가는 다음과 같다. 1위 미국 2위 영국 3위 중국 4위 일본 5위 독일 6위 프랑스 7위 캐나다 8위 스위스 9위 이탈리아 10위 아랍에미리트 중국은 전년 대비 소프트파워
게임은 미래 가장 주목 받는 산업 가운데 하나다. 현 젊은 세대를 흔히 모바일 인류, 동영상 인류라고 부른다. 어려서부터 TV, 게임 등을 통해 동영상을 접하고 살면서 자연스럽게 일상이 동영상에 익숙해져 있다. 미래의 인류 역시 매순간 동영상을 접하고, 게임을 즐길 것이 자명하다. 모바일 인류, 동영상 인류가 가장 많은 곳이 바로 인구 대국 중국이다. 중국은 본래 무협지의 나라다. 영국 등 유럽이 마법사의 나라라면, 중국은 무협지의 나라인 것이다. 세계 최대 게임시장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중국 모바일 게임 업체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모바일 시장 평가 업체인 데이터에이아이(data.ai)가 올해 2월 중국 게임업체 및 앱의 해외 매출 순위 Top 30을 11일 발표했다. 그 중 Top 5는 다음과 같다. 1위 뎬뎬후동(点点互动, Century Games) 2위 미호요(米哈游, MiHoYo) 3위 원펀(Onefun) 4위 조이넷게임(Joy Net Games) 5위 텐센트(腾讯, Tencent) 1~2위를 차지한 뎬뎬후동과 미호요는 2월에 각각 1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는데 이는 전년 동월
'94% 증가' 지난 5년간 유럽 국가들의 무기 수입 증가폭이다. 거의 두 배가량 늘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 국가들이 국방력 강화에 적극 나선 것이다.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국도 늘고 있다. 러시아는 나토 견제 차원에서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는데, 결과적으로 나토 역량만 키워준 꼴이 되고 있다. 스웨덴 싱크탱크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11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9~2023년 전 세계 무기 거래량은 2014~2018년에 비해 3.3% 줄었지만, 유럽 국가들이 수입한 무기 총액은 94% 늘었다. 우크라이나는 같은 기간 무기 수입 측면에서 세계 4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30개국이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고 대량의 무기를 공급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 세계 무기 수출의 42%를 차지하는 미국의 무기 수출은 지난 5년 동안 17% 증가했다. 지난 5년 동안 유럽이 수입한 무기의 55%가 미국에서 수입되었는데 이는 이전 5년보다 35% 증가한 수치이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는 보고서에서 "미국이 전례 없는 규모로 더 많은 국가와 지역에 막대한 무기를 수출
글로벌 시장조사 및 컨설팅 업체 SNE리서치가 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 글로벌(중국 제외) 판매 전기차(EV, PHEV, HEV)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은 319.4GWh(기가와트시)로 전년 동월 대비 43.2% 성장했다. 업체별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순위는 중국 CATL(宁德时代, 닝더스다이)가 전년 동월 대비 28.5%(5.7GWh)의 고성장세로 선두 자리를 차지했다. SNE리서치는 CATL가 중국 이외 시장에서도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 테슬라 Model 3/Y(중국산 유럽, 북미, 아시아 수출 물량)를 비롯하여 BMW, MG, Mercedes, Volvo 등 메이저 완성차 OEM 차량에 탑재된다고 밝혔다. 국내 3사 배터리 업체도 모두 Top 5 안에 포함됐다. LG에너지솔루션이 전년 동월 대비 28.5%(5.4GWh) 성장하며 2위에 올랐고, 삼성SDI(44.2%, 2.5GWh)와 SK On(19.5%, 2.1GWh)이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국내 3사의 전체 점유율은 전년 동월 대비 0.1%p 하락한 44.7%를 기록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국내 3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성장의 요인으로
AI(인공지능)은 인류의 미래를 바꿀 가장 중요한 기술 가운데 하나다. 인류 사회는 서로 같이 살아가며 서로 경쟁도 하고, 서로 협력도 한다. 하지만 매순간마다 선택을 강요받는다.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한 사회의 모습이 달라진다. 행복과 불행이 갈리기도 한다. 성공과 실패가 나뉘기도 한다. 선택의 순간에 보다 나은 정보가 있다면, 보다 나은 판단을 할 수 있다면, 그 사회 구성원들의 미래가 달라진다. AI는 한 사회의 모습을 바꿀 수 있는 도구인 것이다. 쳇GPT가 환영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미국이 AI 상업화에 가장 먼저 나섰지만, 한국은 물론 일본 중국 역시 AI기술 확보에 적극적이다. 특히 미국과 첨단기술 경쟁에 나서고 있는 중국은 이미 자체 빅데이터를 학습시킨 AI로 미국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 신일선성시연구소(新一线城市研究所)가 '2023년 AI(인공지능) 산업 체인 발전 지수 순위 Top 20'을 최근 발표했다. 상위 10개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 선전 100 2위 베이징 80.12 3위 상하이 74.65 4위 항저우 44.37 5위 광저우 38.28 6위 쑤저우 33.26 7위 우한 30.49 8위 난징 30.00 9위 허페이 29.78
물가와 소득은 동전의 양면이다. 소득이 늘어나도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면 실질 소득은 감소한다. 물가에 맞춰 소득이 올라줘야 진정 소득이 늘어난 것이다. 이에 국가 경제에서 물가 관리는 경제 성장을 위해 소득을 늘리는 것보다 중요하다. 대략 2%의 물가 상승을 가장 안정적인 모양새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소득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물가 역시 빠르게 치솟은 도시들이 있다. 이런 도시의 생활은 저소득층에게는 견디기 힘들 정도다. 그럼 글로벌 주요 도시들 가운데 어느 도시의 물가가 가장 높을까?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글로벌 경제 분석 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전 세계 주요 도시 173곳의 생활비를 비교한 물가보고서 ‘월드와이드 생활비 2023(Worldwide Cost of Living Survey 2023)’을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주요 도시들의 생활비는 공급망 차질 완화에도 불구하고 평균 7.4% 상승했다. 생활비가 많이 들어가는 Top 10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공동) 싱가포르, 취리히 3위(공동) 제네바, 뉴욕 5위 홍콩 6위 로스앤젤레스 7위 파리 8위(공동) 텔아비브, 코펜하겐 10위 샌프
무슨 이유일까? 중국 항공사들이 글로벌 안전 평가 순위에서 상위 25개 항공사에 한 곳도 포함되지 못했다. 중국은 미국처럼 항공이 국내 주요 이동 수단으로 꼽히는 나라다. 한국만해도 제주도를 갈 때를 제외하고는 국내 이동에서 항공은 항상 도로 이동에 비해 뒷전이다. 그만큼 국토가 좁은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의 항공사인 대한항공은 상위 25개 안전 항공사로 꼽혔다. 일본의 경우는 일본항공 등 2곳이 포함됐다. 글로벌 항공사 평가 웹사이트 에어라인레이팅닷컴(AirlineRating.com)이 '2024년 가장 안전한 항공사 상위 25개'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전 세계 385개 항공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도 종합평가의 결과이다. 9가지 지표(항공기 사고 기록, 정부 감독, 운항 안전 절차, 조종사 훈련, 항공기 유지 보수, 기내 안전, 제품 혁신, 환경 영향 등)을 평가해 글로벌 항공사들의 안전도를 7단계로 나누고 수치화했다. 가장 안전한 항공사로 평가받은 상위 25개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에어뉴질랜드, 콴타스항공, 버진오스트레일리아, 에티하드항공, 카타르항공, 에미레이트항공, 전일본공수, 핀에어, 캐세이퍼시픽항공, 알래스카항공, SAS, 대한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