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비 지출 세계 2위. 바로 중국이다. 16년째 부동의 2위를 유지하고 있다. 1위는 당연히 미국이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군사력을 유지하기 위해 세계 어느 나라보다 많은 국방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실 미국의 국방비 지출은 좀 다른 면이 있다. 막대한 경비가 연구개발(R&D)에 쓰인다는 점이다. 단순한 재래식 살상 무기 개발에만 국방비가 지출되지는 않는다. 미국은 그 덕에 수많은 첨단 기술을 개발했고, 그것을 전략무기에 이어 비군사 분야로 확대 상용화하는 방식으로 글로벌 기술 혁신을 주도해왔다. 이제 중국이 비슷한 방법으로 국가적 기술 개발을 국방비 항목으로 해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이 미국보다 많은 돈을 우주 무기 등 기술 개발에 쓰는 게 가능한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지난해는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전세계적인 안보 우려로 글로벌 군비 증강 경쟁을 가속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서방과 러시아의 대리전 양상을 보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탈(脫)냉전 시대가 끝나고 신(新)냉전 시대가 본격화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각국이 새로운 안보 환경에 맞춰 장기적인 목표 속에서 군사력 강화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클라우딩 컴퓨팅은 4차 산업, IT체계의 완성에 필수적이다. 클라우딩 컴퓨팅을 통해 통신 사물들에게 작동 명령을 내리고 상황에 맞춰 통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 네이버 지능형 사옥이다. 네이버 사옥에 수많은 로봇들은 이른바 깡통이다. 로봇 내부의 자체 통제 프로그램을 돌리는 게 아니라 통신으로 접속된 클라우딩 컴퓨팅을 통해 통제받는다. 값싼 로봇을 대량으로 움직일 수 있어 가성비가 좋다. 개별 로봇의 크기 한계에 따른 컴퓨터 성능의 한계도 클라우딩 컴퓨팅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슈퍼컴퓨터를 동원해 클라우딩 컴퓨팅을 하면 작은 깡통 로봇 모두가 슈퍼컴퓨터의 명령에 따라 기능하게 된다. 슈퍼컴 로봇들이 되는 것이다. 현재 클라우딩 컴퓨팅은 데이터베이스로 활용이 높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는 지난 10년 동안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가장 큰 발전을 이뤄냈다. 이러한 추세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중화와 함께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현재 세계 데이터베이스 시장 수익은 전체 소프트웨어 시장의 18.4%에 달하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는 그 중 68%를 차지했다. 최근 발표된 2022년 중
'6조1800억 위안' 한화로 1173조 4584억 원 가량이다. 지난해 중국의 농업분야 500대 기업 영업이익 총액이다. 전년 대비 1. 44%가 늘었다. 증가율은 미미하지만 농업 분야의 이익 증가여서 주목된다. 한국도 그렇지만 농식품 산업의 이익률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소비자들의 입맛이 그만큼 고급이 된 탓이다. 유기농 상품의 경우 생산 비용이 많이 들고, 유통과정에서도 까다로운 위생이 요구된다. 가공 식품 분야 역시 마찬가지다. 맛을 물론이고 보다 좋은 영양소로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중국에서는 여전히 이 점에서 글로벌 선진국 수준을 맞추지 못하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의 농업 관련 기업들의 위생 불신이 여전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농업 분야 기업들은 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영업이익 증가는 그 같은 상황에서 일궈낸 것이다. 무엇보다 중국 시진핑 정권은 집권이래 부농을 일궈내기 위한 고부가가치 농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 신랑망(新浪網·시나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 500대 농업 관련 기업 중 연간 매출 500억 위안 이상을 달성한 상위 5개 기업은 다음과 같다. 1위 영휘초시
불과 10여년전만해도 중국의 공공버스는 지저분했다. 당장 베이징은 중국의 수도여서 공공 이동 서비스가 가장 발달했다고 하는 곳인데도 버스들이 대체로 지저분했다. 이용객이 너무 많아 제대로 관리가 어려운 듯 보였다. 대중교통의 발달보다 사적 영역인 자가용 시장이 빠르게 성장했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주의 구분할 것 없이 대중교통의 숙제라고도 할 수 있다. 실제 사회 인프라는 민간 자본이 들어가 운영할수록 효율성이 높아진다. 이에 공익성을 보충해주는 수준으로 운영되는 게 정답인지 모른다.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이다. 한국의 대중 교통은 세계적인 수준인데, 민간에서 시작해 공익성을 더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개선됐다. 물론 공익성 탓에 버스 운영 업체의 수익을 세금으로 담보해줘야 한다는 문제는 여전히 개선점이다. 중국의 대중 교통은 중국 경제의 성장과 함께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중국내 버스 생산 업체들의 양적, 질적 성장도 대중 교통 발전의 바탕이 됐다. 중국이 사회주의 국가로서 공공영역의 서비스 개선에 성공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내 버스 판매량이 5만1974대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43.89% 증가한 것으로이 대형버스가 18.41%,
중국 최대 정치 이벤트인 3월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인민정치협상회의)'가 도래했다. 특히 올해 양회는 시진핑 정권 제3기 내각의 진용을 볼 수 있어 세계인의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 시민들에게는 그저 볼거리일뿐이다. 베이징 시민들에게 양회로 인한 유일한 혜택은 '맑은 공기'라는 소리마저 나온다. 양회 때면 중국 당국이 맑은 하늘을 만들기 위해 베이징 주변의 제조업 생산을 제한하기 때문이다. 올해도 예외가 없다. 중국 정부가 내달 4일부터 일주일간 열릴 양회를 앞두고 베이징에서 150㎞ 떨어진 탕산시의 각 기업에 생산 제한을 지시했다. 27일 블룸버그통신은 철강산업 중심지인 탕산시의 각 기업들이 26일부터 2단계 비상 대응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탕산시의 이런 조치는 지난 26일부터 개막한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2중전회) 직전에 나왔다. 세계의 이목이 쏠리는 양회가 베이징의 맑은 날씨 속에 치러지도록 함으로써, 중국 당국이 기후변화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려 한다는 분석이다. 대기오염에 따른 스모그 현상이 잦아 중국 당국은 매년 양회 기간 전후에 베이징과 주변 도시의 공장 가동
'차박' 여행을 떠날 때 타고 간 차에서 하루 자고 오는 것을 말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레저 문화다. 일반 숙박시설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감염 우려가 적다. 또 이것저것 요리를 해먹는 아기자기한 맛도 있다. 차박이 유행하면서 자동차 역시 이에 맞춰 변화를 거듭했다. 소비자들이 직접 내부 구조 변경 등을 하는 경우도 많아지면서 성인 두 명이 차 안에 누워 잘 수 있는 공간을 갖춘 차량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대부분 차박에 적합하지만 가격이 비싼 게 단점인 SUV 이외에 다양한 목적에 부합하는 다목적차량(MPV, Multi-Purpose Vehicle)이 새롭게 부각됐다. 한국 뿐 아니라 중국도 마찬가지다. MPV의 인기가 갈수록 치솟고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国汽车工业协会)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첫 해인 2020년 2531만 대까지 하락했다가 2021년 2628만 대, 2022년 2718만 대로 다시금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발표된 지난 1월 기준 MPV 판매량 순위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광치도요타(广汽丰田) 2위 상하이GM(上汽通用) 3위 광치승용차(广汽乘用车) 4위 비야디(比亚迪股份
한 세대 전만해도 중국의 대표 음료는 차였다. 하지만 중국인의 식생활이 갈수록 서구화하면서 유제품 소비가 세계 최대 수준에 이르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서구식 제빵이 인기를 끌면서 우유 소비, 크림 소비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사실 우유의 부드러움을 극대화한 크림류는 달콤하면서 부드러운 식감의 최고봉이다. 사실 누구라도 한 번 맛보면 빠질 수밖에 없는 식감이다. '크리미'라는 용어가 일상에서 부유와 부드러움을 상징하는 대명사가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크리미한 식생활에 중국인들이 갈수록 빠져들고 있는 것이다. 지난 1월 기준 중국의 유제품 관련 데이터가 발표됐다. 중국내 유제품 브랜드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멍뉴(蒙牛) 2위 이리(伊利) 3위 싼위안(三元) 4위 트룬쑤(特仑苏) 5위 런양이터우뉴(认养一头牛) 6위 광밍(光明) 7위 왕왕(旺旺) 8위 더야(德亚) 9위 안쟈(安佳) 10위 군러바오(君乐宝) 1위는 세계 10대 유제품 기업의 하나인 멍뉴(蒙牛)가 차지했다. 사실 멍뉴는 역사가 20여 년에 불과하다. 중국 유제품 시장의 성장세를 타고 순식간에 세계적인 브랜드가 됐다. 지난 2020년에는 호주 유제품 업계 2위 '라이언데어리 앤드 드링
천하를 유람하는 일, 자금성은 반드시 보겠다는 각오. 중국인들의 버킷리스트는 대체로 여행과 관련이 깊다. 워낙 땅이 넓어 곳곳에 볼거리가 많은 때문이다. 지역별 문화 차이도 커 마치 이국을 여행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지역별로 남아있는 문화유물의 시기도 달라, 중국을 여행하는 것은 마치 시간여행을 하는 듯한 흥미로움을 안겨준다. 이러한 여행친화적인 환경으로 인해 자연히 중국인들은 여행을 좋아하는 DNA를 갖게 됐다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다. 어쨌든 그 덕에 중국인들은 세계 곳곳에서 중시되는 여행객이 되었다. 중국이 코로나 봉쇄 정책을 풀고 다시 해외 여행에 나서면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관광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들썩거렸을 정도다. 중국내 상황도 마찬가지다. 베이징은 물론 계림 등 주요 관광지들이 다시 북적일 기대감에 부풀어 올랐다. 중국관광연구원이 최근 '2022년 전국 관광객 만족도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중국 도시별 관광객 만족 순위를 비롯해 전국 관광객 만족도 종합지수, 2020~2022년 주요 공휴일 전국 관광객 만족도 종합지수 등이 포함됐다. 2022년 관광객 만족 도시 순위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항저우 2위 칭다
4차 산업 시대에 접어들면서 세계의 기업들은 제조 전문 대기업과 기술 개발의 랩(Lab)형 기업들로 양분되고 있다. 과거의 중소기업은 말 그대로 작은 규모의 소비재나 BTB 산업의 일정 라인을 제공하는 도급 형태 기업들이었다. 하지만 21세기에 들면서 말 그대로 강하지만 작은 '찐' 소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른바 '유니콘 기업'으로 불리는 이들 '찐' 소기업들은 필요에 의해서 얼마든지 규모를 키울 수 있다. 아마존이 그랬고,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 챗GPT를 선보인 오픈AI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이러한 '찐' 소기업들을 확보하느냐는 이제 한 나라의 국운이 달린 중차대한 일이 됐다. 21일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제2회 전국 중소기업 발전 환경 포럼'이 개최됐다. 이번 포럼에서 발표된 '2022년 중소기업 발전 환경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도시별 중소기업 발전 환경 종합 평가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선전 79.42점 2위 상하이 76.64점 3위 난징 71.11점 4위 광저우 70.96점 5위 베이징 70.60점 6위 항저우 67.31점 7위 샤먼 65.27점 8위 닝보 58.99점 9위 창사 57.95점 10위 칭다오 57.50점 선
네 바퀴로 굴러가는 게 자동차다. 두 바퀴로 굴러가는 게 자전거, 오토바이로 대변되는 이륜차다. 아직 도로 위의 이동기구는 모두 바퀴로 이동이 이뤄진다. 언젠가는 이 공식도 깨지겠지만, 아직까지 인류가 만든 도로 이동 방식의 최적은 바퀴다. 타이어는 이 바퀴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휠을 감싸 공기 저항부분을 만들어 도로에 최적으로 마찰해 이동하도록 도와준다. 이 바퀴가 얼마나 팔렸느냐 하는 것은 한 국가의 자동차 산업, 모빌리티 산업이 어느 정도 규모인지를 보여주는 척도다. 특히 타이어는 내구성, 강도 등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글로벌 자동차 타이어 시장에서 누가 강자인지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구도를 보는 관점이 된다. 미국 '타이어 비즈니스(Tire Business)'가 최근 '2022년 글로벌 타이어 75대 기업 순위를 발표했다. 상위 75개 기업의 2021년 기준 매출액은 총 1775억 달러로 2020년 대비 17.3% 증가했다. 상위 10개 기업의 매출이 전 세계 타이어 기업 매출의 약 60%를 차지했다. 1위 미쉐린(Michelin), 프랑스 2위 브리지스톤(BRIDGESTONE), 일본 3위 굿이어(Goodyear), 미국 4위 콘티넨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