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도로가 늘어나는 자동차에 몸살을 앓고 있다. 1~6환까지 순환도로를 만들어 차량 유량을 조절하고 있지만, 늘어나는 차량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이미 인구가 2천300만 명에 이른다. 1가구 1차는 물론이고 1가구 2차량의 집도 늘고 있다. 차량이 급증하면서 공기오염과 교통체증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것이다. 베이징시가 꺼내든 카드는 번호판 발급을 제한이다. 사실 베이징시는 진작이 이 카드를 활용하고 있지만 그 카드마저 늘어나는 차량에 제대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차량 5부제에 버스전용 차로까지 도입했지만 '교통지옥'은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다. 당장 주차장 역시 문제다. 베이징시내 주차장 비가 갈수록 비싸지고 있다. 교통문제, 주차문제는 베이징시만의 문제도 아니다. 상하이(上海) 등 1선 도시들뿐만 아니라 2선, 3선 도시까지 전염병처럼 문제가 확산되고 있다. 베이징과 청두(成都), 충칭(重慶), 상하이, 선전(深圳), 쑤저우(蘇州) 등 6개 대도시 차량은 이미 400만대가 돌파한지 오래다. 중국 전체의 차량 수는 지난 6월 말 2억9천200만대에 달했다. 올해 상반기에 신규 등록된 자동차만 1천414만대에 달한다. 이는
중국 당국 사교육 기관들의 이윤 추구 행위를 금지했다. 기업공개(IPO) 등 자금조달도 막았다. 25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중앙판공청과 국무원 판공청은 전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의무교육 단계 학생들의 숙제 부담과 학원 수업 부담의 경감에 관한 의견'을 발표했다. 사교육 행위를 억제하겠다는 게 이번 발표의 골자다.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을 줄여 보겠다는 것이다. 바닥까지 떨어진 낮은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편이기도 하다. 중국의 사교육 시장은 1천200억 달러(약 138조 원) 규모로 추산된다. 중국도 대단히 교육을 중시하는 나라다. 사교육은 매년 과열 양상을 보여준다. 이번 규정에 따르면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해당하는 의무교육 단계에서 이른바 '학과류' 즉, 체육과 문화예술 등을 제외한 학과 수업과 관련한 사교육 기관은 일괄적으로 비영리 기구로 등록된다. 사교육 기관이 영리 추구 행위가 금지된 것이다. 다만 신규 허가가 금지된다. 기존 업체들이 기존에 있는 시장을 나눠먹는 형국이 조성된 것이다. 온라인 교육업체도 등록제가 허가제로 바뀐다. 기존 업체에 대해서는 전면 조사를 거쳐 다시 허가받도록 했다. 새 규정은 또 사교육 기관이 IPO로 자금을
중국의 코로나 백신 접종자가 15억 회분을 넘겼다. 중국산 백신이기만 접종 숫자만으로는 집단 면역에 거의 육박하는 수치다. 24일 인민망(人民網)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까지 본토 내 누적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15억760만5천회분을 기록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중국 내 코로나19 백신이 당초 목표대로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며 이 같은 수치를 공개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달 시노팜(중국의약)과 시노백(커싱·科興) 코로나19 백신의 3∼17세 대상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현재 중국에는 지난 20일부터는 수도 베이징시 등 중국 주요 도시 전역에서 12~17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진행하고 있다. 인구 14억명의 중국은 올해 연말까지 대상자의 70%까지 접종한다는 계획이다. 중국 언론들은 '코로나19 만리장성 구축'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서구 여러 국가들은 중국산 백신의 효능을 불신하며 접종 대상으로 여기지 않고 있다. 러시아산 백신도 이미 다양하게 출시됐지만, 서방 각국에서는 불신해 접종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당국은 중국산 백신에 대해 분명한 확신을 내비치고 있다. 최근 난징에서 돌파감염이 있었지만, 중국 보건
세계 부호들의 우주여행 상품화 경쟁으로 우주관광 상품이 본격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에서 향후 우주관광 비용이 3만~5만 달러(약 3천457만~5천761만원)가량으로 낮아질 것이라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주장을 한 이는 중국 민간 우주기업 싱허둥리(星河動力)의 창업자 겸 CEO 류바이치(劉百奇)다. 22일 중국매체 중신징웨이(中新經緯) 등에 따르면 류바이치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우주 관광비용은 더욱 낮아져 일반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류바이치의 싱허둥리는 2018년 설립됐다. 이 회사는 재활용이 가능한 상업용 운반로켓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국 민간기업 가운데 최초로 로켓을 발사하기도 했다. 현재 우주관광은 세계 부자들의 경쟁영역이다. 앞서 영국의 억만장자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은 지난 11일(현지시간) 고도 86km 상공까지 관광을 했다. 고도는 낮지만 세계 첫 우주 관광자를 기록을 세웠다. 이어 세계 최고 부자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이사회 의장은 20일 고도 106km까지 올라갔다. 현재 우주 관광은 대략 25만달러(약 2억8천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책정되고 있다. 브랜슨 회장이 세운 버
중국은 인구 대국이다. 한자녀 정책으로 인구의 감소를 유도하려 애쓴 게 불과 10여년 전의 일이다. 하지만 이 같은 정책 속에 최근의 급속한 고령화는 인구 대국 중국의 인구 감소라는 새로운 고민 거리를 던지고 있다. '아차' 싶은 중국 당국은 서둘러 정책을 억제에서 장려로 전환하고 있다. 한자녀 정책이 두자녀 정책으로 변하고 이제 심지어 출산 장려 정책까지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많은 부분에서 중국 당국의 이 같은 전환이 너무 늦었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21일 신경보(新京報)와 신랑재경(新浪財經)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은 1일 출산 장려를 위해 세제 혜택과 주택 지원 등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양육비 비담이 커지면서 아이 낳기를 꺼려하는 풍토가 늘고 있고 있다는 판단을 중국 정부가 한 것이다. 이에 중국 당국은 먼저 3세 이하 영유아 돌봄 비용에 대한 소득 공제를 위해 개인소득세법 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또 지방정부가 공공 임대주택을 임대할 때도 자녀수 많은 더 넓은 평수를 주도록 혜택을 주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양육비 부담 상황에 따라 주택 임대와 구입 시 지원을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동안 초과
중국에서 갑자기 대필업이 성행하고 있다. 갑자기 늘어난 대필 소비자는 공산당 당원들이다. 당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사상을 연구해 보고서로 제출하라는 '어려운 숙제'(?)를 내자 숙제를 대신 해줄 이들을 찾고 나선 것이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이 과제를 하달한 이후, 일부 간부들을 중심으로 인터넷에서 모범답안을 구매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시간이 없거나 보고서를 직접 쓸 마음이 없는 간부가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서비스는 대략 28위안(약 5천원)부터 다양한 가격이 있다. 아무래도 비싸면 답안 내용이 더 충실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소셜미디어 위챗에 자신을 '왕'이라고 밝힌 해당 업체의 운영자는 이미 지난 1일 시 주석의 공산당 100주년 기념식 연설에 관한 보고서도 만들어놓았다고 자랑했다. 스스로를 관영매체에서 10년간 일했다고 주장하는 왕은 공산당 전문 용어에 능수능란하다고 밝히고 있다. 공산당 전문용어로 시 주석 연설에 대한 정교한 분석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을 통해서 얻은 시 주석의 가르침을 의뢰인의 직책에서 어떻게 적용할지를 정리한다고 한다. 보고서는 이 처럼 의뢰인의 직책과 관련한 특
반도체 자립을 외친 중국 당국에 호응해 중국 각 대학도 반도체 인재 양성에 나서고 있다. 17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베이징(北京)대는 반도체 부문 인재 양성을 위해 '반도체 대학원'을 설립, 지난 15일 개원식을 열었다. 베이징대 반도체 대학원은 집적회로 및 반도체 설계ㆍ제조 분야 기술자들을 양성하게 된다. 중국의 반도체 관련 기업들과 산학협력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14일에는 항저우과학기술대(HUST)가 우한(武漢)시에 반도체 관련 단과대를 개설 계획을 밝혔다. 선전기술대학(SZTU)도 지난달 반도체 관련 단과대학을 신설했다. 선전기술대학은 선전시에 위치한 신흥 명문대학이다. 선전기술대학의 반도체 단과대학은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SMIC(中芯國際ㆍ중신궈지)와의 산학협력을 하게된다. 칭화(靑華)대도 지난 4월 반도체 단과대학을 설립했다. 중국 당국의 반도체 지원 정책에 따라 반도체 인력에 대한 대우도 달라지고 있다. 반도체 분야 정보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샤먼 마이크로 플러스 테크놀로지에 따르면 반도체 분야 종사자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32만 위안에 달한다. 중국의 지난해 1인당 연평균 소득 3만2천189
시진핑(習近平)의 후계자는 누구가 될 것인가? 집권 2기 후반기를 맞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후계자가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다. 영구 집권을 꿈꾸고 있다는 소리까지 나온다. 일단 후계자 이야기는 없지만, 중국 공산당 차기 지도부 형성을 위한 작업은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공산당이 40~50대 간부 후보에 눈을 돌리고 있다. 신문은 한 소식통을 인용, 공산당이 1970~1980년대에 태어난 수천명의 젊은 간부 후보자를 추렸으며, 이들에게 공산당 중앙당교 청년 간부 양성반을 수강하도록 했다고 전했다. 이는 내년 가을 제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차세대 지도자를 골라내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간부 양성반을 통해서 차기 지도부를 미리 양성한다는 것이다. 신문에 따르면 이번 중앙당교 수업의 수강 자격을 얻기 위한 심사도 쉽지 않다. 간부 후보자들은 자신의 정치적·국제적 시각을 설명하는 에세이를 제출해야 한다. 또 당의 관리들은 후보자와 후보자 지인을 면접해 상세한 조사를 진행한다. 동시에 반부패 조사관과 안보 기관에서도 후보자들의 비리행위 등에 대해서도 조사가 이뤄진다. 신문에 따르면 간부 후보 규모는 70년
악명 높았던 일본의 생화학 실험 부대 '731부대'의 옛터가 발굴돼 공개됐다. 8일 하얼빈(哈爾濱)신문망 등 중국매체에 따르면 중국에서 일제 시기 생체실험 등을 했던 731부대 옛터 발굴과 관련된 자료 전시회가 열렸다. 일본의 731부대에서는 중국과 조선인 등 3천 명 이상을 대상으로 인체실험을 했다. 일본의 세균전 무기 개발·실행도 담당했다. 패전이 임박하자 일본은 증거를 없애기 위해 부대 시설을 폭파했다. 하지만 중국은 최근까지 이 부대 옛터를 발굴했고, 관련 자료들을 수집했다. 이렇게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중국 헤이룽장성은 이날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에 위치한 731부대 죄증(罪證·범죄증거) 진열관에서 '731부대 옛터 보호 성과' 특별전을 개막했다. 죄증 진열관은 당시 부대 부지에 설치됐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731부대 옛터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 보호유지, 연구, 환경정비 등을 통해 발굴된 유물 195점, 사진 554장, 문서 150건 등이 전시돼 당시 일본의 죄상을 말없이 증언했다. 발굴을 통해 중국 당국은 당시 일본 731부대의 핵심구역이 '사각형 모양 건물' 쓰팡러우(四方樓)였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 건물에는 세균 실험실과 특설 감옥 등으로 구
드디어 판다가 멸종 위기에서 벗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베이징(北京)일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야생 자이언트 판다의 개체 수 증가에 따라 판다의 위협정도 등급을 낮줬다. 생태환경부 자연생태보호국 관계자는 앞서 7일 기자회견을 갖고 "야생 자이언트 판다 개체 수가 1천800여 마리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는 멸종위기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한다. 이에 중국 당국자는 "위협정도 등급을 멸종위기종에서 취약종으로 낮췄다"고 말했다. 중국은 판다를 국가를 상징하는 동물로 지정하고 보호해왔다. 외교적 관계 진전을 위해 판다를 각국에 분양해주기도 해 '판다 외교'라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다. 이 같은 중국 정부의 노력이 결국 빛을 발한 것이다. 중국의 멸종위기 동물 보호 노력은 판다에 그치지만 않는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자연생태보호국 관계자는 "자이언트 판다뿐만 아니라 동북 호랑이(일명 백두산 호랑이)와 동북 표범, 아시아 코끼리, 따오기 등 일부 희귀 멸종위기종도 개체 수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야생동물 개체 수가 늘면서 산속의 야생동물이 도심을 찾아 시민들은 놀래키는 상황도 왕왕 발생하고 있다. 앞서 동북부 헤이룽장성에서는 지난 4월 야생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