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지난 16일부터 사흘에 걸쳐 18일까지 계속된 2021년을 대비하는 중공중앙 연례 경제공작회의를 열고 신종폐렴 판데믹 상황속에서 , 국내의 안정적인 경제발전을 지속할 수 있도록 국내 금융시스템과 물자공급망등에 관한 대책을 논의하고 확정했다고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어제 폐막한 중공중앙 경제공작회의가 발표한 성명을 인용해 , 전례없는 코로나19 판데믹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선제적인 개념의 새로운 경제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 번 회의는 특히 내년부터 시작되는 14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경제운용에 가장 근간이 되는 재정과 통화운용에 관한 치열한 논의와 수정을 통해, 안정속에서 성장을 이어 갈 수 잇는 시스템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화통신의 분석에 따르면, 이번 경제공작회의는 국내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글로벌 무역에서의 우위를 지속해 나갈 수 있는 공격적인 수출계획등에 관한 타임테이블을 확정했고, 경제의 왜곡현상으로 인해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될 수 있는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도록, 금융등에 대한 감독을 크게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대비책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
지난 3일, 외국인과 통모해 홍콩의 반중국시위를 사주하고, 주가조작등 사기와 탈세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기소된 홍콩 빈과일보의 사주 리즈잉을, 보석을 취소하고 법정 구속시킨 홍콩형사법원의 판사가 그 다음날인 4일 살해위협을 받았다고 알려지면서 홍콩이 발칵 뒤집혔다. 동왕tv와 인민일보 해외판은, 어제 4일 오전 9시경은 한 남성이 리즈잉재판의 총재판장인 쑤훼이더( 苏惠德) 사무실에 전화를 걸어, 부인과 가족을 살해하겠다고 협박했다고 보도했다. 경찰과 현지매체들에 따르면, 이 남성괴한은 쑤 총재판장의 부인과 딸을 폭사시키겠다고 협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72년생으로 올해 48살인 쑤 총재판관은 96년 홍콩법대를 졸업하고 이듬해 97년 변호사시험에 합격한 이후, 2007년에 홍콩사법부의 상임재판관으로 임명됐으며 2017년부터 주임재판관으로 승진해 형사법원의 총 재판장을 맡아오고 있다. 그리고 지난 1월에는 이 쑤 총재판관의 휴대폰 번호와 집 주소 등 개인신상이 텔레그램을 통해 공개되었는데, 이 후부터 그의 사진과 함께 그가 판결한 내용들이 반중세력에 의해 공유되면서 크고 작은 여러 협박을 받아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날 오전의 가족살해 협박위협사건은 쑤 총 재판관
홍콩보안법위반과 사기 탈세등의 혐의로 지난 8월 구속됐다 보석으로 풀려났던 , 홍콩 빈과일보사주인 리즈잉( 黎智英 / 영어명 지미라이/ 72세 ) 이 지난 3일 재판에서 거액의 사기혐의가 추가인정되면서, 다시 유치장에 갇혔다고 중국 관찰자신문왕등 중국과 홍콩매체들이 일제히 주요뉴스로 보도했다. 홍콩 형사재판소의 수훼이더 ( 苏惠德) 총 재판관이 첫 재판뒤, 리즈잉의 혐의가 중대하고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며, 홍콩 구치소에 수감을 명했기 때문이다. 리즈잉과 같은 혐의로 같이 기소된 두 아들과 그가 운영하는 황색언론그룹인 이츄안메이 그룹( 壹传媒集团) 의 고위간부등 4명은 계속 보석이 허가돼 불구속상태에서 재판을 받게 됐다. 중국매체 동왕tv가 재판정에서 부터 수갑을 차고 호송차에 실려 구치소에 도착한 리즈잉을 촬영한 화면과 사진들을 보면, 자신의 보석취소로 인한 구속을 예상하지 못한 듯 당황하고 체념한 모습으로 교도관들을 따라 구치소건물로 들어가는 모습이 목격됐다. 중국매체들은, 리즈잉은 같이 기소된 다른 4명의 공범과 달리 주범으로 지목돼 있어, 최고 14년의 유기징역을 받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다음 재판은 내년 4월 16일 에 속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재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번 달 1일부터 일제히 실시하는 제 7차 중국 인구조사에 자진등록하는 모습을 공개하며 전 국민들의 적극적인 조사 참여를 독려하고 나서 관심을 모았다 신화사등 중국의 주요매체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집무실이 있는 중난하이 (中南海)지역의 한 사무실에서, 2일 오후 4시경 베이징 시의 등록 조사원 2명의 방문을 받고, 이름 생년월일 주소 등 관련사항을 구술하고 , 태블릿PC에 기입한 정보를 확인하고 직접 전자서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어 시주석은 이번 인구 센서스에 투입되는 약 700만 명에 달하는 일선 조사원들을 대표 한 2명의 조사원들에게 노고를 치하하며 , 인구센세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 국민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당부했다고 매체들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중국의 인구는 항상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면서, 중국의 영도를 책임진 당과 국가가 향후 경제와 사회 각 부문의 발전정책과 인구정책 등을 수립하는데 기본이 되는 핵심적인 요소 인 만큼, 10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이번 7차 전국인구조사는, 중국의 미래를 위한 역점 프로젝트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중국권력의 핵심 당중앙위원회가 5년짜리 경제개발계획을 세울 것인가? 아니면 15년짜리 중장기계획을 세울 것인가? 내일부터 중국 베이징에서는 , 중국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중공중앙 제19기 5중전회가 나흘 예정으로 개최된다. 중공중앙 제19기 5중전회는, 중국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의 5차 전체회의의 약칭이다. 바로 약 9천 만명이라고 알려진 중국 공산당의 전체당원을 대표하는 중앙위원회의 205명의 중앙위원들이 모여, 내년 2021년 부터 시작하는 1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등 향후 중국의 미래방향을 결정하는 회의를 진행하는 것이다.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리는 이번 19기 5중 전회는, 다음 달 미국의 새 대통령이 누가되더라도 중국에 대한 압박이 거세게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속에서 개최된다. 미국과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소위 영어권 5개국가는, 올해 홍콩 보안법을 계기로 명분을 구축하고, 긴밀한 협조하에 화웨이와 틱톡등 중국기업들의 세계진출을 봉쇄하면서, 중국경제의 미래발전에 커다란 장벽을 둘러치기 시작했다. 서방국가의 대 중국견제와 압박의 중심에는, 영어권 5개국의 정보당국의 연합체인 이른바 파이브 아이스( FIVE-EYES) 라는 비밀조직이 존재한
시진핑 중국국가주석은, 어제 23일 항미원조전쟁, 즉 한국전쟁 참전 70주년 기념식에서 중국을 압박하는 위협을 가하고 타이완의 분리를 지원하는 미국을 겨냥해, 결국 "죽음의 길" 을 가게 될 것이라고 강한 어조로 경고를 아끼지 않았다. 시 주석은 연설에서 , (미국을 겨냥해) 아무리 위협과 봉쇄로 중국을 압박해도 결국 헛되게 될 것이라면서, 중국은 자국의 주권과 안보가 위협받고 신성한 국토가 침범당하거나 분열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반드시 정면승부해 제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어제 기념에서의 시진핑 주석의 연설을 전하는 중국매체들은, 이 연설은 다름아닌 미국에 대한 공개적인 경고라고 큰 의미를 부여했다. 여기에 글로벌타임스는 한 발 더 나아가, 이 날 시주석의 경고는, 70년전인 1950년 6월 25일에 시작된 한국전쟁에서, 미국을 비롯한 유엔군들이 9월 28일 서울을 수복하고 30도선을 넘어 북진을 시작하기 전에, 당시 중국이 ' 38도선을 넘지 말것을 요구하면서 마오쩌동 주석이 발표했던 경고와 수준이 비슷하며 그 맥락도 유사하다' 고 분석했다. 즉 당시 미군등 유엔군이 이 중국의 경고를 무시하고 압록강 인근까지 북상한 것에 대해, 결국 중국이 인
중국은 그동안 홍콩의 반정부 시위때 발생한 중국국기와 국장의 훼손행위 사례들이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관련 법규를 대폭 정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오늘 자 보도를 통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중국국기법과 국가휘장법의 일부 규정을 개정해 수정한 새 법규를 통과시켰고, 관련법규는 당연히 홍콩특별행정구를 비롯해 중국 전역에서 시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개정된 관련법은 내년 2012년부터 시행된다. 홍콩 매체들은 관련법의 주요 수정내용 가운데 가장 중요한 조항은,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고의로 거꾸로 드는 행위인것으로 알려졌다. SCMP의 보도에 따르면, 홍콩에서 반 중국시위가 시작되던 초기에 홍콩입법회의 한 의원이 반 중국주장을 하던 중에 준비한 오성홍기를 작정하고 거꾸로 뒤집어 걸어 놓은 적이 있었고, 해 당의원은 재판 끝에 5천 홍콩달러, 한화환산 약 7백만원의 벌금에 처해진 바 있다고 그 배경을 전했다. 그러나 당시 그 반중시위를 주도하던 의원이 어떤 규정에 근거해 벌금형에 처해졌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홍콩의 반 중국세력은 그동안 반 중국시위를 전개할 때 중국 국기와 국장에 대한 훼손행위를 공개적으로 하지 않았는
중국의 왕이 외교부장이 다음주 중에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대미 관계문제등을 협의하려던 계획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어제 5일 한중 외교소식통들에 의해 확인된 왕이부장의 방한 취소배경은, 미국의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한 일정이 취소된 것과 무관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당초, 미국 한국 일본등 4자대화에 미온적인 태도를 취한 한국을 방문해 대중전선에 공동참여를 압박하려 했으나, 중국의 반발을 고려해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중국 왕이부장의 방한계획관련 보도는, 미국 폼페이오장관의 방한 보도와 맞물려 나온 것이 사실이었던 것으로 확인된바 있는데, 폼페이오장관이 방한을 취소한 마당에 왕이부장이 한중간 특별한 현안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한국을 방문해 미국내 반중 여론을 불러일으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 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론 한국방문과 동시에 방문하려던 일본에 새로운 스가총리가 취임한 것도 현안이라면 현안이지만, 신임총리가 전임 아베총리의 그림자에 불과하고 정당이 바뀐 총리취임도 아니기에, 왕이부장의 방문으로 일본의 친미성향이 바뀔리도 만무하다고 판단해, 동시취소를 결정했을 것으로 봐야 할
물을 마실때는 우물을 판 사람을 잊지 않는다. ( 吃水 不忘 挖井人 / 츠쉐이 부왕 와징런) 중국의 주요 국가행사때마다 인민일보등 중국매체들은, 신중국의 현재발전의 근본을 생각하자며, 그동안 항일전쟁을 비롯해 항미원조전쟁 그리고 각종 재해때 인민의 생명과 재산을 구해온 인민해방군등 국가적 영웅과 무명용사들의 공헌을 기억하자는 뜻에서 자주 인용하는 구호인 '츠쉐이 부왕 와징런' 이란 구호가 오늘 9월 30일에도 등장했다. 2020년 9월30일 오늘은, 중국당국이 지난 2014년에 법정기념일로 정한 7번째 인민영웅열사기념일이다. 인민일보등은 오전. 10시 시진핑 국가주석등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전원과 각계대표 4천명이 천안문광장의 무명용사탑에 헌화하는 기념행사를 가졌다고 보도했다. 내일 10월1일은, 1949년 10월 1일 신중국 건국을 선언한지 71년이 되는 날이다. 지난해 70주년은 파시스트제국주의항전전쟁승리를 기념하는 초대형 군사퍼레이드를 거행하며,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위한 국가발전의 결의를 다졌다. 지난해 군사퍼레이드에서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인 동펑시리즈등 중국의 군사력의 최고봉이 선보였다. 그런데 올해들어 중국은 코로나19사태로 부터 시작해, 홍콩보안법
중국이 마련한 5년마다의 경제개발계획을 심의하기 위한 중국공산당 19기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19기 5중전회)가 다음달인 10월 26~29일 베이징에서 개최된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신화통신은 오늘 중국공산당 정치국이 전체회의를 열어 , 중앙위원회 전체회의 일정을 의결했다고 전했다. 중공 정치국은 다음달 19기 5중전회에서는 2021부터 2025년까지의 14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에 대한 논의와 의결하는 일정을 가질 것이고 밝혔다. 중국도 과거 한국과 마찬가지로 5개년 단위로 경제개발을 세워오고 있다. 그런데 신화통신이 보도한 19기 5중전회의 논의사항중에 눈에 띄는 것는, 이 회의는 또 2035년까지의 장기목표 설정에 관해서도 토의한다는 대목이다. 2035년까지의 중장기 목표설정은, 중국공산당이 추구해온 두개의 백년사업과 관련돼 있다. 하나는 중국공산당 백년의 과제인데, 올해 2020년에 지난 1921년에 창당한 공산당이 목표로 한 소강사회를 무난히 달성했다고 선표했다. 두번째 백년사업은, 중국인민공화국 즉 신중국이 지난 1949년에 천안문에서 건국선언된 것을 기점으로, 오는 2050년을 신중국 백주년으로 설정해, 이 때 위대한 중국의 부흥을 완성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