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젊은여성들, 제로 코로나 반대 '백지 시위' 후 저항의 상징으로 떠올라

 

 

지난해 코로나19 봉쇄 반대 시위를 계기로 중국의 젊은 여성들이 저항의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27일 베이징에서 열린 우루무치 화재 희생자 추모 시위는 저항의 발화점이 됐다. 당시 신장위구르지역 우루무치 고층 아파트 화재가 코로나19 봉쇄 탓에 제때 진화되지 못하며 18명이 사상하자 전국 각지에서 봉쇄에 반발하는 시위가 일었다.

중국 공안은 지난해 11월 27일부터 올해 1월 6일까지 출판사 편집자 차오즈신(26)을 포함해 시위 참여 여성 최소 8명을 체포·구금한 것으로 알려졌다. 

차오즈신은 체포되기 전날 3분짜리 영상에 "우리가 한 일은 시민으로서 평범한 의사 표현일 뿐"이라며 "우리가 이런 식으로 사라지게 둬선 안 된다"고 호소의 목소리를 담았다.

이 영상은 차오즈신이 체포된 직후 유튜브와 트위터 등을 통해 빠르게 확산했다. 

중국 안팎의 인권운동가들은 중국 당국이 체포된 여성들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성들의 행적을 추적하며 이들의 안전 여부확인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WSJ은 차오즈신과 같은 젊은 여성들의 움직임이 시진핑 정부의 여성 활동가들에 대한 노골적인 탄압 속에서 나왔다는 점에 주목했다.

중국 정부는 2015년 '페미니스트 파이브'를 체포 이후 여성 인권 활동가들에 대한 탄압 강도를 높여왔다. 이런 가운데 작년 말 코로나 봉쇄 상황이 맞물리며 젊은 여성들이 조직되지 않은 자발적 네트워크를 통해 저항의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중국 인권 사이트 '웨이취안왕'에 따르면 차오즈신에게 적용된 '싸움을 걸고 분란을 일으킨' 혐의는 중국 당국이 반체제 인사를 구금할 때 흔히 적용하며 최대 5년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