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영의 지혜 - 책사 장의(張儀)의 '삼필망', 성공을 위한 조언

 

본래 교훈은 실패에 있다.

성공은 항상 특수한 상황에서 특수한 조건이 맞춰져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남이 성공했다고 해서 내가 한다고 성공하는 일은 드물다.

하지만 실패는 다르다.

남의 실패는 항상 나의 실패가 된다. 남의 실패를 피하면 성공 확률이 그만큼 높아지는 것이다. 실패의 요인이 되풀이 되면 반드시 실패하게 된다.

한자로 그 것을 흔히 필망(必亡)이라고 한다. 현대 한자로 사정(死定)이라고 한다. 앞의 한자는 반드시 죽고, 뒤에 한자는 죽도록 결정돼 있다는 말이다.

 

필망은 시간이 지나도 필망이다.

100년 전의 실패 요인은 대부분의 경우 요즘도 실패의 요인이다. 그것이 인문적 요인인 경우 특히 더 그렇다. 기술적 발전이나 시대의 변화 속에 달라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전국시대 진나라의 책사 장의(張儀)은 이런 점에서 중국 역대 최고의 책사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많은 책을 남기지 않았지만, 독특한 지혜와 행실로 유명하다. 장의와 친구 소진을 가르친 스승 귀곡선생은 두 책사 덕에 역사 속에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고도 지금까지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는 장의의 행적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조선 왕조 탓이다. 책사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다른 나라를 속이는 사술(詐術)을 부린다고 해 조선에서는 환영을 받지 못했다.

한비자도 금서로 했던 곳이 조선이니 얼마나 편협했는지 알 수 있다.

 

전국책에는 장의가 정의한 ‘삼필망’이 나온다.

3가지를 행하는 나라는 반드시 망한다는 의미다. 과거에는 나라가 그렇고, 요즘은 기업이 그렇다.

'삼필망'은 장의가 진나라 혜왕 앞에서 펼친 유세 속에 등장한다.

유세란 별개 아니라 왕 앞에서 하는 정견 발표다. 요즘으로 치면 회사 경영자 직에 응모한 이들이 선보이는 프레젠테이션이다.

 

"세상에 멸망하는 경우가 세 가지 있다고 합니다. 제가 듣기로 그 세 가지란 '자기 나라가 어지러우면서 잘 다스려지는 나라를 공격하는 것, 사악한 것으로 바른 것을 치는 것, 그리고 역리로써 순리를 치는 것으로, 이런 경우는 반드시 망한다'라는 것입니다."

 

오늘날 회사로 치면, 내부 조직이나 자금이 충분치도 않은 데 새로운 사업을 도모하면 반드시 실패를 하고, 다른 회사를 인수하려 해도 반드시 망하고, 임기응변의 경영으로 회사의 기강이 무너지면 반드시 망하는 것이다.

 

장의는 본래 조나라 재상을 만나 자신의 학식과 견식을 펼치려 했지만 도적으로 몰리는 수모를 당한다. 재상을 만나 이야기하던 중에 재상이 아끼던 벽옥이 없어진 것이다. 재상과 그 재상의 식객들은 장의를 "가난하여 탐심을 감추지 못하는 인물"이라며 도적으로 몰았다.

하지만 곤장을 아무리 때려도 장의가 도적질을 자백하지 않자 그냥 풀어준다. 장의가 반죽음 상태가 돼 집에 돌아오자 아내가 울면서 "왜 공부를 그만두고 벼슬을 하려하냐"고 한탄했다. 장의는 그냥 웃으며 아내에게 물었다.

"내 혀가 아직도 있기는 있소?" 아내가 그렇다고 답하자 장의가 말했다. "그럼 됐소. 다시 기회가 있소."

이 일화가 실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전국책에 나오는 장의의 혜왕 앞 유세를 보면 장의의 식견이 얼마나 논리적이며 설득력을 갖추었는지 잘 알 수 있다.

혜왕은 장의를 재상으로 삼았고, 진나라의 천하통일의 기틀을 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