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중국 도시별 신에너지 산업 집적도 Top 10, 1위 선전

 

'신에너지 산업'

중국에서는 기존 내연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저장하는 분야를 신에너지 산업이라고 한다. 자동차 배터리, ESS(Energy Storage System), 원자력·태양광·풍력·조력 발전 등이 여기에 속한다. 간단히 자연친화적인 에너지 생산 관련한 모든 산업을 일컫는다.

세계에서 석유, 석탄 소비가 가장 많은 중국이 지속가능한 미래 발전을 위해 가장 힘쓰는 분야가 바로 이 신에너지 산업이다.

물론 신에너지 산업에 관심을 쏟는 건 중국만이 아니다. 세계 주요 국가 모두가 화석연료를 넘어서는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기 위해 힘쓰고 있다. 하지만 중국처럼 정부 차원에서 국가의 모든 역량을 쏟아붓는 곳은 없다.

19일 중국판 포브스로 불리는 후룬연구원(胡润研究院)이 '2023년 중국 도시별 신에너지 산업 집적도'를 발표했다.

후룬연구원은 신에너지 산업 집적도가 도시의 혁신 역량과 산업환경의 질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도시의 발전 가능성과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신에너지 산업에서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도시는 향후 중국의 부(富) 지도에서 더 나은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중국 신에너지 산업 집적도 Top 10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 선전 88.1(종합평점)

2위 상하이 87.8

3위 쑤저우 86.1

4위 베이징 85.6

4위 창저우 85.6

6위 광저우 85.1

7위 우한 84.0

8위 청두 83.3

9위 톈진 82.8

10위 허페이 79.6

 

중국 개혁개방 1번지이자 '첨단기술의 허브'로 불리는 선전(深圳)은 신에너지 산업이 가장 많이 모여 있는 도시로 선정됐다.

선전은  중국 전기차 선두업체 비야디(比亞迪, BYD) 본사와 테슬라 공장을 비롯해 중국 원자력 발전의 선두주자인 CGNPC와 청정 전력 사업을 추진하는 국유 기업인 '선전에너지'가 위치해 있다. 또한 세계 최대 배터리 업체인 CATL(寧德時代, 닝더스다이)를 비롯해 수 만 개의 에너지 저장 관련 업체들의 연구시설과 공장이 운영 중이다.

선전에 이어 신에너지 집적도가 높은 도시 Top 10에는 상하이, 쑤저우, 베이징, 창저우, 광저우, 우한, 청두, 톈진, 허페이 등이 포함됐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