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칭하이성 상반기 바이오산업 부가가치 24.0% 증가

 

'100% 증가'

딱 기존과 똑같은 양이 늘어난 것이다. 정확히 배가 늘었다. 바로 올 상반기 중국 북서부 내륙지역인 칭하이(青海)성의 규모이상 하이테크 제조업의 부가가치다.

중국 인터넷 경제의 성장세를 보여준다. 인터넷 경제의 성장은 한 사회의 인터넷 기반이 어느 수준으로 구축돼 있는지를 전제로 한다. 

인터넷 기반이 좋을수록 인터넷 경제 성장도 가파르게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먼저 인터넷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하이테크 제조업이 성장하고, 이어 인터넷 기반이 구축되면 인터넷 경제는 자연스럽게 성장하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이제 동남부 연안의 주요 도시들에서 인터넷 기반을 확충한 인터넷 경제가 빠르게 성장해 자리 잡았고, 이제는 서부 내륙 지역으로 그 위세를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칭하이의 아이테크 제조업의 부가가치 증가가 이 같은 사실을 보여주는 방증이다. 

21일 중국 관영 신문망에 따르면 칭하이성의 규모이상 산업 중 하이테크 제조업의 부가가치가 지난해 동기 대비 90.7% 증가했다. 또 첨단 제조업이 전체 규모이상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9.1%로 작년 동기 대비 13.0포인트 증가했다.

중국 경제는 동부와 남부를 중심으로 발전한 뒤 조금씩 내륙으로 발전의 과실수를 옮겨 심고 있는 상태다. 중국 당국은 칭하이 등 서부내륙 지역에 하이테크 기업단지를 세우며 첨단 제조업을 육성하고 있다. 

칭하이성내 산업 부문별 부가가치는 작년 동기 대비 기준으로 신에너지 산업이 1.3배, 장비 제조업이 84.2%, 바이오 산업이 24.0%, 비철금속 산업이 4.0% 증가했다.

또 규모이상 공업 기업이 생산한 118개 비에너지 제품 중 49개 제품의 생산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14.5% 증가했다. 

그 중 다결정 실리콘의 생산량은 4.4배, 단결정 실리콘의 생산량은 1.8배, 화학 약품 생산량은 1.6배, 탄소섬유 생산량은 1.4배, 태양전지 생산량은 1.0배, 알류미늄 합금 생산량은 60.1%, 탄산리튬 생산량은 48.9% 증가했다.

한편 칭하이성 총생산에서 3차 산업의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52.6%로 지난해 동기 대비 1.5포인트 증가했으며 경제 성장에 대한 기여율은 57.2%로 집계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