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가 존망을 건 건곤일척의 승부를 건다. 새가 지저귄다는 의미의 '트위터' 상징인 파랑새 로고를 바꾸기로 한 것이다.
트위터의 변신은 사실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이래 꾸준히 추구되던 일이다. 이런 상황에서 메타(페이스북)가 인스타그램 구독자를 기반으로 출범시킨 스레드가 크게 성공하면서 트위터 존망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트위터의 변신이 성공할 지는 미지수다. 어쩔 수 없이 일론 머스크식의 변신이 될 것이 예견되기 때문이다. 본래 일론 머스크식의 '트위터'를 싫어하던 구독자들을 노리고 출범한 게 바로 스레드다.
당장 중국 네티즌들은 의심의 눈초리로 지켜보고 있다.
일론 머스크는 중국 소비자들이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에서 테슬라가 성공하면서 오늘의 일론 머스크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일단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 로고를 변경하겠다고 23일(현지시간) 밝혔다. 머스크는 "우리는 조만간 트위터 브랜드, 모든 새에게 작별을 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오늘 밤 충분히 훌륭한 X로고가 게시되면 내일 전 세계에 이를 공개할 것"이라면서 알파벳 X가 깜빡거리는 이미지를 올렸다.
로이터통신은 트위터의 새 로고에는 메시징, 상품 결제, 원격 차량 호출 등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슈퍼 앱'에 대한 머스크의 비전이 반영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네티즌은 일론 머스크가 쉰레이(로고가 파랑새인 중국 클라우드 회사)와 샤오펑(로고가 X인 중국 전기차 회사)을 좋아할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날 발표를 하다니, 대단한 자신감이군요", "이건 파랑새 일생을 부정하는 일"이라는 식의 반응이 눈에 띈다. "우리랑 아무 상관도 없다"는 부정적 반응도 나온다.
트위터의 파랑새는 인터넷 언론 자유의 상징이었다. 본래 파랑새는 1906년 모리스 마테를링크가 출품한 6막 12장 희곡 '파랑새'를 연상시킨다.
파랑새는 초라한 오두막에 사는 틸틸과 미틸 남매가 요술쟁이 할머니의 부탁으로 파랑새를 찾아 떠나는 여정을 그린 이야기이다.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 이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기란 사실 철학서 한 장을 번역하는 것보다 더 어렵다"는 마테를링크의 말처럼 작품은 수많은 메타포와 상징으로 가득하다. ‘죽음’, ‘행복’, ‘시간’, ‘운명’ 같은 추상적 개념들이 의인화되어 등장하고, 틸틸과 미틸이 만난 인물들은 하나같이 인간들의 탐욕과 무지를 꼬집는다.
트위터는 그런 무지를 꼬집는 파랑새였다. 일론 머스크가 죽여버리는 게 상징에 그치기만 기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