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커피 프랜차이즈 루이싱커피 적은 음료양으로 논란, 中네티즌 "스타벅스도 똑같아!"

 

루이싱커피도 드디어 중국 소비자들의 입방아에 올랐다. 중국 소비자들의 입방아는 무섭기로 유명하다. 평판이 중요한 게 바로 중국 시장이기 때문이다. 중국 소비자 입방아에 한 번 잘못 올랐다가는 유명 브랜드가 한 순간 침몰하기도 한다. 

중국 최대 커피 프랜차이즈 루이싱커피가 입방아에 오른 것은 적은 음료양 탓이다. 

어떻게 커피량을 줄였을까? 여름철 아이스커피를 찾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얼음을 잔뜩 넣는 방식이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최근 한 외신 매체에서 루이싱커피의 음료양이 적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커피라테의 약 3분의 2가 얼음으로 채워져 있으며, 음료량은 세 모금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특히 주문 페이지에 얼음 제거 옵션이 없었던 것도 문제가 되었다.

루이싱커피는 곧바로 대응했다. 루이싱커피 고객센터는 음료는 엄격한 절차에 따라 만들어지며 얼음이 많고 얼음 제거 옵션이 없는 문제는 관련 부서에 피드백될 것이라고 밝혔다. 평판 마케팅의 중요성을 알다보니 반응도 즉각적이었다. 

루이싱커피의 대응이 옳았다는 것은 네티즌 반응에서 확인이 된다. 중국 네티즌은 많은 브랜드가 다 똑같다며 스타벅스도 동일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전에도 그랬다", "지금 다른 음료들도 마찬가지다" 등등 중립적이거나 심지어 루이싱을 옹호하는 반응도 보인다. 

"스타벅스도 두 모금 마시면 없다"는 반응도 있다. 

루이싱커피가 중국 브랜드이고, 그 문제를 지적한 게 외신이라는 점도 한 몫했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는 속담이 가장 잘 통용되는 곳이 바로 중국이기 때문이다. 

루이싱커피의 이번 문제는 한 순간의 헤프닝으로 끝날 듯 보이는 대목이다. 물론 아직 더 지켜봐야 할 필요는 있다.

중국에서는 한 문제로 관심을 받으면 그 관심이 이어 또 다른 문제를 찾아내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어쨌든 루이싱커피에게는 일단 위기 상황이다. 

루이싱커피가 지속적으로 중국 1위 브랜드로 살아남을지 두고 볼 일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