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글로벌 인터넷&소프트웨어 브랜드 가치 Top 15, 1위 마이크로소프트

 

컴퓨터의 세상이다. 컴퓨터 없이는 개인이 살아갈 수 없게 됐다는 의미다. 간단히 스마트폰 없이는 하루도 못 사는 게 요즘 사람들인데, 그 스마트폰이 바로 손바닥 위의 컴퓨터다. 

회사도 마찬가지다. 컴퓨터 없이는 단 한 건의 결재도 이뤄지지 않는다. 최소한 보고 문서를 꾸미는데 컴퓨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돌리지 않고는 어떤 문서도 꾸며지지 않는다.

그런데 그 컴퓨터는 운용 시스템 없이는 돌아가지 않는다. 운용 시스템 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없이는, 스마트폰의 앱이 없이는 컴퓨터는 그냥 기계 덩어리일 뿐이다. 

기계를 살아 움직이도록 하는 게 바로 소프트웨어다. 대표적인 회사가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다. 빌 게이츠를 한 때 세계 제일의 부자로 만든 회사다. 지금도 빌 게이츠는 세계에서 손꼽는 부자로 존재하고 있다. 

세계 모든 컴퓨터가 기본으로 쓰는 윈도우 운영체제와 회사 업무에서 필수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엑셀 등 오피스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급한 회사다. 글로벌 회사들은 이 프로그램을 쓸 때마다 세금을 내듯 이용료를 낸다. 

영국 브랜드 평가 기관 브랜드파이낸스(Brand Finance)에서 2023년 글로벌 인터넷&소프트웨어 브랜드 가치 순위(INTERNET & SOFTWARE 15)를 발표했다. 미국 회사들이 주를 이뤘다. 중국 회사는 15위에서 겨우 하나 찾을 수 있다. 

 

1위, Microsoft 미국, 1915억7400만 달러(브랜드 가치)

2위, ORACLE 미국, 395억7400만 달러

3위, SAP 독일, 210억9500만 달러

4위, Salesforce 미국, 191억2500만 달러

5위, Adobe 미국, 128억6500만 달러

6위, VMware 미국, 63억400만 달러

7위, Servicenow 미국, 62억4800만 달러

8위, QuickBooks 미국, 46억6500만 달러

9위, TurboTax 미국 41억6500만 달러

10위, Red Hat 미국, 40억3700만 달러

11위, Constellation Software 캐나다, 37억 달러

12위, Dassault Systemes 프랑스, 32억 달러

13위, Workday 미국, 32억 달러

14위, Amadeus 스페인 30억 달러

15위, Lufax 중국, 24억 달러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SAP가 각각 1915.74억 달러, 395.74억 달러, 210.95억 달러의 브랜드 가치로 1~3위에 이름을 올렸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연 성장률은 +4%. 오라클의 연 성장률은 +36%, SAP의 연 성장률은 +15%를 기록했다.

중국 기업은 루팍스가 24억 달러의 브랜드 가치로 15위에 이름을 올렸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