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중국 관광·미식 10대 도시, 1위 베이징

 

"책상 다리만 빼고 다리 달린 것은 다 먹는다."

바로 중국의 요리 다양성을 이야기한다. 어찌 보면 폄하하는 말 같지만, 중국 현지의 다양한 음식들을 보면 '맞다'며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사실 인간의 문화 가운데 가장 빼놓을 수 없는 게 음식 문화다. 중국 음식문화는 곡식의 가루를 빚어 만드는 면요리, 두부 요리에서 그 면과 두부를 발효해서 먹는 경지까지 발전 과정이 다양한 스팩트럼 위에 전개된다.

중국 음식 관광 발전을 위해 중국관광아카데미, 후난성 문화관광부, 천저우시 인민정부가 공동 주최하는 '2023년 중국 음식 관광 발전 포럼'이 천저우에서 15~16일 개최된다.

이번 포럼에서는 '2023년 중국 관광·미식 10대 도시' 순위가 발표했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

2위 창사

3위 청두

4위 충칭

5위 광저우

6위 포산(순덕)

7위 우한

8위 양저우

9위 취아저우

10위 카이펑

 

1위는 역시 베이징이다. 베이징은 명청 시대의 황도였다. 황제가 살고, 고관대작들이 대를 이어 살던 곳이다. 각 지역에서 과거에 합격한 인재들이 몰려들었다. 자연히 지방의 음식들이 베이징으로 올라왔고, 오늘의 다양한 베이징 음식문화를 만들었다.

베이징카오야(오리구이)만해도 전통 베이징 음식이 아니다. 지방요리가 베이징에서 인기를 끌면서 베이징 전통 음식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올해 관광·미식 10대 도시에는 중국 중서부 지역 도시들이 대거 포함됐다. 베이징 외 중서부 도시들이 관광 미식도시에 선정된 것은 중국의 중서부 지역은 역사가 오래된 도시가 많아 미식 관광지로 정평이 난 때문이다.

올해 2위에 오른 창사는 후난성 성도로 삼국지 유비가 황충과 위연을 얻은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마오쩌둥의 고향인 샤오산(韶山)과도 가까워 홍색 관광객들이 경유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