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중국 고급 승용차 시장 소비자 신뢰도 순위

 

1위 포르쉐, 2위 BMW, 3위 랜드로버

중국 소비자들이 꼽은 자동차 브랜드 신뢰도 순이다. 유럽 차종에 대한 중국 자동차 소비자들의 충성심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외로 한국에서 인기인 벤츠는 볼보보다 낮은 5위에 랭크됐다.

시장조사업체 J.D. Power가 2023년 중국 고급 승용차 브랜드 소비자 신뢰도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PP100(차량 100대당 불만 제기 건수) 기준 신뢰도 순위 Top 10 자동차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1위 포르쉐(保时捷) 137

2위 BMW(宝马) 140

2위 랜드로버(路虎) 140

4위 볼보(沃尔沃) 148

5위 메르세데스-벤츠(梅赛德斯-奔驰) 150

6위 캐딜락(凯迪拉克) 162 

7위 아우디(奥迪) 167

8위 렉서스(雷克萨斯) 179

9위 링컨(林肯) 199

10위 푸젠벤츠(福建奔驰) 202

 

고급 승용차 브랜드에서 포르쉐는 전년 대비 PP100가 1개 늘어난 137개로 1위를 차지했다. 

BMW와 랜드로버는 공동 2위를 차지했다. 랜드로버는 북미 시장 대비 중국 시장에서는 상위권을 유지했다.

볼보와 메르세데스-벤츠는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소비자 충성도가 높은 렉서스는 의외로 PP100이 평균 이하를 기록했다.

두 차종에 대한 점수로 이번 조사에 대한 신뢰에 의문이 가는 면이 있지만, 대략 시사하는 바는 분명히 있어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대 규모다. 미국과 유럽에서 망해가는 자동차 회사 몇몇을 중국 시장이 살렸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중국 자동차 시장을 이야기할 때 아쉬운 것은 현대, 기아차다. 본래 현대, 기아차는 중국에서 나름 인정받는 차종이었다.

하지만 중고차에 대한 신뢰상실, 부임하는 신임 대표들의 밀어내기식 자동차 판매, 부실한 판매망 관리 등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금은 중국 소비자 신뢰가 바닥을 기는 상태다.

신뢰가 떨어졌음에도 현대, 기아차는 중국에서 뒤늦게 프리미엄 차를 팔겠다고 나섰다. 프리미엄차종이야 말로 소비자 신뢰를 바탕으로 이뤄지는 시장이다. 

결국 오늘날의 현대, 기아차는 중국 시장에서 그 이름조차 듣기 힘든 상황이 됐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