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1월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49.4%, 경기 수축 지속

 

'0.1% 상승'

중국의 지난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하면서 50 포인트 미만, 49%포인트에 머물렀다.

이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이상이면 경기 상승, 미만이면 경기 하락 전망을 하는 이들이 많다는 의미다. 중국은 올 3월 이후 한 차례를 빼고는 이 지수가 모두 50 미만인 수준이다.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올 들어 중국 경제관련 지표들은 긍정과 부정적인 지표들이 동시에 나오는 상황이다. 중국 경기가 침체냐, 회복이냐의 갈림길에서 1년여를 보내고 있는 셈이다.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1월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10월 이어 기준치 50 아래로 떨어지면서 경기 수축 국면이 이어졌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PMI는 50.5%로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했고, 중견기업 PMI는 48.8%로 전월보다 0.1%포인트 상증했다. 중소기업 PMI는 47.8%로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

제조업 PMI를 구성하는 5개 하위지수 중 생산지수, 공급업체 납기지수는 50보다 높은 반면 신규주문지수, 원자재재고지수, 직원지수는 50보다 낮게 나타났다.

생산지수는 50.7%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했으나 여전히 50보다 높아 제조업 생산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수주지수는 49.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해 제조업 시장 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재고지수는 48.0%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해 제조업 주요 원자재 재고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지수는 48.1%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해 제조업 고용이 소폭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업체 배송시간 지수는 50.3%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증가해 제조원자재 공급업체의 배송 속도가 계속 빨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PMI 통계는 관련 분야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한편 11월 비제조업 기업활동지수는 50.2%로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했으나 여전히 50보다 높아 성장세를 이어갔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기업활동지수가 55.0%로 전월 대비 1.5%포인트 상승했고, 서비스업 기업활동지수는 49.3%로 전월 대비 0.8%포인트 감소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