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글로벌 반도체 기업 Top 10, 1위 엔비디아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반도체 기업들은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12월 22일 시장가치(시가총액) 기준 세계 반도체 Top 10 기업은 다음과 같다. 

 

1위 엔비디아

2위 TSMC

3위 브로드컴

4위 삼성전자

5위 ASML

6위 AMD

7위 인텔

8위 퀄컴

9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10위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시장가치 기준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은 엔비디아(NVIDIA)이다. 2023년 12월 22일 기준 엔비디아의 시장가치는 1조 2360억 달러에 달한다. 1993년 설립되어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1999년 GPU를 발명하고 가속 컴퓨팅 분야를 개척했다. 2023회계연도 매출은 269억 7000만 달러, 이익은 43억 7000만 달러다.

2위는 시가총액 5338억 3000만 달러의 TSMC이다. TSMC는 1987년 설립돼 대만 신주에 본사를 두고 있다. 현재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로 지난해 매출은 759억 달러, 이익은 340억 달러였다.

3위는 미국 브로드컴으로 시가총액이 4737억 1000만 달러이다. 2023회계연도 기준 매출 358억 달러, 이익 140억 달러를 기록했다.

4위는 삼성전자로 시장가치는 3714억 4000만 달러이다. 지난해 매출은 2453억 달러, 이익은 352억 달러였다.

5위는 네덜란드 ASML로 시가총액 3013억 4000만 달러이다. 지난해 매출 222억 5000만 달러, 이익 59억 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6위 AMD는 시가총액 2243억 9000만 달러로 CPU와 GPU 업계의 거인이다. CPU는 인텔에 이어 세계 2위, GPU는 엔비디아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시장가치 1926억 2000만 달러이며 지난해 매출 630억 5000만 달러, 이익 80억 1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8위는 퀄컴(Qualcomm)으로 시가총액 1576억 5000만 달러이다. 세계 최대 무선통신 반도체 공급업체로 2023회계연도 매출 358억 2000만 달러, 이익 73억 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9위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로 시가총액 1520억 5000만 달러이며 2022년 매출 200억 3000만 달러, 이익 87억 달러를 기록했다.

10위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로 시가총액 1332억 6000만 달러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