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4년 중국 일반 가정의 자녀(0~17세) 양육비는?

 

'53만 8312위안'

한화로 약 9970만 원이다. 중국 한 가정에서 17세까지 자녀를 키워내는 데 들어가는 평균 양육비다. 한국에 비하면 적지만, 중국 일반 가정의 평균 소득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편이다. 

더욱 문제는 이 같은 양육비가 갈수록 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처럼 중국 역시 아이를 키워내는 양육비 부담에 출산율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의 학계 전문가들이 설립한 '위와인구연구(育娲人口研究)'가 '2024년 중국 출산 및 양육 비용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일반 가정에서 자녀(0~17세) 양육에 드는 평균 비용은 53만 8312위안(약 9970만 원)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 양육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0~2세 7만 3614위안, 3~5세 10만 9614위안, 6~14세 24만 3063위안, 15~17세 8만 7021위안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평균 양육비는 도시 가정이 66만 7000위안으로 농촌 가정 양육비 36만 5000위안의 두 배에 달했다.

현재 양육비는 중국 젊은 세대의 출산 기피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양육비가 증가하면서 중국의 신생아 수는 최근 2년 연속 잇달아 1000만 명을 밑돌았다.

중국의 신생아 수가 1000만 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인구는 14억 967만 명으로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의 자리를 인도에게 빼았겼다.

양육비 문제는 한국 상황을 보면 더욱 적나라해진다.

최근 한국 통계청 조사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은 지난해 4분기 기준 0.65명로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다. 이는 세계 주요 경제국들 중에서도 최저치다. 

지난해 한국에서 태어난 아기 수도 23만 명에 그쳤다. 8년 전의 절반 수준이다. 이 같은 출산율이 지속된다면 한국 인구는 약 50년 뒤인 2072년에는 3600만 명대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의 미래가 한국일 수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