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4년 중국 일반 가정의 자녀(0~17세) 양육비는?

 

'53만 8312위안'

한화로 약 9970만 원이다. 중국 한 가정에서 17세까지 자녀를 키워내는 데 들어가는 평균 양육비다. 한국에 비하면 적지만, 중국 일반 가정의 평균 소득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편이다. 

더욱 문제는 이 같은 양육비가 갈수록 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처럼 중국 역시 아이를 키워내는 양육비 부담에 출산율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의 학계 전문가들이 설립한 '위와인구연구(育娲人口研究)'가 '2024년 중국 출산 및 양육 비용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일반 가정에서 자녀(0~17세) 양육에 드는 평균 비용은 53만 8312위안(약 9970만 원)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 양육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0~2세 7만 3614위안, 3~5세 10만 9614위안, 6~14세 24만 3063위안, 15~17세 8만 7021위안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평균 양육비는 도시 가정이 66만 7000위안으로 농촌 가정 양육비 36만 5000위안의 두 배에 달했다.

현재 양육비는 중국 젊은 세대의 출산 기피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양육비가 증가하면서 중국의 신생아 수는 최근 2년 연속 잇달아 1000만 명을 밑돌았다.

중국의 신생아 수가 1000만 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인구는 14억 967만 명으로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의 자리를 인도에게 빼았겼다.

양육비 문제는 한국 상황을 보면 더욱 적나라해진다.

최근 한국 통계청 조사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은 지난해 4분기 기준 0.65명로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다. 이는 세계 주요 경제국들 중에서도 최저치다. 

지난해 한국에서 태어난 아기 수도 23만 명에 그쳤다. 8년 전의 절반 수준이다. 이 같은 출산율이 지속된다면 한국 인구는 약 50년 뒤인 2072년에는 3600만 명대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의 미래가 한국일 수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