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자심득: 유한 도(道)는 완전한 도가 아니다.

 

편집자 주: 본 시리즈 '노자심득'은 노자의 도덕경에 대한 이야기다. 노자는 유가의 공자도, 도가의 장자도 스승으로 여겼던 이다. 세상에 딱 한 권의 책 도덕경을 남겼다. 5000자의 도덕경은 총 81개의 장으로, 37장까지를 도경, 44장을 덕경이라고 한다. 

노자는 이 도덕경을 통해 모든 것을 주관하는 하나의 원리가 있음을 제시하고, 그 원리를 따르라 권한다. 원리를 따르면 흥하고 따르지 않으면 망한다 한다.

하지만 묘한 게 그 원리가 도대체 무엇인지, 노자는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것을 네가 안다 하는 순간, 그 도는 무엇인가 변질된 도라고 한다. 묘한 말이지만,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노자의 생각에 공감을 하게 된다.

노자가 말하는 원칙 앞에서 스스로를 숙이게 되고, 순응하게 된다. 이에 수천년 장구한 동양의 역사에서 도덕경은 이 원칙, 천지창조의 진리로 인도하는 비서(秘籍)로 여겨졌다.

하지만 그 난해한 문구 탓에 아쉽게도 오늘날, 특히 한국에서 노자는 잊혀가는 인물, 도덕경은 잊혀져 가는 책이 됐다. 많은 이들이 도덕경을 읽은 현인이 남긴 말에는 감탄하면서 정작 노자의 말은 읽지 않는다.

이번 시리즈는 이에 노자의 생각, 노자에 대한 집필자의 생각을 나누고자 마련됐다. 노자가 이야기 하듯 진리는 하나지만, 그 진리는 무수한 다른 형태로 발현된다. 마치 서로 다른 듯 하지만 결국 하나인 것이 진정한 진리요, 노자가 이야기하는 도다. 그래서 도덕경에 대한 수많은 생각들은 다 틀리면서도 다 맞는 하나로 귀결된다. 

이번 시리즈가 하나의 진리에 대한 우리 사회 개개인들의 추구에 작은 도움이 됐으면 한다.

 


 

"네가 꽃이라 하니, 그저 네게 꽃인 것이다. 안 부른다고 꽃이 꽃이 아니더냐?"

존재에 대한 인신과 진정한 존재에 대한 성찰이 도덕경의 시작이다. 

 

있고, 없고는 종이 한 장 차이다.

문턱 하나의 구분이다.

 

도덕경의 1장이 이야기하는 진리다.

유(有)와 무(無)

있고, 없고의 차이다.

 

무엇이 유요, 무엇이 무인가?

노자는 도(道)를

먼저 이야기한다.

 

도는 유와 무를 관통하는 하나다.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도는 그 사이에

문(門)을

두고 있다.

 

만물이 있는 문의 이쪽은

있음이 있고,

문의 저쪽은 없음이 있다.

 

유는 언제나

구체적이다.

틀이 있고,

모습이 있다.

 

모든 게 유한한 게

바로 유의 세계다.

 

반면, 없음에는

비구체적이며,

틀이 없고,

모습이 없다.

 

모든 게 무한한 게

바로 무의 세계다.

 

도는 존재를

존재로 있게 하는

에너지다.

 

유한의

유의 세계에서는

존재가

틀이 있고,

유한하지만,

 

무한의

무의 세계에서는

존재가

무한하다.

항상(恒常) 그렇다.

 

항(恒)은 태양이

뜨는 하늘의 도리요.

상(常)은

별이 가는 하늘의 길이다.

 

유한은 결국

무한을 따르게 된다.

 

유한의 존재인

사람이 묻는다.

 

“도란 무엇인가?”,

“도라는 게 있기는 한가?”

 

노자가 답한다.

 

“道可道,非常道;名可名,非常名。无,名天地之始;有,名万物之母。”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 명천지지시; 유, 명만물지모)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