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외로움은 그리움 끝에 온다. "새야, 이 마음 전해줄려."

외로움은

홀로 있다고

느끼는 게

아니다.

 

문득

누군가 그리울 때

그 누군가가

몹시도

보고플 때

 

그 보고픈 이를

볼 수 없을 때

 

그 때

외로움은

검푸른 바다 밀물처럼

온 몸을

젖시어 온다.

 

그리움이

일상이 되면,

외로움도

일상이 된다.

 

일상이 된

외로움은

약도 없다.

 

그리운 이도

아직

나를

그리워한다는

믿음만이

외로움이

일상이 된

이를

버티게 할뿐이다.

 

그렇게 나온 싯구다.

“持此谢高鸟,因之传远情。”(지차사고조, 인지전원정)

“고마운 새야, 이 마음 전해다오”

 

당시인 장구령의 감우4수 중 3수다.

 

담담하지만

그래서 더 짙은 그리움이,

외로움이 묻어난다.

 

시정은 이렇다.

 

골목길 홀로 걸어

집에 들어와

마루에 걸터앉아

하늘을 보니,

저 높이 나는 새

“고마운 새야, 이 마음 전해주렴”

마치

저 노을이 내 마음과 같다.

누가 있어,

이 마음 알아나 줄까?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