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박물관, 중국 공산당 업적 강화하는 상설 전시관 개관...중 정부 의식화 교육 일환?

홍콩 정부가 최근 역사박물관에 '국가안보전시관'을 개관한 데 이어 지난 9월 3일에는 '해안방위박물관'의 명칭을 ‘항일해안방위박물관’(이하 해방박물관)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9월 3일은 중국의 ‘항일전쟁승리기념일’이다.

이날 이름 변경과 함께 홍콩 정부는 박물관 내에 세계 2차 대전 중 중국 공산당 광둥성 인민항일 유격대 ‘동장부대’ 전시도 시작했다.

 

홍콩 당국이 역사의식 수정 작업에 본격 나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 공산당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역사관이다. 새롭게 시작된 전시관에는 홍콩 역사에 관심이 있는 중국과 외국의 방문객들이 몰렸다.

 

중화권 매체들에 홍콩 전문가들은 “이번 전시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동장 부대의 역할을 의도적으로 과장한 것”이라며 “홍콩의 역사를 다시 쓰려는 정부 의도의 한 단계였다”고 지적했다.

 

전시관 개설 기념식에서 이가치 관장은 “항일역사는 젊은이들이 고국과 조국에 대한 애착을 깊게 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자료”라며 “특별행정구 정부는 애국교육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말 그대로 기념 자체가 중국 내륙의 애국교육의 중요한 기관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날 이후로 해안방위박물관은 항일전쟁을 최우선으로 하고 해안방어를 차순위로 하는 박물관으로 바뀌게 되었다.

 

박물관 수석큐레이터 청루이센은 이번 전시가 홍콩 항일전쟁에서 다른 군인들의 역할을 폄하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새로운 박물관의 11개 전시관 가운데 4개 구역이 중국 공산당의 항일 전쟁의 역사를 기리는 상설 전시관이다. 홍콩 당국이 중국 공산당의 항일 역사 전시를 얼마나 중시하는 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또 박물관은 특별전시관에서 오는 2025년 7월 2일까지 ‘동장부대’ 각종 사용 용품을 전시하는 특별 전람회도 진행되고 있다.

 

그럼 동장부대는 얼마나 유명한 공로를 세웠을까? 홍콩 역사 전문가들은 동장부대가 공산 유격대로 항일 전투에 나서 당시 일본군에 포로로 잡힌 영국군 등을 도운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당시 정규 부대로 편성돼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던 정규부대와 비견할 공을 세운 것은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홍콩 대의원이면서 역사 연구자인 예미엔롱은 “동장부대가 공이 있다고 해도 정규부대 만큼은 아니다”며 “사실 당시 중국 공산당 자체 부대마저 정규 부대 편성이 이뤄지지 않았을 때다. 자연히 홍콩에서 공산당이 항일 전쟁에서 공을 세울 여지가 없었고, 찾아낸 것이 동장부대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전시회에서 기존 정규부대의 공은 줄이고, 동장부대의 공은 과대평가 했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