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9월 사회 대출 총액이 3조 7604억 위안

중국의 올 9월 사회대출 총액이 3조 7604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년 9월보다 증가폭은 줄었다.

중국 당국이 경기 활성화를 위해 유동성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실효성에서 기대에 못 미친다는 방증이어서 주목된다.

18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인민은행(이하 "중앙은행")은 올 1~3분기 사회융자규모 증가 통계 보고서와 금융 통계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9월 신규 사회융자규모는 3조 7,604억 위안(약 719조 2,517억 원)으로, 지난해 9월보다 3,722억 위안(약 71조 1,906억  원) 적었다. 또한 9월 위안화 대출은 1조 5,900억 위안(약 304조 1,193억 원) 증가하여, 지난해 9월보다 7,200억 위안(약 137조 7,144억 원 원)이 적게 증가했다.

9월 위안화 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7,200억 위안 (약 137조 7,144억 원)이 적게 증가했으나, 8월보다 6,900억 위안(약 131조 9,763억 원) 늘었다. 대출 잔액 증가율은 8.1%로 전월 말보다 0.4%p 둔화되었다.

기업 대출은 상대적으로 '견고한' 모습을 보였다. 9월 기업(사업) 단위 대출은 1조 4,900억 위안 증가(약 284조 9,923억 원)하여 전년 동기 대비 1,934억 위안(약 36조 9,916억 원) 적게 증가했다. 또한 9월 기업 중장기 대출은 9,600억 위안(약 183조 6,192억 원)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2,944억 위안(약 56조 3,098억 원) 적게 증가했다.

기업 단기 대출은 4,600억 위안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1,086억 위안(약 20조 7,719억 원) 적게 증가했다. 한편, 신규 어음 융자는 686억 위안(약 13조 1,211억 원)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2,186억 위안(약 41조 8,116억 원) 더 증가했는데, 이는 은행이 분기 말에 여전히 일부 어음 충당량 현상을 보였음을 나타낸다.

주택 대출 부분에서는 9월 가계 대출(또는 주민 대출)이 5,000억 위안(약 95조 6,350억 원)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3,585억 위안(약 68조 5,702억 원) 적게 증가했다. 그중 가계 단기 대출은 2,700억 위안(약 51조 6,429억 원)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515억 위안(약 9조 8,504억  원) 적게 증가했고, 가계 중장기 대출은 2,300억 위안(약 43조 9,921억 원)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3,170억 위안(약 60조 6,325억 원) 적게 증가했다.

9월 신용 대출 데이터와 관련해, 중국민생은행 수석 경제학자 원빈은 올해 들어 유효한 융자 수요가 약하고, 금융 데이터에서 '과도한 부분'을 제거하는 조정과 경제 구조 전환 등 여러 요인이 맞물리면서 신규 신용 대출 증가가 예년보다 전반적으로 미치지 못했고, 지난해 높은 기준치와 겹쳐 9월 신용 대출 증가율이 소폭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9월 하순에 각 부처는 여러 정책을 내놓았다. 예를 들어, 부동산 안정을 위한 정책으로 기존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 두 번째 주택 구입 시 최소 15%의 계약금 비율 인하, 보장성 주택에 대한 재대출 지원 강화, '화이트리스트' 프로젝트 대출 공급 확대, 유휴 토지 활성화 지원 등이 있다.

동방금성 수석 거시 분석가 왕칭은 9월 신규 신용 대출이 올해의 '마지막 하락'일 가능성이 있으며, 10월부터는 신규 신용 대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는 과정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의 판단 근거는 일련의 새로운 정책들이 시행됨에 따라, 특히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가 신용 대출 수요를 자극할 것이며, 지급준비율 인하 및 대형 은행의 자본 보충 등도 은행의 대출을 장려할 것이기 때문이다. 더 중요한 점은 현재 거시 정책이 전면적으로 전환되어 성장 안정을 위한 추가적인 힘을 가하고 있으며, 앞서 시행된 금융 '과도한 부분 제거' 효과가 사라짐에 따라 신용 대출의 증가는 현 단계에서 경제 성장 동력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이다.

원빈은 9월 하순부터는 지급준비율 인하, 금리 인하, 부동산 안정, 자본시장 활성화, 투자 및 소비 촉진 정책 등의 '종합 정책'이 시행되면서 정책 기조가 전환되고, 경기 조정이 강화됨에 따라 신용 대출 증가의 안정성을 어느 정도 뒷받침했다고 언급했다.

동시에 정책의 전면적인 시행과 함께 9월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가 5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하며, 계절적 요인보다 뚜렷하게 개선되었고, 내수의 안정화 조짐이 보였으며, 경제 활력이 다소 회복됨에 따라 신용 대출 수요가 이에 맞춰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