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항상 선하기가 어려운 게다

 

착하다는 건

선(善)하다는 건

무엇일까?

 

왜 우린

선하기 힘들고

착하기 힘들다

하는 것일까?

 

사실 우린

모두가

선이 무엇인지

악이 무엇인지

안다.

 

태어나면서

본능적으로

선과 악을

알고, 느낀다.

 

우리 모두가

선하다 하는 건

같다.

그냥 본능적으로

같다.

 

강보의 영아(嬰兒)는?

선하다 한다.

 

그저

울기만 하고

보채기만 하는데

그래도

선하다 한다.

 

아기가 거짓이 없기

때문이다.

좋으면 웃고,

나쁘면 운다는

알기 때문이다.

 

또 우리는 안다.

아기가 남을

해치질 능력도

마음도 없다는 걸.

심지어

아기는 그런 것조차

알지 못한다는 걸

우리는 안다.

 

버스에 올라탄

노인에게

임산부에게

누가 뭐라 하지 않아도,

좌석에

노약자, 임산부 보호석이라

써 붙여 놓지 않아도

일어서는

소녀는,

소년은,

우리는 선하다고 한다.

 

그렇게

우리는 선(善)을

안다.

 

세상에 태어나

붉은 것을

모두가 붉다하고

푸른 것을

모두가 푸르다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어떤 선이

있어,

붉은 색처럼

항상

붉을 수 있을까?

항상

푸르기만 할 수 있을까?

 

그래서 우리는

같은 사람이라도 아이는 선하지만,

어른은 악할 수 있다 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같은 아이라 해도 자리를 양보할 땐 착하지만

컨닝을 할 때는 악하다 하는 것이다. 

 

이렇듯 선은 한시적이고

항상 그렇기 힘든 것이다.

 

그래서 선하기 힘들고,

착하기 힘들다 하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