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1~10월 리튬전지 제조업 이윤 동기 대비 39.4% 증가

‘890GWh’

중국의 올 1~10월까지 생산된 리튬이온전지(이하 리튬전지) 생산량이다. 1GWh 는 백만 kWh다. 보통의 보급형 전기차의 배터리 용량은 50~60kWh 수준이며 고출력 고급형 전기차의 배터리 용량은 90kWh 정도다.

테슬라의 미국 텍사스주 공장에서 50GWh 전지를 생산한다. 이는 50kWh 배터리 차량의 경우 100만대 분량이다.

중국 배터리 생산 규모를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17일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10월까지 중국의 리튬전지 제조업의 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9.4% 증가했다.

산업 협회 추산에 따르면, 올 1~10월 전국 리튬전지 총생산량은 890GWh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같은 기간 리튬전지 제조업의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4% 증가했다.

중국 세계 최대 배터리 생산국이자 소비국이다.

유럽 등 서구 시장에서는 중국 기업들은 제조 우위의 직위를 이용해 글로벌 전기차 공급망을 농단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실제 유럽은 중국 배터리 산업의 독주를 막기 위해 유럽을 위한 배터리 제조사를 설립했으나, 결국 최근 파산했다. 중국 기업들이 자재공급을 제 때 하지 않으면서 배터리 공급 공기를 맞추지 못해 경영에 위기를 맞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유럽의 견제 가드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 중국 배터리 산업은 이에 굴하지 않고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배터리 부문에서는 에너지 저장형 리튬전지의 생산량이 200GWh를 초과했으며, 신에너지차에 사용되는 동력형 리튬전지의 탑재량은 약 405GWh에 달했다. 전국 리튬전지 수출 총액은 3,502억 위안(약 69조 76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감소했으나, 감소폭은 올해 상반기 대비 3.3%포인트 축소됐다.

1차 소재 부문에서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의 생산량이 각각 약 240만 톤, 155만 톤, 165억㎡, 100만 톤으로, 모두 전년 동기 대비 21% 이상 증가했다. 2차 소재 부문에서는 배터리용 탄산리튬의 생산량이 54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으며, 배터리용 수산화리튬의 생산량은 30만 톤으로 27% 증가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배터리용 탄산리튬과 미분급 수산화리튬의 평균 가격은 각각 톤당 8.8만 위안(약 1,735만 8,000 원)과 8.4만 위안(약 1,656만 9,000 원)으로 집계됐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