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탐욕의 끝은 '몰락'이다.

어디까지 탐할 것인가?

삶에서 가장 큰 고민이다. 어디까지가 욕심이고, 어디까지가 당당한 대가인가?

고전은 대단히 쉬운 답을 준다.

 

“먼저 잃을 것을 살펴라!”

얻을 것에 현혹되지 말고, 잃을 것을 살펴서 잃을 것이 감당이 된다면, 그럼 욕심이 아니고 정당한 대가를 바라는 것이니, 일을 진행하라는 것이다.

 

옛날 한 돈에 눈이 번 부자가 있었다. 돈이라면 사죽을 못쓰는 것으로 천하에 소문이 났다.

하루는 소문을 듣고 수도의 귀족이 찾아와 거금을 내놓으며 부탁을 했다.

“내 죄를 뒤집어 써주면 이 돈을 줄테니 어떤가?” 눈앞에서 수백만량의 황금에 벌써 눈이 돌아간 부자가 물었다.

“어떤 죄요?”

“중죄지.” 귀족이 답했다.

놀란 부자가 물었다. “아니 그럼 죽을 수도 있겠소?”

귀족 짐짓 태연한 듯 웃으며 말했다.

“그렇기는 하지, 하지만 그럴 수도 있다는 건 아니고 아닐 가능성도 있다네. 그리고 돈을 보게 이 돈으로 로비를 하면 목숨은 건지겠지. 그리고도 남을 돈이지 않은가?”

 

이미 돈에 눈이 먼 부자가 이 말을 듣고 말했다.

“좋소. 내 당신 죄를 사겠소.”

 

그리고 부자는 황금을 가지고 와 식구들과 함께 흥청망청 쓰기 시작했다. 소식을 들은 친구가 찾아왔다.

“아니, 이보게. 황금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목숨도 좋은가? 귀족은 바보인가? 이 많은 황금을 주면서 죄를 팔게. 어서 가 없던 일로 하게.”

 

하지만 부자는 이미 황금의 달콤함에 취한 지 오래였다. 오히려 친구가 자기와 같은 기회를 못잡아 셈을 내는 것이라 생각했다.

“걱정마시게. 내 일은 내가 알아서 한다네.”

 

그리고 얼마 뒤 포졸들이 와 부자를 역모죄로 포박을 해 갔다. 조사를 통해 황금을 같이 쓴 가족들까지 공범으로 연루됐다.

일가족이 몰살하게 되자, 형장에서 부자가 눈물을 흘렸다.

“내가 다시 태어나면 절대 욕심을 내지 않으리라.”

 

작금의 한국의 정치상황도 연상시키는 중국 우화다. 세상은 한국이 망한다고 슬퍼하지 않는다. 부자와 부자의 가족만 형장에서 눈물을 흘렸듯, 한국인들만 눈물을 흘리게 된다. 그런 상황으로 몰고 가는 우리 정치인들이 밉기만 하다.


사회

더보기
대규모 헬스장 부실 경영 막는 유일한 방법은? 중 상하이 사전 건전성 단속이 최고
대형 헬스장의 돌연한 폐업은 소비자들에게는 엄청난 피해다. 피해자도 다수여서 지역 사회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중국의 헬스장은 한국보다 규모가 더 큰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데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은 아직 한국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자연히 한국보다 그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중국에서 상하이 시가 묘책을 내놓고 1년간 운용 성과를 올려 주목된다. 1년 전, <상하이시 체육 발전 조례>(이하 <조례>)가 공식 시행됐다. 그 중 여러 조항은 헬스업계가 어떻게 올바르게 선불 소비 영업 활동을 진행해야 하는지를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업 부서 외의 산업 주관 부서가 법규에서 선불 소비 영업 활동에 대한 감독 방안을 제시한 사례였다. 1년이 지난 후,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에 대한 감독 세칙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상하이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 금액과 사용 가능한 서비스 기한 및 횟수를 명확히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스포츠 산업의 선불 자금 ‘삼한’ 기준을 설정한 사례였다. 1월 13일, 상하이시 체육국은 여러 부서와 공동으로 <상하이시 체육 헬스업계 선불 소비 영업 활동 감독 실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