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탐욕의 끝은 '몰락'이다.

어디까지 탐할 것인가?

삶에서 가장 큰 고민이다. 어디까지가 욕심이고, 어디까지가 당당한 대가인가?

고전은 대단히 쉬운 답을 준다.

 

“먼저 잃을 것을 살펴라!”

얻을 것에 현혹되지 말고, 잃을 것을 살펴서 잃을 것이 감당이 된다면, 그럼 욕심이 아니고 정당한 대가를 바라는 것이니, 일을 진행하라는 것이다.

 

옛날 한 돈에 눈이 번 부자가 있었다. 돈이라면 사죽을 못쓰는 것으로 천하에 소문이 났다.

하루는 소문을 듣고 수도의 귀족이 찾아와 거금을 내놓으며 부탁을 했다.

“내 죄를 뒤집어 써주면 이 돈을 줄테니 어떤가?” 눈앞에서 수백만량의 황금에 벌써 눈이 돌아간 부자가 물었다.

“어떤 죄요?”

“중죄지.” 귀족이 답했다.

놀란 부자가 물었다. “아니 그럼 죽을 수도 있겠소?”

귀족 짐짓 태연한 듯 웃으며 말했다.

“그렇기는 하지, 하지만 그럴 수도 있다는 건 아니고 아닐 가능성도 있다네. 그리고 돈을 보게 이 돈으로 로비를 하면 목숨은 건지겠지. 그리고도 남을 돈이지 않은가?”

 

이미 돈에 눈이 먼 부자가 이 말을 듣고 말했다.

“좋소. 내 당신 죄를 사겠소.”

 

그리고 부자는 황금을 가지고 와 식구들과 함께 흥청망청 쓰기 시작했다. 소식을 들은 친구가 찾아왔다.

“아니, 이보게. 황금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목숨도 좋은가? 귀족은 바보인가? 이 많은 황금을 주면서 죄를 팔게. 어서 가 없던 일로 하게.”

 

하지만 부자는 이미 황금의 달콤함에 취한 지 오래였다. 오히려 친구가 자기와 같은 기회를 못잡아 셈을 내는 것이라 생각했다.

“걱정마시게. 내 일은 내가 알아서 한다네.”

 

그리고 얼마 뒤 포졸들이 와 부자를 역모죄로 포박을 해 갔다. 조사를 통해 황금을 같이 쓴 가족들까지 공범으로 연루됐다.

일가족이 몰살하게 되자, 형장에서 부자가 눈물을 흘렸다.

“내가 다시 태어나면 절대 욕심을 내지 않으리라.”

 

작금의 한국의 정치상황도 연상시키는 중국 우화다. 세상은 한국이 망한다고 슬퍼하지 않는다. 부자와 부자의 가족만 형장에서 눈물을 흘렸듯, 한국인들만 눈물을 흘리게 된다. 그런 상황으로 몰고 가는 우리 정치인들이 밉기만 하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