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스타트업 육성 특별구, 총 생산 20조 위안 육박

 

‘19조3000억 위안’

한화로 약 3,812조 7,150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지난 2024년 한 해 국가 첨단기술산업개발구(약칭 국가 고신구)의 총생산량(GDP)다.

명목 성장률은 7%를 훌쩍 넘어섰다.

고신구는 중국 당국이 국가 차원에서 글로벌 유니콘 기술 기업을 육성하는 곳이다. 중국의 ‘기술 굴기’의 꿈이 배양되는 곳이다. 중국 기술 굴기의 꿈이 무르 익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신부(工信部)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국가 고신구 경제산업 현황을 공식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국가 첨단기술산업개발구(국가 고신구) 발전 현황’ 관련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발표회에서 공업정보화부 기획사(规划司) 사장 야오쥔(姚珺)은 2024년 국가 고신구의 총생산(GDP)이 19.3조 위안에 달했다.

전년 대비 명목성장률 7.6%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 2024년 말 기준 국가 고신구에는 전국 33%의 첨단기술기업, 46%의 ‘전문·정밀·특수·신규(专精特新)’ 소형 선도기업(‘작은 거인’ 기업), 67%의 유니콘 기업이 집중돼 있었다.

앞서 공업정보화부는 여러 부처 및 지역과 협력하여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 정신과 전국 과학기술대회, 전국 신형 산업화 추진대회에서 제시된 방침을 철저히 이행하며, 기존 성과를 공고히 하고 혁신 발전을 도모했다.

중국 매체들은 “전략적 기획을 강화해 신시대 국가 고신구의 고품질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연구하고, 자원을 집중시켜 과학기술 혁신과 산업 혁신의 심층적 융합을 촉진했다.”고 평가했다.

앞서 중국 당국은 또한 전국 178개 국가 고신구를 대상으로 선도적 대형 프로젝트 및 응용 시범 사업을 추진해 투자 및 소비 수요를 지속적으로 확대했다. 그 결과, 2024년 국가 고신구의 산업 부가가치는 약 9.8조 위안(약 1,935조 9,9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중국 당국은 이 같은 기술 기업을 육성해 글로벌 시장의 산업 공급망 구조에서 중국의 위치를 생태계 상위권으로 올려 보낸다는 복안을 가지고 있다.

불과 10년전만해도 글로벌 산업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저 개발국이 세계의 소비재 등의 제조 공장, 한국과 일본, 유럽 등의 중간 및 고도 기술 산업, 미국과 유럽의 의학과 IT분야의 첨단 기술 산업을 주도하는 분업화가 일반적인 모습이었다.

하지만 중국은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디자이너’로 성장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중국 당국은 지난해 이 같은 산업기술 발전에 돌파구를 찾으려 힘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가 고신구 내에 체화(具身) 지능 로봇 및 인간형 로봇 등의 혁신 센터를 설립하도록 지원했다.

또 교육부, 과학기술부와 협력하여 ‘100개 산업단지-100개 대학-1만 개 기업(百园百校万企)’ 혁신 협력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그 결과, 국가 고신구 내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와 보유 발명특허 수는 전국의 약 50%를 차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