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인에 대한 글로벌 호감도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 매체 분석, 그 원인?

 

“세계인들의 중국인에 대한 호감도가 좋아지고 있다.”

중국 매체들이 일제히 이프소스, 천젠컨설팅 등 국제 여론조사 기관의 조사 결과에 주목하고 나섰다.

사실 글로벌 사회에서 중국인들에 대한 호감도는 대단히 낮은 편이다.

그런데 최근 이 호감도가 상승 반전한 것이다. 중국 매체들이 새롭게 원인 분석에 나섰다.

일단 중국 당 기관지인 런민르바오의 인터넷판인 런밍왕에 따르면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국제 사회의 직관적인 체감과도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실제 최근 외국인 관광객의 중국 여행 열기가 지속적으로 고조되었고, 중국 드라마와 영화의 인기도 높아졌으며, 외국 자본 기관들도 중국 자산에 더욱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일부 외신은 “중국의 국제 이미지가 ‘신비로움’에서 ‘매력적’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중국이 점점 더 ‘쿨 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당국의 일방적인 비자 면제 정책도 한 몫을 했다고 런민왕은 봤다.

현재 중국 당국의 비자 면제 정책 적용 국가는 47개국, 240시간 무비자 환승 정책 적용 국가는 55개국으로 확대돼 적용되고 있다. 즉흥적으로 떠난 중국 여행은 수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을 자발적인 중화문화의 전파자로 만들었고, 진실되고 가까운 문화 접촉은 ‘인지의 껍질’을 깨뜨려 마음의 울림과 공명을 이끌어냈다고 런민왕은 분석했다.

여기에 미국의 공도 적지 않은 것으로 런민왕은 분석했다. 보호무역주의가 고개를 드는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중국은 꾸준히 ‘옳은 일’을 해왔으며, 고품질 발전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고, 높은 수준의 대외 개방을 확고히 확대해왔다는 것이다.

올 1분기 중국 국내총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다. 1~5월 동안 중국의 상품 수출입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중국 경제는 난관을 헤치고 세계 경제의 주요 동력원 역할을 계속 이어가면 미국을 대신해 글로벌 경제 성장의 주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게 런민왕의 분석이다.

실제 현재까지 중국은 30개 국가 및 지역과 23개의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했고, 53개 아프리카 수교국에 대해 전 품목 100% 무관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런민왕은 전했다.

미국의 관세 전 포문 등 일방주의가 불안과 동요를 불러오는 가운데, 중국은 평화 발전과 협력 상생이라는 올바른 길을 꿋꿋이 지켜왔다고 런민왕은 주장했다.

런민왕에 따르면 최근 열린 두 개의 국제 정상회의를 비교해보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는 여전히 ‘작은 울타리, 높은 벽’을 부르짖으며 갈등과 대립을 조장했지만,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제2차 중국-중앙아시아 정상회의에서는 100건이 넘는 협력 합의가 이뤄졌다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