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문제가 일본 G20 정상회의 의제될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거론 가능성 높아 주목돼.

미중 무역갈등이 고조된 상황에서 열리는 일본의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는 국제 외교동향의 하나의 분수령을 이를 전망이다.

과연 세계는 갈등으로 갈 것인가? 방향을 돌려 새로운 번영을 추구할 것인가?

G20 각국 지도자들은 이런 갈림길에 서있다.

키를 잡은 이는 역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다. 둘의 갈등이 세계를 전반적인 신 냉전구도로 만들고 있다.

이에 오는 G20의 관전 포인트는 양국 정상회담이다. 둘이 만나 과연 무역갈등을 풀 것인가? 더 꼬이도록 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여기에는 한반도 비핵화문제 등을 포함한 많은 국제 이슈들이 엮여 있다. 둘의 입장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나머지 문제들도의 해결방법들도 정해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오는 G20 정상회의의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가 홍콩시위다.

홍콩은 최근 100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나서 중국과의 ‘범죄인도조약’ 개정을 연기시켰다. 시민들은 홍콩 의법원을 포위하고 조약 개정 절차를 원천봉쇄했다.

홍콩과 중국 당국은 어쩔 수 없이 한발 물러서 조약 개정을 연기키로 했다.

그런데 이 홍콩의 문제가 G20에서 논의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의 인권문제를 언급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당연히 중국 당국은 발끈하고 나섰다. 중국외교부 부장조리 장귄張軍은 지난 24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해당 사실이 언급되자, “중국은 G20에서 홍콩 문제가 거론되는 것을 허락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이어 “G20은 정치적인 모임이 아니라, 경제적인 모임이다. 세계 경제의 흐름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게 목적이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이게 미국이다. 중국이 허락하고 말고할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다.

특히 홍콩을 비롯한 중화권의 인권 단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기대하고 있다. 트럼프 역시 이번 홍콩 건을 무역갈등의 해법을 찾는데 무기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다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

실제 중화권 매체들은 “홍콩 문제가 일본 G20 정상회담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전 포인트가 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