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뚱뚱한 사람은 한번 먹은 것이 아니다.

胖子不是一口吃的 (pàng zǐ bù shì yī kǒu chī de)

뚱뚱한 사람은 한번 먹은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첫 술에 배부르랴'라는 속담과 비슷한 것으로 한번 해놓고 전부를 이룰 수 없다는 뜻이다. 중국인들의 특성을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이 소위 ‘만만디’이다. 중국인의 ‘만만디’에는 실리주의와 그 실리를 담보하기위한 신중이 그 밑바닥에 깔려 있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중국에 제조업체를 설립한 후, 금융 분야에서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금융회사 진출을 준비했다. 감독 규정에 따라 50%이상 외국기업 지분보유가 불가하므로, 중국 파트너를  찾아야 했다. 제조업체 합자 파트너가 이미 존재하고, 협상 경험도 풍부하므로 진행에 별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합자회사 설립을 위한 양측 협상에만 수년이 소요되리라는 것은 아무도 알지 못했다. 회사 설립이 곧바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가족까지 중국으로 데리고 온 협상담당 주재원들은 숯검정처럼 속이 타들어 갔다. 느릿느릿한 협상진도에 본사로 부터의 질책은 커져만 가고, 이러한 사정을 잘 아는 중국 측은 무리한 요구를 더 해 갔다. 양측의 권한과 책임을 놓고 지리한 협상이 끝나면 내부결재를 이유로 몇 달을 허송하고, 그 뒤에는 윗분 지시를 이유로 다시 협상하자는 식이다.

 

결국 참다못한 한국 측 협상책임자는 금융부문 진출 포기선언과 함께 주재원과 그 가족들을 전부 철수하는 초강수를 선택한다. 이때부터 중국 측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빠르게 움직였다. ‘만만디’는 선택형 느림이었다. ‘만만디’의 느림이라는 앞면은 빠름이라는 뒷면을 숨기고 있는 것이다.

 

중국인의 ‘만만디’를 제대로 이해해야만 중국 사업경영에 차질이 발생하는 것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오승찬

연세대학교 경영학 석사

(전) 현대해상화재보험 중국 법인장

(전) 중국한국상회 감사

(현) 해동주말 부대표

E-mail : ohcha01@naver.com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