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계란으로 바위를 친다. 무모한 도전을 한다.

鸡蛋碰石头 (jī dàn pèng shí tóu)

중국에서 기업을 경영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고 있는지 스스로 묻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여러 가지 중에 조직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일본 내 한국기업은 한국주재원, 일본 현지인, 재일동포로 구성되어 있지만, 별반 문제가 없다. 그러나 중국 내 한국기업은 한국주재원, 한족, 조선족이라는 구성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의사소통이 수월하다는 이유로 조선족 직원들과 가까운 분위기가 되면, 한족직원들과 껄끄러운 장면이 나타난다. 한국주재원, 조선족 다음에 한족이라는 차별이 있다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온다.

조선족 문제는 훨씬 복잡하고 미묘하다. 앞서 진출한 다른 한국기업의 사례를 참고하여, 현지화에 충실하고자 주요업무에 한족을 배치하고 대고객 한국어 서비스가 필요한 부문에만 조선족을 채용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조선족은 소모품에 불과하다는 불만들이 쏟아졌다.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로 한족이 전체인구의 약 91.5%, 한족을 제외한 55개 소수민족이 약 8.5%를 차지한다. 그중 조선족은 약 200만 명으로 소수민족 중 13번째 규모이다.

 

한국기업에게 조선족은 특별한 존재임에 틀림없다. 우리보다 20년 앞서 중국과 수교한 일본에 비해 단기간 내 한국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배경에 조선족을 빼놓을 수는 없다. 그러한 기여에 비하여 그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는 평가가 존재한다. 반면에 그들로 인한 피해사례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도 있다.

 

조직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면 사업이 정상적일 수 없다. 중국에서의 성공적인 기업경영을  위하여 다민족 국가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민족 간 파벌문제도 쉽게 지나쳐서는 안 된다.

 

 

 

 

 

 

 

 

오승찬

연세대학교 경영학 석사

(전) 현대해상화재보험 중국 법인장

(전) 중국한국상회 감사

(현) 해동주말 부대표

E-mail : ohcha01@naver.com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석탄도시로 유명했던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 경제 관광 도시로 변신에 성공해 중국에서 화제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문화

더보기
[영 베이징] '관광+ 문화' 융합 속에 베이징 곳곳이 반로환동 변신 1.
‘문화유적 속에 열리는 여름 팝음악 콘서트, 젊음이 넘치는 거리마다 즐비한 먹거리와 쇼핑 코너들’ 바로 베이징 시청취와 둥청취의 모습이다. 유적과 새로운 문화활동이 어울리면서 이 두 지역에는 새로운 상권이 형성됐다. 바로 관광과 문화 융합의 결과라는 게 베이징시 당국의 판단이다. 중국 매체들 역시 시의 놀라운 변화를 새롭게 조망하고 나섰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은 앞다퉈 두 지역을 찾아 르뽀를 쓰고 있다. “평일에도 베이징 시청구 중해 다지항과 동성구의 룽푸스(隆福寺) 상권은 많은 방문객을 불러모았다. 다지항의 문화재 보호와 재생, 룽푸스의 노포 브랜드 혁신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했다. 그뿐 아니라, 올여름 열풍을 일으킨 콘서트가 여러 지역의 문화·상업·관광 소비를 크게 끌어올렸다.” 베이징완바오 기사의 한 대목이다. 실제 중국 각 지역이 문화 관광 융합을 통해 ‘환골탈퇴’의 변신을 하고 있다. 베이징시 문화관광국 자원개발처장 장징은 올해 상반기 베이징에서 ‘공연+관광’의 파급 효과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형 공연은 102회 열렸고, 매출은 15억 위안(약 2,934억 6,000만 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