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스님의 체면은 봐주지 않아도, 부처의 체면은 봐주어야 한다.

不看僧面 看佛面
búkànsēngmiàn kànfómiàn
‘스님의 체면은 보지 않아도, 부처의 체면은 봐주어야 한다.’는 중국 속담이다. 아주 사소한 부탁이나 낮은 사람의 부탁이라도 그 사람 자체가 아니라, 그 사람의 배경 등을 고려하여 잘 들어주라는 뜻이다.

 

 중국 깡패 이야기다. 

 

<중국의 갱스터 보스(黑帮老大)>, <중국의 제1호 방주(第一帮主)> (帮主: (비밀 결사·파벌·집단의) 우두머리)로 불리우는 인물이다. 

 

중국 근대를 풍미한 '상하이탄(上海灘)' 청방(靑幇)의 보스 두웨셩(杜月笙·두월생).  밑바닥부터 시작해, 훗날 암흑조직의 최고인물이 되어 상하이탄을 장악했다.

 

그는 구타와 살인, 아편밀매를 일삼는 건달패 두목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는 장제스(蒋介石·장개석)의 반혁명 행동에도 적극 가담한다. 항전기간에는 팔로군(八路軍)을 적극 후원하기도 했다.

 

사교계의 큰 손이 되어 여러 명사들과 친분을 쌓았으며, 자선가로 변모하여 재단을 운영하는 등 이름을 날린다.

 

 '앙드레 말로’의 소설 ‘인간의 조건’ 사회적 배경이기도 한, 이른바 1927년의 ‘4.12 사건’에서 장제스의 명을 받고 휘하 조직을 총동원해, 상하이 내의 중국공산당 조직을 일망타진한다.

 

이때 사망한 공산당원은 300 ~ 400명, 실종자가 무려 5,000명이나 되는 엄청난 정치테러 사건이었다.

 

'4.12 사건'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력을 축출한 장제스는, 이후 北伐(북벌) 작업을 완수하고 중국 전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할 수 있었다.  동시에 두웨셩은 국민혁명군 육해공군 총사령부 고문으로 이름을 올려, 그의 지위를 크게 높인다. 장제스가 ‘낮의 총통’이었다면 두웨셩은 ‘밤의 황제’가 되어, 정치권력과 폭력이 결합하는 ‘권폭 유착(權暴癒着)’이 이루어진다.

 

드라마, 영화, 뮤지컬 ‘상하이탄(上海灘)’의 실제 주인공이 두웨셩이다.

 

2013년 봄 국내서도 개봉된 ‘大上海(대상해)’에서, 주윤발(周潤發)이 연기한 성대기(成大器) 캐릭터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두웨셩의 공산주의 탄압활동은 모두 삭제되어 있다.

 

또 영화에서는 부인이 한 명 있는 상태로, 과거의 연인이었던 예지추의 등장으로 마음이 흔들리는 모습을 그린다. 그러나 실존인물 두웨셩에게는 알려진 아내만 다섯 명이다.

 

두웨셩은 중국의 항일전쟁이 발발하자, 상하이 항일후원회에 참가하여 거금을 모금하고,  전선에서 급히 필요로 하는 통신기재, 장갑보호차량 등을 팔로군에게 지원한다.

 

팔로군 대표 판한낸(潘汉年·반한년)의 요청에 따라, 1000개에 달하는 수입제 방독면구를 보내주었다.

 

일왕 히로히토의 생일인 1932년 4월 29일, 홍커우공원((虹口公园)에서 전승축하기념식이 열린다. 이때 일본정계와 군 고위요인들을 폭살하는 거사를 결행한 윤봉길의사를 도와주고, 김구선생의 도주도 적극 지원하는 등 우리와의 인연도 있다.

 

1949년 장개석은 두웨셩에게 대만으로 가 줄 것을 희망한 반면,  공산당 또한 그에게 상해에 남아주기를 바랐다.  그러나 그는 당시 영국행정권에 있는 홍콩을 선택한다. 아편중독으로 병마에 시달리다, 1951년 63세로 길지 않은 일생을 마감했다.

 

두웨셩이 생전에 한 말이다. "내 평생 가장 먹기 어려운 면('얼굴 面' 자와 '국수 麵' 자의 발음이 같다)이 세 가지가 있는데, 체면(脸面), 정실관계(情面), 상황(场面)이다."

 

중국대륙 최고의 암흑가 보스도 체면 관리가 가장 어려웠던 모양이다.

 

 

 

 

 

 

 

 

오승찬

연세대 경영학석사

(전) 현대해상 중국법인장

(전) 중국 한국상회 감사

(현) 해동주말 부대표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