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중국, 'SKY캐슬'신드롬

望子成龍, 望女成鳳
wàng zǐ chénglóng wàng nǚ chéng fèng

‘아들은 영웅이 되기를 바라고, 딸은 봉황이 되기를 바란다.’는 뜻인데, 자식이 출세하기를 바라는 부모의 간절한 소망을 표현한 것이다. 내 자식만은 최고로 키우고 싶은 그 마음은 어느나라나 별 차이가 없다.

 

 작년 이맘 때 이야기다. 중국 <환구시보> ‘오락·체육’면이 국내 JTBC방송에서 한창 인기리에 반영되고 있던 ‘SKY캐슬’ 기사로 채워졌다. ‘배우들의 연기, 속도감 있는 극 전개, 캐릭터의 반전’을 흥행요소로 꼽으며, 우리나라에 결코 뒤지지 않는 중국에서의 ‘SKY캐슬’신드롬을 보도했다. 중국 소셜 네트워킹인 ‘웨이보(微博)’에서 ‘SKY캐슬’의 중국 제목인 ' 天空之城 '의 최종회(大结局)를 검색해 보면, 조회 수  9,700만, 토론 1만 8천을 넘는다.

 

 중국은 1979년 소수민족을 제외한 전 가정에 한 자녀만 갖도록 하는 정책을 실시한 이후, 가계 소비의 대부분이 자녀교육에 집중되고 있다. 부모들은 하나밖에 없는 자식을 잘 키워 명문 학교에 보내겠다는 마음이 간절하다. 이들이 선호하는 곳은 베이징 대학(北京大學)을 포함한 전국적으로 열 손가락 안에 드는 대학에 집중되어 있어, 많은 학생들이 이들 대학의 입학을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공부를 하고 있다. ‘SKY캐슬’의 현실이 이웃 나라 한국만의 이야기가 아닌 것이다.

 

 중국 대학입시 수험생은 한 해 1,000만 명 정도로 그 중 재수생(復讀生)이 20%를 차지한다.  4년제, 전문대학 입학정원이 각각 350만 명 수준이다. 베이징 대학은  한 학년에 3,000여 명만 입학할 수 있다. 이 인원을 각 성, 자치구, 특별구, 직할시 별로 할당을 한다. 그러면 할당된 인원을 가오카오(高試, 중국의 대입능력시험)를 통해 선발한다. 시험 문제는 행정 단위별로 다르게 출제한다.

 

 가오카오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는 좋은 고등학교에 진학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좋은 중학교에 들어가야 한다. 그런데 중학교 배정이 우리나라 학군제와 같은 학구방(学区房)에 의해 정해진다. 베이징 시내의 소문난 소학교, 중학교 부근 집값은 평당 5,000만원(우리 화폐기준)을 훌쩍 넘는다. 우리의 강남 8학군 집값과 비슷한 형태다.

 

 중국은 기본적으로 중, 고교 평준화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중점학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교육위원회가 학교 시설, 교사의 자질 등을 종합평가하여 선정하는 학교다. 중점학교는 성적이 매우 우수한 학생들만 진학할 수 있다.

학교에 입학하면, 자체 시험을 통해 우리 개념의 우열반을 편성한다. 중국에서는 ‘균등화 작업’이라고 부른다. 학교, 교실을 불문하고 비슷한 수준의 학생들에게 ‘균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개념이다. 또한 성적이 우수하면 월반(跳班), 불량하면 유급(蹲班)제도가 있다.

 

 이와 같은 입시경쟁은 그 준비가 유치원부터 시작한다. 중국에서는 이미 유치원 교육이 필수라고 할 수 있다. 베이징에 소재한 인기가 많은 유치원의 경우 한달 학비가  85만원(우리 화폐기준) 수준이다. 국제 유치원의 경우는 월 170만원이 넘는다. 중국 대도시 근로자 월평균 소득이 140만 원대임을 고려할 때 과도하다. 이외에도 영어, 피아노, 컴퓨터 등의 사교육을 유치원 때부터 시작한다.

 

 베이징의 소학교 수업이 끝나는 시간이면, 아이들을 데리러 오는 자동차들이 정문 앞에 줄지어 있다. 자가용이 없는 아이들은 대개 할아버지들이 자전거로 태우고 간다. 대부분 아이들이 과외공부를 하기 위해 사설 학원으로 가는 것이다. 이름난 영어학원의 경우, 시험을 통해 아이들을 선발하고, 시험을 통과해도 대기하는 기간만 길게는 1년이 넘게 걸린다고 한다. 강남의 유명 어학원과 같은 상황이다.

 

 'SKY캐슬’드라마가 종영되고 한 달여 뒤, 중국 <인민일보> 인터넷판에서는 '큰소리한국(大话韩国)'  코너 대담에서 우리나라의 입시교육문제를 자세하게 언급했다. ‘한국에서는 할아버지의 재력, 엄마의 정보력, 아빠의 무관심이 입시 성공의 핵심이라는 말이 있다.’며 ‘교육 근심(敎育焦慮)’이라는 용어까지 사용했다.

 

 그러나 중국의 입시교육은 과연 문제가 없는 것인지, 우리와 무엇이 다른지 되묻고 싶다.  'SKY캐슬’드라마가 왜 중국에서도 신드롬을 몰고 왔는지 되짚어 볼 일이다.

 

 

 

 

 

 

 

 

 

오승찬

연세대 경영학석사

(전) 현대해상 중국법인장

(전) 중국 한국상회 감사

(현) 해동주말 부대표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홍콩에서 연애 게임 캐릭터와 실제 현실에서 만나는 '이차원 연애' 유행
남자 친구 만들기 게임이 현실 속에 실행된다면? 게임 캐릭터같은 남자친구랑 하루의 완벽한 데이트를 즐길 수 있다면 당신은 얼마를 지불 할 수 있나요? 좀 이상하게 들리는 질문이다. 돈을 주고 남자 친구를 만들고, 아무리 잘해준다고 해도 연애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까? 하지만 요즘 세대는 다르다. 홍콩에서 완벽한 남자 역을 사는 일일 데이트 ‘이차원 연애’가 유행하고 있다. 이차원이라 하는 것은 현실 3차원 속의 연애가 아니라, 2차원 게임 속의 연애를 현실로 이어간다는 의미를 포함한 것이다. 그런데 이 이차원 연애의 남자 친구들은 겉모습만 남자이지 실은 여성이 남자처럼 꾸미고 대행 역할을 해주는 게 특징이다. 그래서 홍콩에서 이 ‘이차원 연애’를 ‘cos-위탁’이라고 부른다고 BBC중국어 방송은 전했다. 코스프레의 코스와 역할을 맡기다는 위탁이 합쳐진 용어로 풀이된다. 실제 남성보다 어린 여성들이 접근하기에 여성이 더 안전해 남자 친구역을 여성이 맡게 됐다고 한다. 헌출한 키에 남성처럼 꾸미고, 데이트를 신청한 여성을 위해 하루 봉사를 한다. 대략 비용은 하루 500위안, 한화로 9만5000원 가량이다. 하루 데이트 경비는 신청한 여성이 같이 부담한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