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자외선 차단제 브랜드 top 10

 

황사와 스모그가 심하기로 유명한 곳이 중국이다. 그런 중국에서 의외로 잘나가는 상품이 자외선 차단제다. 

왜 그럴까?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땅 크기를 염두에 둬야 한다.

서울에 스모그가 끼면 대략 전국에서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는 우리와 달리 중국에서는 베이징에 스모그로 한치 앞을 보지 못한다고 해도 다른 지역에서는 햇볕이 쨍쨍하기만 한 경우가 많다. 

특히 중국의 햇볕은 적지 않은 사람들이 우리 보다 자극적이라고 느낀다. "하늘이 더 가깝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다.

다음은 중국에서 잘 나가가는 자외선 차단제 10위다. 특성 등을 알아두면 중국 시장 공략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듯 싶다.

 

1.美肤宝 : 美白隔离防晒霜

가장 판매량이 높으며, 자외선 손상을 방지하고 피부가 햇볕에 타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중국 10대 자외선 차단제 중에서 이 자외선 차단제는 상쾌한 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 후 매우 편안하다.

 

2.相宜本草 : 红景天美白隔离防护乳

한방 피부 관리용 자외선 차단 제품으로 익모초를 함유하고 다양한 미량 원소가 풍부하여 피부 톤을 균일하게 하고 피부 세포의 신진 대사를 촉진하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

 

3.丁家宜 : 防晒修颜隔离露

중국 10대 자외선 차단제 중 순하고 자극이 적다. 민감성 피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손상을 차단하고 피부 대사를 촉진하며 피부 복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温碧泉 : 0动美白防晒霜

다양한 선 스크린 보습 성분을 사용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의 내성을 개선하며 자외선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 자외선 차단제는 메이크업을 지우지 않고 효과적으로 피부 톤을 밝게 한다.

 

5.珀莱雅 : 防晒霜隔离乳液

중국에서 잘 알려진 스킨 케어 브랜드로 자외선에 견딜 수 있는 황금 해초 성분이 함유된 자외선 차단 로션으로 보습력이 뛰어나고 건조하지도 않다. 저렴하여 경제적인 선크림으로 손에 바르면 매우 촉촉하고 부드러워 손에 쉽게 흡수되고 질감이 산뜻하고 기름기가 없어서 여름에 적합하다.

 

6.兰瑟 : 清透水感防晒隔离乳

여름 자외선 차단에 적합한 스킨 케어 제품으로 산뜻하고 촉촉한 텍스쳐가 피부 톤을 효과적으로 밝게 해준다. 중국 10대 선크림 중 향이 옅고 기름기가 전혀없는 선크림으로 바르면 피부가 하얗게 된다.

 

7.自然堂 : 多重隔离防晒乳

강력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기름기가 없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다. 외출 전 바르기만하면 안색을 밝게 하고 자외선 손상을 막아준다. 로션 텍스쳐가 산뜻하고 번들거리지 않아 많은 여성들에게 사랑 받고 사랑 받고 있다.

 

8.大宝 : 防晒霜

산뜻한 질감과 좋은 보습 효과를 가진 비용 효율적인 남녀 공용 제품이다. 일상이든 캠핑이든 어느 때나 바르기에 좋은 제품이다. 해초 추출물은 피부의 수분 유지력을 높이고 부담없이 상쾌하게하며 피부 콜라겐을 보충 할 수 있다.

 

9.百雀羚 : 防晒霜

12.5 시간까지 지속되는 허브 미백 선크림이다. 센 텔라 아시아 티카와 화이트 투카 호 허브 에센스가 풍부하여 피부에 부드럽게 촉촉하게 가꾸어준다. 선크림의 질감이 가볍고 무겁지 않다.

 

10.欧珀莱 : 烈日防晒隔离乳液

백리향 추출물을 함유하여 뜨거운 태양 아래서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으며 이산화 티타늄은 피부에 대한 자외선 손상에 효과적으로 저항 할 수 있다. 가볍고 통기성이 뛰어나 피부가 자유롭게 숨을 쉴 수 있다. 고출력 자외선 차단제로서 특히 편안하고, 텍스처는 매우 촉촉하고 기름기가 없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