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여성의 투자 수익, 남성보다 높아

 

중국어에 '뉴창런'(女强人)이란 표현이 있다. 

여성이지만, 남성 못지 않게 사회활동에서 성과를 내는 이들을 가리킨다.

상하이 등 남부지역에 많다.

 

한국에서 중국인에 대한 착각 가운데 하나가 중국도 우리처럼 완벽한 남성중심의 사회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아쉽지만 절반만 맞다.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지역, 전통 봉건문화의 흔적이 많은 지역에서만 맞다.

상하이, 광저우 등지에서는 완전히 상황이 달라진다.

 

<중국 아름다운 생활 대조사(2020~2021)>데이터를 보면, 투자 분야에서 여성들도 절대 남성에게 못지않다. 여성들은 돈을 쓸 줄만 안다고 여긴다면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남성의 경우는 주식, 황금 등 각각 29.87%, 25.26%로 급진적 투자에서 여성보다 훨씬 높았다. 여성의 경우는 보험, 은행 재테크 등 각각 24.71%, 18.46%로 안정적 투자에서 남성보다 높았다.

 

여성들의 증권 투자 수익은 어떨까? 조사에 따르면 투자에 있어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손해보는 비율이 낮았으며 수익을 내거나 원금을 유지하는 비율은 높았다.

 

돈이 있는 여성들의 투자처를 도시별로 알아보면, 투자에 가장 적극적인 여성은 지난 여성으로 부동산, 주식, 선물, 황금 등 귀금속 분야에서 1등 투자자로 꼽혔다.

 

펀드 투자를 가장 선호하는 이들은 하얼빈 여성, 보험 투자를 가장 선호하는 이들은 베이징(北京) 여성, 은행 재테크 상품을 가장 선호하는 이들은 난창 여성으로 나타났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