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게임 회사 Top 5...텐센트가 1위

 

전자게임의 본질은 사람이다. 사람이 게임을 하지, 기계가 게임을 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중국은 세계 최대 게임 시장이다.

중국은 철저히 시장 보호 정책을 펼치며 자국 게임사에게만 그 시장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기회를 중국 게임사들도 철저히 이용하고 있다.

그렇게 번 돈을 다시 투자를 하면서 중국 게임사들은 글로벌 강자가 되고 있다.

그동안 전자게임분야에서 선두를 달렸던 한국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주요 게임사들의 목록을 정리해봤다.

 

 

1. 텐센트 게임 (腾讯游戏)

텐센트게임은 2003년 설립된 텐센트의 게임 개발 및 운영기관으로 텐센트의 4대 온라인 플랫폼 중 하나이자 세계 10대 유명 게임사 중 하나로 현재 왕의 영광, 평화의 엘리트 등 다수의 모바일 게임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8억 명이 넘는 이용자를 연결하고 있다.

 

2. 넷이즈 게임 (网易游戏)

넷이즈게임은 2001년 넷이즈가 설립한 온라인게임사업부로, 20여 년의 성장을 거쳐 현재 중국 MMORPG게임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드림서유2, 무혼, 천하3, 천녀유혼2 등 다수의 대형 온라인게임을 자체 개발, 운영하고 있으며, 오버워치 및 월드오브워크래프트의 국내 운영권도 보유하고 있다.

 

3. 완미세계(完美世界)

글로벌 문화오락산업 그룹이자 세계적인 온라인게임 플랫폼 서비스 업체로 주선, 소오강호OL 같은 대형 게임과 신신마대륙, 신주선 같은 모바일 게임이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 100여 개국에 걸쳐 있다.

 

4. Xoyo(金山逍遥)

1995년부터 시작한 게임사업으로 2003년 본격적으로 게임산업에 뛰어들어 컴퓨터게임과 디지털TV오락사업에 전념한 Xoyo는 같은 해 10대 PC단말기 게임인 '검협인연 인터넷 버전'을 발간해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현재 전국 7대 블록버스터에 20여개의 지사와 사무소를 두고 전국 채널망을 망라하고 있다.

 

5. 성취유희(盛趣游戏)

1999년 설립된 글로벌 온라인게임 개발·운영·배급사로 탄생 이후 '알짜화·글로벌·신문화' 전략을 고수하며 시종일관 시너지 경험을 극대화해온 과학기술 문화기업으로, 2001년 운영된 '열혈전기'는 전 세계 대형 다중접속 게임 운영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