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미식 탐방 지역 추천 Top 5...광둥성이 1위

중국은 음식의 나라다. 다리 달린 건 책상 빼고 다 먹는다는 게 중국인이다.

수백, 수천 가지의 음식이 있어 미식가들을 유혹한다.

그런 중국의 음식에도 시대마다 지역마다 사람들의 인기를 끄는 순서가 있다. 인간의 모든 일에는 아쉽게도 평등은 없다. 1위부터 순서가 정해진다.

최근 중국 매체가 중국 전국 지역별 음식 인기도를 따져봤다.  일단 가장 많은 매출을 낸 것으로 기준을 정했다. 

매출이라? 역시 자본의 나라 중국이다. 중국은 자본주의의 나라가 아니라, 자본 그 자체의 나라다. 그만큼 천성적으로 자본주의라는 의미다.

 

1. 광둥(广东)요리

광둥요리는 중국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다. 중국 전통 8대 요리 중 하나이자 해외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중국 음식으로 통한다. 지리적으로 남중국해와 접해 있고 온난습윤 기후 지역이라 풍부한 해산물과 채소, 과일 등을 주재료로 하는 요리가 많다. 홍콩, 마카오 등 유럽 문화가 일찍부터 뿌리를 내린 도시들의 영향을 받아 퓨전요리도 발달해 있다.

 

 

2. 산둥(山东)요리

산둥요리는 중국 전통 8대 요리계의 최고이자 유구한 역사가 있다. 북방음식의 대표격인 궁중요리의 기원으로 밀가루 음식과 간식이 유명하다. 산둥성과 광둥성은 비슷한 수입을 올리는 중국 음식의 대성이다.

 

3. 쓰촨(四川)요리

쓰촨요리는 중국 전통 8대 요리 중 하나다. 가장 특색 있는 요리 중 하나로 광둥요리와 함께 이미 세계로 뻗어나갔다. 중국 10대 유명 음식인 매운맛가루, 마라탕 등이 모두 쓰촨요리에서 유래했다.

 

4. 장쑤(江苏)요리

장쑤요리는 궁중에서 두 번째로 큰 요리 계열이다. 중국 전통 4대 요리계통과 8대 요리계통에 속한다. 끓이고 찌고 뜸들이는 것을 주요 요리방식으로 하여 국물 간을 비교적 중시한다.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다람쥐쏘가리, 탕초갈비는 모두 쑤저우의 대표 요리다.

 

5. 저장(浙江)요리

저장요리는 가장 오래된 요리 중 하나이며 궁중에서 세 번째로 큰 요리다. 중국 전통 8대 요리에도 속한다. 저장성은 예로부터 산과 들이 비옥하고 연해 어장의 수산 자원이 풍부해 맛있는 요리가 많이 탄생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