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이징동계올림픽 중국 선수단, 신장 면화 유니폼 입는다

 

소수민족 인권탄압 논란 지역인 중국 신장(新疆)이 베이징동계올림픽 유니폼과 관련해 다시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베이징 올림픽이 갈수록 정치화하는 모습이다. 신장 등의 인권문제를 들며 미국이 외교 고외관료들을 파견하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하자, 중국 당국이 아예 자국 선수들에게 문제가 되는 신장의 면화로 만든 유니폼을 입히겠다고 나서는 것이다.

인권문제가 없다는 시위인 셈이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다음달 개막하는 베이징동계올림픽의 중국 선수단이 신장에서 생산한 면화로 만든 유니폼을 입을 예정이라고 12일 보도했다.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신장 생산 면화와 낙타털을 사용해 만든 스키복, 장갑, 모자, 귀마개 등 약 2천 세트의 유니폼이 베이징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에 전달됐다.

텔레그래프는 신장 면화가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일본, 리투아니아 등의 외교적 보이콧을 촉발한 요인인 동시에 중국에선 애국주의의 상징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중국은 세계 주요 면화 생산국 중 하나로 85%를 신장에서 생산한다. 이를 두고 미국, 영국 등은 중국의 면화가 신장 지역의 수용소에 구금된 위구르인과 무슬림 소수 민족의 강제 노동에 의해 생산된다고 비판해왔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도 지난달 신장에서 나오는 모든 제품은 강제 노동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지 않는 한 수입을 금지하도록 한 법안에 서명한 바 있다.

한편 중국 외교부는 신장 면화 유니폼에 대한 미국 의원들의 비판에 대해 ‘비열한 조작’이라고 일축했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3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중국에 대해 편견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신장의 강제 노동이라는 세기의 거짓말은 이미 파산했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