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우크라이나 사태로 중국-러시아 경제 협력 강화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 협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최근 보도에서 "미국 등 서방의 대러 금융제재와 첨단기술 수출 제한 결정으로 러시아와 중국간 경제 시스템 연결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CMP는 특히 러시아 일부 은행들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퇴출로 러시아와 중국 금융기관들이 위안화 결제·정산 시스템인 CIPS(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SWIFT 결제망 배제는 원유, 천연가스, 곡물 등 러시아의 주요 수출품 거래에 막대한 차질로 이어질 것이 분명하다. 이미 두 차례 핵개발 문제와 관련해 SWIFT에서 배제된 이란의 경우, 원유 수출액이 절반가량 급감해 심각한 경제난을 겪은 바 있다.

SCMP에 따르면 러시아는 서방의 고강도 압박에 대비해 이미 중국과의 전방위적인 경제 협력 강화에 힘을 쏟아왔다. 지난 4일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을 계기로 이루어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중도 서방 제재에 대비해 중국과의 경협 강화 틀을 마련하기 위한 성격이 강했다,

푸틴 대통령의 방중에 맞춰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 가즈프롬과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는 연 100억㎥의 천연가스 거래 계약을 맺었다. 또 러시아 국영 석유회사 로스네프티도 향후 10년에 걸쳐 총 1억t의 원유를 중국에 공급하기로 계약했다.

중국 또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일인 24일 러시아산 밀 수입 제한을 푸는 등 서방의 제재 흐름과는 거꾸로 움직이고 있다.

2021년 기준 중국과 러시아의 무역 규모는 1468억7000만달러(약 175조 원)로 전년 대비 35.9% 증가했다. 두 나라간 무역액 중 위안화 결제 비중은 지난 2014년 3.1%에서 2020년 17%로 높아졌으며, 러시아의 외화보유액 중 위안화 표시 자산 비중은 13.1%에 달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