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뉴질랜드 총리 '중국-솔로몬제도 협정에 실망' 발언에 中네티즌 "어느 나라나 결정권 있어"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중국과 성숙한 관계라고 강조하면서도 솔로몬 제도와 중국간 안보협정 체결에는 실망감을 드러냈다."

최근 연합뉴스가 전한 소식이다. 중국이 솔로몬제도와 안보 협정을 체결하는 데 대한 뉴질랜드의 입장이다. 

이번 협정의 핵심은 중국이 함대를 현지에 파견해 현지에서 물자를 조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중국 해군의 영향력 행사 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현재 미국은 쿼드 등 안보 협정으로 태평양 연안의 안보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어떻게든 자국 해군력 확대를 꾀해왔는데 마침내 솔로몬 제도를 통해 그 영향력을 넓히게 된 것이다. 간단히 미중 갈등이 안보문제로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이번 조치는 미국의 우방국에게는 새로운 압박이 되고 있다. 

자연히 뉴질랜드는 안보적 선택을 강요받게 됐다. 중국이냐 미국이냐, 저신다 총리는 중국의 태도에 실망했다면서도 일단은 미국 중심의 안보 협정에 가입하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보도에 따르면 저신다 총리는 미국·영국·호주의 안보동맹인 '오커스'(AUKUS) 가입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저신다 총리는 21일(현지시간) BBC 인터뷰에서 "뉴질랜드에게 중국이 이번 조치에 대해 사전 입장 설명이 없었다는 데 실망한다"면서도 "그렇다고 오커스 가입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뉴질랜드 총리의 고심도 중국 네티즌에게는 오히려 비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 중국 네티즌들은 "뉴질랜드가 뭔데, 우리가 그런 것까지 설명해야 하느냐"는 입장을 보였다. 어쩌면 중국 당국의 내심인지도 모른다.

중국과 솔로몬제도의 안전협정을 왜 굳이 당신에게 이해시켜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사람들은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어, 괜히 당신이 신경 쓰네?

 

영연방 국가가 된 것은 애초에 침략과 식민지 때문이었음을 알아야 해.

 

중국과 합작하는 것은 쌍방의 상생이고, 미국과 합작하는 것은 일방적인 혈액공급이기 때문이지.

 

당신은 뭘 모르면서 아는 척하네요.

 

그러면! 미국을 제외하고는, 누구랑 협정을 맺어도 안 편안하지 않겠어?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