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2025년 5G 관련 일자리 300만 개 이상 창출

 

'300만 개' 

중국이 5G 네트워크를 통해 오는 2025년까지 새로 구축하겠다는 일자리 수다.

통신망은 현대 생활에서 필수불가결한 인프라가 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하루 24시간 인터넷망에 접속이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특히 5G 기술은 그 인터넷망이 그저 단순한 글이나 그림만 구현되는 게 아니라 3D 입체의 가상공간으로 구현되도록 만들어주었다. 이른바 메타버스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사람들은 이제 '현실'이라 착각할 수 있는 '가상' 속에서 온갖 상상했던 모든 것을 현실적인 위험 없이 즐길 수 있다. 메타버스 세계에서 하늘을 날아 미국으로 갈 수 있고, 뉴욕 거리를 걸으며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고, 클럽에서 친구를 사귈 수 있게 된 것이다.

가상공간이 열리면서 우리의 현실 세계가 어떻게 변할지는 아직 누구도 정확히 모른다. 그저 여러 근거에 의해 예측만 할 뿐이다. 

일단 이 분야에서 중국의 노력은 놀랍다. 최근 중국 매체에 따르면 지난 7월까지 중국 전역에 5G 기지국이 196만8000개가 건설됐으며 5G 모바일 사용자는 4억7500만 가구에 달했다.

중국정보통신원(中国信通院)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까지 5G 네트워크 건설 투자액은 누적 1조2000억 위안에 달해 30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다양한 5G 관련 상품과 서비스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중국의 5G 기술은 공업, 의료, 교육 등 여러 업종에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경제 발전의 동력으로 삼고 있다.

중국 당국은 최근 개최된 '2022 세계 5G대회'에서 중국 통신 사업의 5G 누적 투자액이 4016억 위안이라고 밝혔다. 모바일 데이터, 휴대전화 정보 서비스 등 소비를 합하면 직간접적으로 이끌어낸 경제 성장은 누적 8조5600억 위안, 경제적 부가가치는 누적 2조7900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2025년에는 인구 1만명당 5G 기지국 26개를 사용할 것이며, 5G 사용자 보급률이 56%에 달하고 5G VPN 수는 5000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대기업의 5G 응용률이 35%를 초과하고 전력 및 광산 채굴 등 분야에서 5G를 적극적으로 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5G 커넥티드카 분야도 더욱 넓어지고 농업 등 전통 산업의 디지털 전환도 업그레이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은 5G 기술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6G 등 미래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도 지속해 미래의 네트워크는 더욱 다차원적인 성능으로, 더욱 빠르고 정확한 커넥트 기술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