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경제 회복을 위해 내수 확대 조치에 나선 가운데 중국 시장 내에서 한국 제품이 중국, 일본 등 주요 경쟁국보다 비교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품질과 가격 경쟁력 제고에 집중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회장 윤진식)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중국 바이어가 본 한국 소비제품 경쟁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바이어들은 자국 시장 내 한국의 주된 경쟁 대상으로 일본(49.3%)과 중국(33.3%)을 꼽았다. 특히 한국 제품은 일본산 대비 품질(26.5%), 중국산 대비 가격(51.1%) 경쟁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그 외 국가와의 비교에서는 동남아(47.1%)·대만(23.9%)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고, 미국(35.9%) 및 EU(19.2%) 제품에 대해서는 브랜드 경쟁력이 비교열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바이어들이 한국 제품을 구매하는 주된 이유로는 품질(46.7%)이라고 답했고 가격(17.0%), 디자인(12.3%), 브랜드(12.0%)가 뒤를 이었다. 향후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을 한국 제품으로는 화장품(33.0%), 미용용품(17.4%), 식품(14.5%), 의료·보건용품(14.5%) 등을
서울관광재단의 공식 관광정보 디지털 미디어인 비짓서울(Visit Seoul)이 일본, 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환대 이벤트를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일본의 골든위크(4월 27일∼5월 6일)와 중국의 노동절(5월 1∼5일) 등 주요 국가들의 황금연휴가 시작됨에 따라 서울의 관광 매력과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해 기획됐다. 외국인 관광객 대상으로 서울굿즈 등을 상품으로 증정하며, 전 세계 비짓서울 SNS 팔로워들에게도 참여형 이벤트를 동시에 진행해 바이럴될 수 있도록 했다. 5월 6일까지 비짓서울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와 함께 명동관광정보센터와 연계한 오프라인 환대 이벤트를 진행한다. 골든위크 기간에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은 명동관광정보센터에 들러 서울 여행 중 직접 촬영한 'SEOUL MY SOUL' 브랜드 또는 서울굿즈 사진을 본인 SNS에 해시태그와 함께 공유하고, 비짓서울 SNS에 이벤트 참여를 인증하면 서울굿즈 등 다양한 선물을 받게 된다. 현장 방문 이벤트의 경우 선착순 250명에 한해 서울굿즈 모자, 비짓서울 캐릭터 인형, 아티스트 협업 문구세트 중 하나를 제공하며, 모
지난 25일 제18회 베이징 모터쇼(Auto China 2024)가 ‘새로운 시대, 새로운 자동차’를 주제로 베이징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베이징 모터쇼는 글로벌 6000개 이상의 완성차 브랜드 및 부품 공급업체들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중국 중앙방송총국(CMG)에 따르면 이번 베이징 모터쇼의 하이라이트는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로 총 278종의 신에너지차 모델을 선보였다. 최초 공개된 신에너지차 브랜드만 20개에 달한다. 한편 중국 자동차 시장의 신에너지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최근 수년 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년 동안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136만 대(2019년)에서 950만 대(2023년)로 6배 가까이 급증했다. 또 올해 공개된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50%를 돌파해 처음으로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량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의 중국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1위 기업인 CATL(닝더스다이, 寧德時代)과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맺었다. 중국에서 전기자동차 생산에 더욱 힘쓰겠다는 사인으로 읽힌다. 26일 CATL에 따르면 두 기업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4년 만에 열린 '오토 차이나(Auto China) 2024'(베이징 모터쇼)에서 베이징현대가 추진 중인 중국 현지화 EV 프로젝트에 대한 협력과 더불어 CATL 배터리로 작동하는 미래 베이징현대 전기차 모델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베이징 모터쇼 현대차 전시관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오익균 현대차 중국사업담당 부사장, 쩡위친(曾毓群) CATL 회장 등이 참석했다. 오 부사장은 "이번 협약으로 현대차의 전동화 기술력과 CATL의 배터리 기술력의 유기적인 조합을 이뤄내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베이징현대는 이번 협약을 통해 향후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CTP, NP 등 CATL의 최신 배터리 기술을 탑재한 전기차 모델들을 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CATL은 자사가 보유한 기술을 활용해 베이징현대와 협력하여 고품질의 자동차를 만들고 중국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화서(华西)지역의 경제 발전을 촉진해야 할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화서지역은 쓰촨성 일대를 일컫는다. 25일 중국 관영 매체 CGTN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 22~23일 충칭(重慶)시 시찰 중 가진 심포지엄에서 “화서지역이 국가 전체의 현대화에 매우 중요하다”며 "화서지역이 최근 수년 간 상당한 경제적 성과를 거뒀지만 여전히 많은 발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또 "화서지역 12개 성(省)급 지역이 지역 실정에 따라 현대 제조업과 신에너지, 바이오 의약 등 전략적 신흥 산업을 발전시키고 산업 전환과 업그레이드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화서지역과 아세안(ASEAN) 국가를 연결하는 주요 통로인 충칭시 신국제육해무역회랑(New International Land-Sea Trade Corridor)에 대해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공동 개발과 창장(長江) 경제벨트 개발을 위한 매우 중요한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시 주석은 “중국 경제가 고속 발전에서 고품질 발전으로 전환되고 있으므로 모든 지역이 각자의 여건에 맞게 경제를 발전시키고 비교 우위를 활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 주석이 주재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지난
인천광역시 서구(구청장 강범석)가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沈阳市) 선베이신구(沈北新区)와 우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비망록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비망록 체결은 서구와 선베이신구의 경제 및 기술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고 지역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됐다. 서구에 따르면 지난 22일 선양시 선베이신구 위원회 서기 우쥔(吴军) 일행은 서구를 방문해 강범석 서구청장을 접견했다. 비망록 체결식은 황효진 인천시 부시장과 돤지양(段继阳) 선양시 부시장이 참석한 인천-선양 자매결연 10주년 기념행사에서 진행됐다. 비망록에 따르면 두 도시는 지역 경제 및 산업 발전을 위해 서로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식품산업 중심의 우호협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의 교류협력을 확대하고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문화, 관광, 체육 등의 교류사업을 개발 추진하고, 이를 위해 지역 기업, 연구원, 정부 관계자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약속했다. 우쥔 선베이신구 서기는 “이번 비망록 체결로 양 도시 간 협력에 새로운 활력을 창출하고, 민간교류와 기업활동을 촉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범석 서구청장은 "비망록 체결은 양 도시 간 지속적인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코트라)가 대중국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해 23일 중국 상하이에서 ‘K-라이프스타일 인 상하이(K-Lifesytle in Shanghai)’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정부가 지난 1월 발표한 ‘수출·투자를 통한 민생 경제 활력 회복’ 대책의 일환으로 변화하는 중국 소비 트렌드에 맞는 프리미엄 소비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K-소비재 파워셀러 오프라인 수출상담회', '한-중 소비재 기업 비즈니스 협력 포럼', 'K-소비재 우수상품 샘플 전시 쇼케이스', 'K-소비재 중국 인증 취득을 위한 기업 컨설팅' 등 4개 부문으로 나눠 진행됐다. 'K-소비재 파워셀러 오프라인 수출상담회'에는 중국의 유력 바이어 100개사와 한국기업 98개사가 참가해 온·오프라인 상담이 진행됐다. 코트라에 따르면 이번 행사의 상담을 통해 올해 성과가 예상되는 수출 유망 프로젝트는 총 50여 건으로 그 중 임산부용품 전문기업 T사는 현장에서 약 230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또 '한-중 소비재 기업 비즈니스 협력 포럼'에서는 2024년 중국 경제 전망, 변화하는 한-중 통상환경, 뷰티, 식품 등 우리 소비재 기업이 알아야 할
서울관광재단(대표이사 길기연)이 22일부터 5월 1일까지 공식 유튜브 채널 'VisitSeoul TV(비짓서울 TV)'의 개국 6주년 기념 이벤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전 세계 시청자들이 참가할 수 있는 글로벌 이벤트로 시청자들과 더욱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비짓서울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제고하기 위해 마련됐다. 22일부터 10일간 진행되며, 전 세계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아이패드 10대, 서울 마이 소울 굿즈, 아마존 기프트카드 등 다양한 경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벤트 참가를 위해서는 비짓서울 TV의 이벤트 영상 댓글에 본인이 가고 싶은 서울의 관광지 및 보고 싶은 콘텐츠를 적으면 된다. 서울관광재단은 이번 이벤트 결과를 바탕으로 구독자가 선호하는 서울의 관광지 및 희망 콘텐츠에 중점을 둔 비짓서울 TV 콘텐츠를 제작한다는 방침이다. 비짓서울TV는 2018년 4월 23일 개국해 서울의 다양하고 트렌디한 매력을 영상 콘텐츠를 통해 글로벌 구독자들에게 전하고 있다. 22일 현재 기준 약 49만 8000명의 구독자 중 96%가 해외 구독자로 K-콘텐츠 소비량이 높은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북미, 유럽 등 다양한 지역의 잠재
중국이 원격탐사용 위성인 '야오간(遥感) 42호 02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22일 중국 중앙방송총국(CMG)에 따르면 '야오간 42호 02위성'은 21일 오전 7시 45분 쓰촨(四川)성 시창(西昌)위성발사센터에서 운반 로켓 창정(長征) 2호에 실려 발사됐다. 발사된 위성은 예정된 궤도에 진입하며 발사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야오간 위성은 레이더 시스템으로 구름을 투시할 수 있는 원격탐사 및 정찰 위성으로 2006년 4월 27일 1호 발사 이후 18년째 후속 위성 발사가 이어져오고 있다. 한편 이번 야오간 위성 발사는 창정 계열 발사체의 517번 째 발사에 해당된다.
2024 포뮬러원(F1) 월드챔피언십 5라운드 대회가 19일부터 사흘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다. 19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이번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5년 만에 중국에서 열리는 F1 그랑프리이자 F1 역사상 1000번째 경주이다. 지난 1월 9일 티켓 판매가 시작되자마자 온라인 판매 앱이 다운되는 등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중국인 최초의 공식 F1 카레이서인 저우관위(周冠宇)의 참가로 인해 이전보다 더 많은 관심을 모았다. 1999년 상하이에서 태어난 저우관위는 2022년 중국인 최초의 F1 카레이서가 됐다. 제일재경은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상하이 시내 곳곳에 저우관위가 모델로 등장하는 각종 광고가 게재됐다고 전했다. 또 F1이 열리는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인근 호텔과 식당은 이미 예약이 마감됐다고 보도했다.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의 트랙 길이는 1바퀴당 5.451㎞로 고정석이 2만 8400석에 달한다. VIP 구역은 24개로 총 1120명을 수용할 수 있으 전체 경기장은 최대 2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다.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로 불리는 F1 대회 중국 그랑프리에는 공식 후원사인 글로벌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