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갤럭시 S23 마케팅의 일환으로 중국 게임업체와 손을 잡았다. 삼성전자가 중국 게임업체와 연합으로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갤럭시 S23 시리즈는 역대급 줌 기능 등으로 시장의 관심을 모으는 상황이다. 지금까지의 삼성전자 스마트폰 기술의 최대 집합체라는 평도 듣고 있다. 20일 IT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신제품 갤럭시 S23 시리즈의 모바일 게임 성능 홍보를 위해 매장에 전시한 S23에 중국 호요버스의 RPG(Role-playing Game) '원신'을 탑재했다. 삼성전자가 S23 마케팅에 원신을 활용하는 것은, 이전 세대 기기인 갤럭시 S22 출시 당시 불거진 GOS(Game Optimizing Service, 게임 최적화 서비스) 논란으로 등을 돌린 게이머들을 공략해 이미지를 반전시키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GOS는 고성능 연산이 필요한 게임을 실행할 경우 GPU(그래픽처리장치) 성능을 조절해 화면 해상도를 낮추는 등 성능을 인위적으로 낮추고 연산 부담을 줄여 스마트폰 과열을 막는 기능이다. 여러 국내외 유튜버와 IT 매체들은 S22 출시 당시 게임 성능 측정 검증에 나섰는데, 이때 다른 기기와의 성능 비교 척도로 자주
청나라 말기 동양의 지식인들에게 서구 문명은 그야말로 충격이었다. 2500년 동안 공자와 맹자만을 최고로 알았던 지식인들에게 서구의 발달한 과학기술, 기계산업, 의학, 군사무기 등은 마치 새로운 하늘이 열린 것 같았다. 서구는 모든 방면에서 동양의 중심이던 청나라를 압도했다. 서구 문물은 빠르게 중국에 전파됐고 청 황실은 이런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는 전초기지가 됐다. 당대 최고 권력자였던 서태후(西太后, 1836~1908)를 비롯해 황제와 대신들은 서구 문물의 '얼리 어답터' 역할을 했다. 당장 서태후만 해도 중국에서 가장 먼저 자동차를 소유했던 여성이다. 또 중국 최초의 여성 사진작가이기도 했다. 청 황실의 마지막을 기록한 사진들은 대부분 서태후를 찍었거나, 그녀와 관계가 있다. 당시만 해도 사진은 영혼을 가두는 일로 여겨져 많은 중국인들이 겁을 냈다. 하지만 서태후는 직접 사진 기술을 배워 주변 궁녀들은 물론 대신들의 사진을 찍어 남겼다. 이 시기 중국에 X-레이도 들어온다. 그럼 중국인 가운데 누가 처음으로 이 X-레이를 찍었을까? 사람의 겉모습을 찍는 사진기에도 두려움이 컸는데, 몸 속을 찍는 X-레이에 누가 최초로 몸을 맡겼을까? 주인공은 바로 청
야오원위안(姚文元)의 '해서파관(海瑞罷官)' 비판은 시간이 갈수록 정치화했다. 하지만 저우언라이(周恩来 ) 등 중난하이 지도자들은 여전히 그 정치화는 피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피하려 노력했다. 물이 차오르면 물속에 있는 모든 것은 절로 젖는다. 피신처는 물밖에 있다. 물길을 피하는 유일한 방법은 물속에서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왕왕 사람들은 차오르는 물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러려 노력한다. 문화대혁명의 소용돌이는 점점 가팔라졌다. 저우언라이 등 중난하이(中南海)의 지도자들은 그것을 인식은 했지만, 그 위험 정도에 대한 판단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1966년 2월 6일 열린 '문화혁명오인소조'의 보고는 그런 인식 수준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었다. 당일 저우언라이는 베이징에서 일상 업무를 보던 덩샤오핑(邓小平), 류샤오치(刘少奇) 등과 함께 문화혁명오인소조의 문화 학계의 토론 현상에 대해 보고를 받는다. 문화혁명오인소조의 조장은 베이징 시장 펑전(彭真)이었다. 펑전은 보고에서 "작금의 토론(해서파관에 대한 비판과 이 비판에 대한 비판)은 순수한 학술적 토론이고 정치적 토론이 아니다. 해서파관의 작가 우한(吴晗)은 펑더화이(彭德怀)와 어떠한 관계도 없다"
중국 경제가 지난해 3분기 이후 시진핑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 부양 정책으로 안정적인 회복세를 보이면서 중소기업들도 활기를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중소기업협회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중국 중소기업발전지수(SMEDI)는 지난해 12월보다 1%포인트 상승한 88.9를 기록했다. 1월 조사된 8대 업계 중소기업의 주문과 매출 지수 모두 반등했다. 항목별로는 거시경제 체감 지수, 원가 지수와 종합경영 지수 등이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공업 및 교통운수, 숙박·요식업 등 8대 업계 지수가 전월 대비 1.7~1.8 포인트 상승했다. 중국 중소기업협회는 최근 중국 생산, 유통, 소비 등 분야가 빠른 속도로 회복되어 중소기업의 주문 증가를 이끌었으며 생산이 신속히 회복되었다고 밝혔다. 마빈(馬彬) 중국 중소기업협회 상무부회장은 "코로나19 방역, 경제사회 발전, 경제 안정 등을 위한 각종 정책조치가 효율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중국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일부 중소기업이 여전히 생산·경영난과 구조조정의 문제에 직면해 있어 민영기업의 발전 환경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하고 중소기업의 질적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이 지난해 말 완공한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에 올해부터 매년 두 차례씩 우주비행사들을 파견한다. 중국이 만든 우주정거장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는 것이다. 이제 중국은 독자적인 우주정거장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모든 실험을 할 수 있게 됐다. 16일 중국중앙TV(CCTV)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우주공정판공실(CMSEO)은 본격적인 우주정거장 활용을 위한 올해 우주선 발사 계획을 밝혔다. CMSEO는 우주정거장이 완공된 만큼 매년 유인우주선 2대와 화물우주선 1∼2대를 발사한다고 발표했다. 우주비행사들을 정기적으로 우주에 보내 순환 근무하도록 하며 각종 실험과 연구를 하는 방식으로 우주정거장을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오는 5월 선저우 16호와 오는 10월 선저우 17호 유인우주선을 각각 발사해 우주정거장에 도킹시킬 예정이다. 유인우주선 외에도 5월에는 톈저우 6호 화물우주선을 우주정거장으로 보내 우주비행사들을 위한 각종 생필품, 소모품, 실험장비 등을 전달한다. 이와 함께 중국은 올해 대형 우주망원경 '쉰톈(巡天)'을 우주정거장에 합류시켜 관측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쉰톈은 길이 14m, 최대 직경 4.5m의 대형 망원경으로, 허블 망원경
중국에서 BC 4세기에 수세식 화장실이 존재했음을 입증하는 유물이 발굴됐다. 고대 중국인의 생활이 얼마나 수준 높고 정교했는지 보여주는 것이서 주목된다. 그동안 욕실, 화장실 등 위생 부분은 고대 로마의 문화가 세계 최고 수준으로 꼽혀왔다. 이번 문물의 발굴로 이 같은 통념이 완전히 깨지게 된 것이다. 15일 중국 관영 매체 환구시보에 따르면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 연구소는 산시(陝西)성 웨양청의 3호 고성(古城) 유적지 발굴 도중 대형 궁궐터에서 약 24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화장실 유적을 확인했다. 고고학 연구소는 이 유적에서 흙으로 빚어 만든 변기와 오수를 옥외로 배출하는 배수구 두 부분으로 구성된 수세식 화장실 유물을 발굴했으며, 물을 공급하는 화장실 상부 구조는 훼손돼 남아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중국 고고학계는 이번 발굴은 고대 궁궐 유적에서 최초로 발견된 수세식 화장실 유물이라고 설명했다.웨양청은 중국 최초 통일국가인 진(秦)이 기원전 374년부터 25년간 수도로 삼았고, 서한(西漢) 초기의 수도이기도 했던 곳이다. 동서 2500m, 남북 1600m의 장방형 웨양청 유적에서는 15개의 건축물 유적이 발견됐다.
'1호 문건'은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이 매년 가장 먼저 발표하는 정책 과제다. 중국 지도부가 최우선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중이 담겼다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 중국은 마오쩌둥 이래 농촌 문제를 매년 국정 첫 과제로 내놓고 있다. 올해 역시 다르지 않았다. 14억 인구의 먹고사는 문제는 공산당에게 그만큼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올해는 특히 지난 한 해 이어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글로벌 곡물 공급 부족이 더욱 우려되는 상황이다. 중국은 지난해에도 곡물 생산량을 역대 최대로 끌어 올려 대응했다. 14일 중국 관영 통신 신화사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1호 문건은 '삼농(三農, 농업·농민·농촌) 문제 해결 방안'이다. 신화사는 당 중앙위와 국무원이 전날 발표한 1호 문건은 '농촌 활성화의 핵심 업무를 전면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의견'이라고 보도했다. 사실 공산당의 한결같은 농촌 사랑 덕에 중국 농촌의 생활은 갈수록 개선되고 부농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농촌 가정 가운데 일부는 미국이나 서구의 농촌처럼 도시민의 삶보다 더 풍요로운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 1호 문건은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를 전면적으로 건설하는 데 있어 가장 어렵고 무거운
중국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해 국경을 다시 열면서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중국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인 중국 시장에 물이 차오르면서 때를 놓치지 않고 노를 저으려는 글로벌 기업 CEO들이 중국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올리버 블루메 폭스바겐 CEO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중국을 방문한 데 이어 팀 쿡 애플 CEO와 앨버트 불라 화이자 CEO, 올라 셸레니우스 벤츠 회장이 중국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글로벌기업 CEO들의 방문 목적은 중국 현지법인 점검에서 현지 파트너사 및 정부 관리와의 만남까지 다양하다. 또 내달 말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발전포럼(CDF), 같은 달 하이난에서 열리는 보아오포럼 등에도 상당수 글로벌기업 경영진의 참석이 예상된다. WSJ은 글로벌기업 경영진의 중국 방문은 서방 기업들이 지정학적 긴장 고조에도 중국의 재개방으로 얻을 사업 기회를 얼마나 원하는지 잘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미중 간 긴장 관계가 계속되었으나 양국 간 교역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양국 간 교역액은 미국의 중국 상품 수입이 5368억 달러로 전년
중국의 2022년 대외직접투자(ODI)가 전년 대비 5.2% 증가한 9853억7000만 위안(약 183조 원)으로 집계됐다. 미국과의 무역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환경의 악영향을 극복하고 대외투자를 안정적으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다. 지난해 중국 ODI를 달러로 환산하면 1465억 달러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그 중 비금융류의 규모는 7859억4000만 위안(약 146조 원)으로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 중국의 해외 공사 수주 금액은 1조 424억 위안(약 193조 원)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신규 체결 계약 금액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1조 7021억 위안(약 316조 원)으로 집계됐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지방 도시의 ODI가 활발히 이루어졌는데, 특히 동부지역의 대외투자가 10.3% 증가해 전체 지방 투자의 81.6%를 차지했다. 상무부는 일대일로 국가들에 대한 투자와 협력이 꾸준히 추진된 점, 도소매업과 제조업 등에 대한 대외투자가 빠르게 증가한 점을 지난해 ODI 성장의 원인으로 꼽았다.
로켓배송, 새벽배송, 익일배송 등 한국의 배송 서비스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배송 서비스가 없었을 때를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빠른 배송 서비스는 많은 사람들의 삶에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중국에선 근거리 소매 배송 서비스를 즉시배송(即时配送)이라고 부른다. 코로나19 팬데믹을 전후로 크게 확대돼 유통 산업과 선순환 발전 고리를 이루고 있다. 중국 즉시배송 서비스 산업의 규모를 살펴보면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에는 성장률이 약간 감소했지만, 2021년에는 코로나19가 효과적으로 통제되면서 빠르게 성장세를 회복했다. 2021년 중국의 즉시배송 서비스 주문 규모는 279억 개로 전년 대비 32.9% 증가했으며, 2017~2021년의 복합 성장률은 35.4%였다. 2022년의 즉시배송 서비스 주문 규모는 380억7000만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소비자가 즉시배송 서비스를 선호하는 이유는 바쁜 현대 생활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란런경제(懒人经济, 게으름뱅이를 위한 경제)가 즉시배송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란런경제는 게으른 사람을 뜻하는 '란런'과 '경제'의 합성어다. 바쁜 현대 사회에서 본업 이외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