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계열인 건강시보가 중국의 코로나19 감염 확산이 정점을 찍은 것으로 보인다고 6일 보도했다. 하지만 현재 중국 당국의 코로나 상황에 대한 분석에 대한 신뢰도는 국제 사회에서는 물론, 중국 내부에서도 크게 떨어지는 상황이다. 중국은 8일 이후 국경을 전면 개방하고 있어, 중국 당국의 발표에 국제사회 반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건강시보에 따르면 충칭, 쓰촨, 하이난 등의 코로나19 감염 의심 신규 발열자가 최근 감소세로 돌아섰다. 충칭시 질병통제센터는 지난 3일 "지난달 20일 4만9000명에 달했던 일선 진료실 신규 발열 감염자가 7천명대로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하이난성도 최근 신규 코로나19 감염률이 50%에 도달했다며 싼야와 하이커우 등 주요 도시는 이미 코로나19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지난달 두 차례 주민 설문조사를 통해 감염률이 80%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한 쓰촨성 역시 코로나19 확산의 최고조가 지난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현재 중국 밖의 시각에선 아직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은 아직 정점에 도달하지 않았다. 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에 따르면 영국 보건 데이터 분석업체 에어피니티는
세계 최대의 경제체인 '아시아 경제공동체' 구상이 조금씩 실현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경제체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등이 아세안 국가들과 건설하는 공동체다. 세계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2일 인도네시아에 대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정식 발효됐다. 15개 RCEP 회원국 중 14번째 발효다. 중국 상하이 해관(세관)에 따르면 이날 한 무역업체가 인도네시아 수출용 다공판 RCEP 원산지 증명서를 발급받았다. 해당 발급은 상하이 세관의 첫 RCEP 인도네시아 원산지 증명서다. 무역업체 관계자는 "인도네시아가 중요한 해외 수출시장 중 하나"로 "이제는 RCEP 틀 속에서 '관세 인하' 혜택을 확실히 누릴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또 "올해 인도네시아 수입국 관세 감면을 받게 되는 금액이 1억5000만 위안(약 277억 원)에 달해 회사 제품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크게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RCEP 발효 후 상하이의 수출입 업체들은 더 많은 협력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 지난해 상하이의 1900여 개 기업이 RCEP 혜택을 받았고,
중국 광둥성 선전시에 중국의 반도체 자립을 위한 또 하나의 기반 시설인 '전자부품·반도체 국제무역센터'가 건립됐다. 반도체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제조 생산품이 되고 있다. IT 혁명으로 사물인터넷이 구현되면서 이를 가동하도록하는 기본 제품으로서 반도체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때문이다. 이미 반도체 없는 자동차가 없고 반도체 전자 제품이 없다. 집이나 가구 속으로 반도체들이 속속 들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중이 서로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주도권을 잡으려 힘쓰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글로벌 영향력을 발휘해 중국에 대한 반도체 공급을 제한하려 하고 있고, 중국은 자립 생산 체제를 갖추려 노력하고 있다. 선전시는 중국의 반도체 자급자족의 선봉 도시다. 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선전시 쳰하이 경제구역 내 '전자부품·반도체 국제무역센터'가 지난달 30일 사업인가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 센터는 선전 지방정부 기금인 선전투자홀딩스가 가장 많은 7억6000만 위안을, 중국전자(CEC)와 자회사 중국전자정보서비스가 각각 3억8천만 위안을 투자하는 등 국영·민간 기업 12곳이 21억 위안(약 3900억 원)의 초기 자본금을 마련했다. SCMP
지난해 하반기 중국 방역 당국의 강력한 코로나19 봉쇄 조치와 경기 둔화로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매출과 가동률이 하락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어쩔 수 없는 결과다. 여기에 한국 기업들의 중국내 인지도 하락도 크게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의 소비시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소비시장은 수출 중심의 한국 기업들이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라며 "보다 업그레이드된 전략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산업연구원(KIET)이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 중국한국상회와 작년 9∼10월 중국 진출 기업 406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영환경 실태 조사를 4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조사에서 매출과 이익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은 2년 전 조사 때보다 상승했다. 2020년 조사에서는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한 기업이 27.1%였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45.1%에 달했으며, 이익이 감소한 기업도 29.2%에서 51.9%로 늘었다. 작년 하반기 가동률이 60% 이하였다는 기업도 52.0%로 절반이 넘었다. 80% 이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3.8%에 불과했다. 중국 진출 기업들은 매출 감소 원인으로 코로
중국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뒤 맞은 첫 새해 연휴 기간에 중국 전역의 국내 관광객 수가 5000만 명을 돌파했다. 중국 문화여유부에 따르면 신정인 위안단(元旦) 연휴(12월 31일∼1월 2일)에 중국 내 관광객은 전년 대비 0.44% 증가한 5271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새해 연휴 기간의 42.8% 수준이다. 중국 내 관광 수입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265억1700만 위안(약 4조8775억 원)으로 2019년 새해 연휴 기간의 35.1% 수준에 그쳤다. 문화여유부는 이번 새해 연휴 동안 중국 내 관광이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도시 주변 근거리 관광이 주류를 이룬 가운데 중장거리 관광도 점차 회복세를 보여 하이난성 싼야와 푸젠성 샤먼 등을 베이징과 동북지역 주민들이 많이 찾았다고 전했다. 실제로 위안단 연휴에 중국 관광지마다 조명쇼, 불꽃놀이, 새해 타종 행사 등 각종 문화 체험 활동이 진행돼 관광객을 유치했다. 중국 최대 여행사 씨트립에 따르면 이번 새해 연휴 동안 이용자의 약 60%가 성(省) 간 여행을 선택했고, 해외 항공권 예약량은 전년 대비 145% 증가했다. 또 알리트립은 새해 연휴 동안
중국 정부가 지난달 충분한 준비 없이 갑작스럽게 '제로 코로나'에서 '위드 코로나'로 선회하면서 코로나19 감염자가 폭증하자 가짜 의약품과 검사 시약의 유통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중국에서는 하루 1000만 명 이상의 코로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시, 농촌 구분할 것 없이 병원마다 환자들로 넘쳐나고 있다. 적지 않은 사망자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중국 당국 통계에는 의외로 사망자가 적은 상황이다. 이에 글로벌 각국은 중국 당국이 관련 통계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최근 한국에 입국하는 중국인들의 경우 확진율은 5명당 1명꼴이다. 한국 입국자들 사이의 확진율만 그대로 적용해도 중국에는 현재 3억 명가량의 확진자가 있다는 의미가 된다. 자연히 치료약이 절실해진다. 현재 중국에서는 감기약 등 코로나 치료와 관련한 모든 약품이 품귀현상을 빚는 상황이다. 중국 공안 당국은 2일 감염병 관련 가짜 의약품과 용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범죄 활동을 엄격히 단속하라는 내용을 담은 통지를 전국 공안부서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단속 대상은 항생제와 해열제 등 감염병 관련 각종 의약품, 산소발생기,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이다.
'300억6700만 위안' 지난해 중국 전체 영화 수입 총액이다. 약 5조5280억 원이다. 이는 전년 대비 절반을 조금 넘긴 수준이다. 경기불황 탓이라기보다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이 컸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코로나 확산으로 도시 전체가 봉쇄되는 판에 극장을 갈 수 있었겠냐는 것이다. 실제 중국에서 코로나 팬데믹은 영화와 관광 산업에 가장 큰 타격을 줬다. 당장 지난해 중국 영화 시장 수입은 중국 정부 당국의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전년 대비 크게 감소했다. 그나마 선전한 게 이른바 '국뽕'으로 불리는 애국주의 영화들이었다. 1일 중국영화국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전체 영화 흥행 수입은 300억6700만 위안(약 5조5280억 원)으로 전년도 472억 위안의 63.7%에 그쳤다. 그 중 중국 영화 흥행 수입은 255억1100만 위안으로 전체 수입의 84.8%를 차지했다. 항미원조(抗美援朝)전쟁(6·25의 중국식 표현)을 배경으로 한 애국주의 영화 '장진호'의 속편 '장진호 수문교'가 전체 영화시장 수입의 13.5%에 달하는 40억6700억 위안을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한국 작가 조석의 네이버 웹툰 '문유'를 원작으로 한 SF영
100년 전 중국에서 자전거는 부의 상징 자전거는 19세기 중반 1, 2차 아편전쟁을 거치면서 중국에 처음으로 소개됐다. 하지만 도입 이후에도 오랫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당시 유럽에서 생산되던 자전거의 운송비를 포함한 가격이 워낙 높았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는 이용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당시 중국의 도로는 대부분 울퉁불퉁해 자전거를 타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자전거가 중국 상류층의 오락 도구로 관심을 받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다.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溥儀, 선통제)도 자전거를 애용했는데, 답답한 황실 분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자전거 질주를 즐겼다고 한다. 푸이는 자금성에서 자유롭게 자전거를 타기 위해 출입문들의 문턱을 톱으로 잘라냈다고 전해진다. 신해혁명(1911) 이후 수립된 쑨원의 중화민국 초기(民国初期, 1912~1927년), 자전거는 베이징 거리에 자주 등장했지만 여전히 부유층의 전유물이었다. 사치품 내지는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당시 자전거는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되었는데, 여성용은 치파오를 입고 편리하게 타고 내리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당시에는 자전거 손잡이에 반사경을 달거나 방울을 다는 등 자전거를 꾸미는 것이 유행이었다.
중국이 내년 1월 8일부터 코로나19 관리 수준을 A급 전염병 관리가 아닌 B급 관리로 하향 조정한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28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위생검역법' 등 법률 규정에 따라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을류 을급관리(乙类乙管)'로 낮춘다고 발표했다.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인 2020년 1월 20일 코로나 바이러스를 을류 전염병(乙类传染病)으로 규정, 갑류전염병(甲类传染病) 수준의 예방 및 통제 조치인 '을류 갑급관리(乙类甲管)'를 실시해왔다. 을류 전염병은 사스 및 메르스에 해당하는 전염병을 의미하고, 갑류 전염병 수준의 예방 및 통제 조치는 흑사병과 콜레라와 같은 수준의 조치를 의미한다. 내년 1월 8일부터 적용되는 '을류 을급관리'는 2급 감염병 2급 관리로, 감염자에 대해 격리조치를 적용하지 않으며 해외에서 입국하는 사람과 화물에 대해 감염병 검역관리조치를 적용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입국 인원 전원에 대한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폐지하고 입국자 시설 격리도 중단한다. 단, 모든 입국 인원은 세관에 입국 전 48시간 내 코로나19 바이러스 PCR 검사 결과를 제시해야 한다. 세관은 일반 검역에서 이상이 없는 인원
중국 정부가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한국 게임업체에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했다. 중국은 단일 국가로서는 세계 최대의 게임시장을 가지고 있다. 단일 시장이라는 게 한 언어, 공통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보다 집중된 게임 마케팅이 가능해 글로벌 게임업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시장이다. 하지만 그동안 중국은 게임 시장 진출에 만리장성을 쌓고 외국 업체들의 진입을 제한해 왔다. 여러 이유가 있는데, 자국 시장 보호 목적도 있지만 무엇보다 시진핑 정권의 문화 정책에 글로벌 게임의 내용이 맞지 않는 탓도 컸다. 시 정권은 게임을 통해 중국의 전통적인 사상인 충효 사상을 알리기를 희망한다. 또 최대한 폭력성을 배제하길 희망한다. 하지만 글로벌 게임 가운데 이 같은 중국 당국의 기호에 맞는 게 거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온라인에 동시 접속해 즐기는 게임에서 강세를 보이는 한국 업체들에게는 최대 난제가 된다. 그런 중국이 이제 다시 조금씩 만리장성의 문을 열고 있는 것이다. 한국 업체들의 진출 기대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는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게임 7종을 포함한 총 44종의 외국산 게임 수입을 지난 10일자로 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