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올 1~8월 소프트웨어 산업 뿐만 아니라라 정보 기술 서비스에서도 5조 위안 이상의 수익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2.5% 늘어난 수치다. 중국이 빠르게 글로벌 IT 강국으로 등극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2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의 산업 실적을 발표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소프트웨어 제품 수익은 1조 9,115억 위안(약 360조 1,26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다. 전체 업계 수익의 22.4%를 차지하는 수치다. 이 중 산업 소프트웨어 제품 수익은 1,811억 위안(약 34조 1,19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하였고, 기초 소프트웨어 제품 수익은 1,182억 위안(약 22조 2,68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하였다. 정보기술 서비스 수익은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였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정보기술 서비스 수익은 5조 7,790억 위안(약 1,088조 7,63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하여 전체 업계 수익의 67.6%를 차지하였다. 이 중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서비스는 8,834억 위안(약 1
중국의 올 1~8월 소프트웨어 산업 수익이 8조 위안을 넘어섰다. 중국이 글로벌 무대에 ‘진정한 IT 강자’로 우뚝 서고 있다. 그동안 IT 첨단 기술은 미국, 유럽 등이 주도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 한국 등이 두각을 나타내는 정도였다. 그러나 이제 중국이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IT기술센터’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2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자료를 발표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소프트웨어 사업 수익은 8조 5,492억 위안(약 1,610조 6,69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하였다. 8월 증가율은 1월부터 7월까지와 동일했다. 두 자릿수 성장을 매월 유지한 셈이다. 중국 매체들은 “올 1~8월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이하 "소프트웨어업")은 양호한 운영 상태를 유지했다.”고 평했다. 다만 총이익 증가율은 다소 둔화되었다. 소프트웨어 사업 수출 증가율은 지속적으로 호조를 보였다. ◆ 전체 안정적 성장 유지 =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소프트웨어 사업 수익은 8조 5,492억 위안(약 1,610조 6,69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
중국의 올 8월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수출입 규모가 4조 1800억 위안 기록, 전년동기 보다 4% 성장했다. 1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무역 수지 수치를 발표했다.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올 8월 국제수지의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수출입 규모는 4조 1,800억 위안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4% 늘어난 수치다. 그중 상품 무역 수출은 2조 693억 위안, 수입은 1조 4,968억 위안이었다. 무역 흑자는 5,724억 위안을 기록하였다. 서비스 무역에서는 수출이 2,308억 위안, 수입이 3,830억 위안으로, 1,522억 위안 적자를 기록했다. 서비스 무역의 주요 항목으로는 여행 서비스 수출입 규모가 1,930억 위안, 운송 서비스 수출입 규모가 1,822억 위안, 기타 상업 서비스 수출입 규모가 949억 위안, 그리고 통신, 컴퓨터 및 정보 서비스 수출입 규모가 601억 위안을 기록하였다. 리홍옌 국가외환관리국 리홍옌 부국장은 중국 매체들과 인터뷰에서 "최근 몇 년간 중국은 지속적으로 산업 전환과 업그레이드를 추진하며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융합 발전을 촉진하고, 수출이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경
올 1~8월 중국의 대외 비금융 부문 직접 투자가 전년동기 대비 12% 이상 훌쩍 늘었다.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면서 대외 투자 역시 두자릿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사회에 중국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의미다. 1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해외 투자내역을 공개했다. 발표자료에 따르면 올 1~8월 간 중국의 비금융 부문 해외 직접투자는 940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4% 늘어난 수치다. 특히 중국 기업의 '일대일로' 참여 국가에 대한 비금융 부문 직접투자는 205억 1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동기보다 2.2%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일대일로 투자는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면서 증가세는 크게 둔화된 모습이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올 1~8월 간 중국 기업의 해외 도급 공사로 인한 매출액은 973억 4000만 달러였다.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수치다. 이 기간 새로 체결한 계약액은 1,495억 달러, 전년동기 대비 21.1% 늘었다. 이 중 중국 기업이 '일대일로' 참여 국가에서 완성한 공사 매출액은 784억 7000만 달러, 전
중국의 지난 8월 승용차 소매 판매가 전년동기 대비 10% 이상 늘었다. 중국은 세계 최대 단일 자동차 시장이다. 갈수록 그 규모를 키우는 모습이다. 최근 중국 자동차 브랜드사들은 내수 시장의 성장을 기반으로 해 글로벌 공략에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30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재정부는 최근 공동으로 ‘대규모 장비 교체 및 소비재 교환 지원 강화에 관한 여러 조치’ 이후 정책 효과와 관련한 현황 발표를 했다. 중국 당국은 당시 ‘두 가지 신(新)’ 정책을 내놓으면서 전면적인 재정확대로 소비진작에 나섰다. 자오천신 개혁위원회 부위원장은 앞서 23일 가진 특별 기자회견에서, 각 방면의 공동 노력에 힘입어 "두 가지 신(新)" 작업이 점진적으로 뚜렷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그 효과는 계속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첫번째 정책 성과로 투자 성장을 견인했다는 점을 꼽았다. 실제 올 첫 8개월 동안 장비 및 도구 구매 투자는 16.8% 증가했다. 이는 전체 고정 자산 투자(농가 제외)보다 13.4% 높은 증가율이다. 이에 전체 투자 성장 기여율은 64.2%에 달했다. 이는 7월보다 3.5%p 상승한 것이다. 소비재 구매촉진책을 통해 자동
9일 간의 중국 국경절 연휴(10월 1일~7일)를 앞두고 국제 항공편 예약이 전년동기 대비 6% 이상 늘었다. 일본, 한국, 태국 등이 주요 목적지로 나타났다. 기존과 달리, 이번 증가는 ‘3선이하 도시의 젊은 층’이 주요 고객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사회 전반적인 소비수준이 높아지면서 이 3선 이하 도시들의 젊은이들이 소위 ‘왕서방 관광단’의 주요 멤버들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중국 베이징의 신징바오 조사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국제 항공권 예약량은 전년 동기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 3선 도시 및 그 이하 지역의 거주자들의 예약 건수는 전년 대비 2.5배 증가하여, 전체의 약 20%를 차지했다. 3선은 중국식 도시 등급 구분이다. 경제, 정치적 순위이기도 하다. 베이징, 상하이 등 성급 도시가 1선, 1선도시 보다 조금 경제 규모가 조금 떨어지지만 강력한 발전 동력을 보유하고 성장하는 도시가 2선도시들이다. 닝보, 쿤밍, 푸저우, 스자좡 등이 2선이다. 그보다 조금 못한 게 3선 이하 도시들이다. 하지만 뤄양, 양저우, 탕산, 옌청 등 이름이 쟁쟁한 도시들에서 나타나듯 경제 규모로는 이미 글로벌 수준인 도시들
올 1~8월 중국국제경제무역중재위원회(이하 '무역중재')의 중재 사건 건수가 4,13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09% 늘었다. 분쟁 금액은 1,273억 4,600만 위안, 전년동기 대비 50%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 2023년 중국 무역중재는 역대 처음으로 접수 사건 5,000건 돌파, 분쟁 금액 첫 1,500억 위안 초과 기록을 했었다. 중국 무역중재는 중국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자연히 그 역할도 커지고 있다. 국제 경제 규모에 맞게 글로벌 무역 규정도 주도하겠다는 게 중국의 복안이다. 27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무역중재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재 운영 현안 데이터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 1~8월 동안 무역중재 새로 접수한 사건 수는 4,13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09% 증가했다. 분쟁 금액은 1,273억 4,600만 위안(약 24조 2,37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18% 늘었다. 외국과 관련된 사건은 466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2% 증가했으며, 사건은 81개국을 포함했다고 한다. 왕청제 무역중재 부주임 겸 사무총장은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최근 몇 년 동안 무역중재의 연간 중재 사건 접수량, 사건 금액 총액,
올 1~8월 중국 복권 판매가 4,175억 위안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11% 이상 늘었다. 8월 중국 복권 판매는 소폭이지만, 전년동기 대비 3% 가까이 늘었다. 7월 증가세보다는 크게 줄었지만, 증가세를 유지했다. 복권은 대체로 경기와 반대 방향을 간다. 중국 경기가 어렵기 어려운가 보다는 게 전문가들의 반응이다. 중국 재정부 발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8월 전국 복권 판매액은 543억 6,900만 위안(약 10조 3,06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이 중 복권 판매 기관은 177억 3,600만 위안(약 3조 3,622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보다 4.9% 준 수치다. 스포츠 복권 판매 기관은 366억 3,300만 위안(약 6조 9,445억 원)을 기록해 6.8% 늘었다. 중국 재정부는 8월 전국 복권 판매 증가율이 7월에 비해 감소한 주요 이유로 첫째, 지난해 동기의 판매량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즉석형 복권 판매 증가율이 빠르게 하락한 점을 꼽았다. 이어 유럽 축구 챔피언십이 종료되어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예측형 복권의 판매 증가율이 둔화된 점을 꼽았다. 올 1~8월까지 누적 복권 판매액은 전국적으로 4,175억 100만
중국의 지난 8월 신에너지 자동차 및 충전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5%, 97% 가량 늘었다. 중국의 신에너지 모바일 산업이 새로운 생태계를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이미 중국은 전기차는 글로벌 공략에 나서 유럽과 미국 등에서 통상 마찰까지 빚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유럽이 중국 전기차에 관세를 추가키로 했고, 캐나다 역시 비슷한 조치에 나섰다. 중국 역시 캐나다 농산품에 관세를 추가하는 등 보복에 나서면서 중국과 글로벌 각국 간의 통상 마찰도 심화하는 모습이다. 24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23일 특별 브리핑을 열어 "두 가지 신(新)" 정책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과 성과를 소개하였다. 회의에서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당 위원회 위원이자 부주임인 조진흠이 각 부문의 공동 노력으로 "두 가지 신(新)" 정책이 점차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를 "다섯 가지 강력함"으로 요약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장비 갱신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경영 주체들이 생산, 에너지 사용, 엘리베이터 등 각종 장비를 갱신하려는 적극성이 높아졌음. 올해 1~8월 동안 장비 및 도구 구매 투자가 16.8% 증가하여 전체
‘12조 1,059억 위안’ 한화로 약 2,288조 2,572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 1~8월 세수 수입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5.3% 줄었다. 중국 지방정부의 재정난 소식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나온 수치여서 주목된다. 현재 중국 일부 지방에서는 지방 정부의 재정난에 임금 체불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5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올 1~8월 재정 수입 및 지출 상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전국 세수 수입은 121,059억 위안(약 2,288조 2,57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했으며, 세외 수입은 26,717억 위안(약 505조 4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증권거래 인지세는 653억 위안(약 12조 3,43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5% 감소했으며, 국유 토지 사용권 양도 수입은 20,218억 위안(약 382조 1,60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4% 감소했다. 주요 세목의 수입 상황을 보면, 국내 부가가치세는 45,936억 위안(약 868조 2,82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했으며, 국내 소비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