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이 무엇이더냐? 있고, 없는 게 생이다. 없어야 있을 수 있고, 있어야 비울 수 있다. 이룸이 무엇이더냐? 어렵고 쉬운 게 이룸이다. 어려워야 쉬울 수 있고, 쉬워야 어려울 수 있다. 형태란 무엇이더냐? 길고 짧은 게 형태다. 길어야 짧아지고 짧아야 길어진다. 서로 다른 길이들이 만드는 게 모양이다. 같은 길이는 한 가지 모양만 만든다. 화음이 무엇이더냐? 음 높이가 다른 음들의 어울림이다. 한 음으로는 노래를 만들 수 없다. 그럼 따른다는 게 무엇이더냐? 앞과 뒤가 같이 있어야 비로소 따를 수 있는 것다. 네가 앞이냐? 내가 뒤냐? 방향만 달리하면 내가 앞이고 네가 뒤다. 결국, 앞은 뒤의 다른 이름이요, 뒤는 앞의 다른 이름이다. 이 모든 게 항상 그렇다. 노자는 이 도리를 ‘항’(恒)라 부르고, 혹자는 이 도리를 ‘조화’라고 부른다. “有无相生,难易相成,长短相形,高下相盈,音声相和②,前后相随,恒也。” (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형, 고하상영, 음성상화, 전후상수, 항야) "유무가 같이 생을 만들고, 쉬음과 어려움이 같이 성공을 만든다. 길고 짧은 게 같이 모양을 만들며, 높고 낮음이 같이 채움을 이뤄진다. 소리와 소리가 겹쳐 화음을 이루며, 앞과 뒤가
모든 존재에 도의 원칙은 예외가 없다. 유한의 존재도, 무한의 존재도, 모두 도의 품에 있는 것이다. 있음 유(有)과 없음 무(無) 둘이 있어야 비로소 존재가 완성되는 것이다. 있고서야, 비로소 없을 수 있고, 없고서야, 비로소 있을 수 있다. 배 고프냐? 이제 배 부를 수 있겠구나! 배 고픔의 시작이 배 부름이요, 배 부름의 시작이 배 고픔인 것이다. 노자의 진리다. 세상의 쉽고 너무도 당연한 것들이다. 노자는 너무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여기도록 하기 위해 독특한 화법을 구사한다. 반어적 효과를 극대화한 ‘상생의 화법’이다. 가는 건 머문 탓이다. 한 쪽이 오르면 다른 쪽은 내려간다. 이유는 간단하다. 둘이 하나이기 때문이다. 선과 악이 하나요. 추와 미가 하나다. 세상엔 만물이 있지만, 하나의 도만 있다. 하나의 도만 있다는 건 결국 세상이 하나요, 그 세상의 만물이 하나란 의미다. 유가 있어 비로소 무가 있다는 상생의 도리를 그대로 화법에도 적용한 ‘상생어법’이다. 처음 이상한 이 말은 곱씹을수록 논리에 이치에 맞는다. “네가 선해지려는 것은 그 악을 알기 때문이요. 네가 예뻐지려는 것은 네가 그 추함을 알기 때문이다.” 결국 악함은 착함의 모자란
배 부름이 있어야, 배 고픔이 있는 것이다. 선과 악도 마찬가지다. 무엇이 선하더냐? 악을 알아야 비로소 선을 아는 것이다. 선해려는 것은 결국 악을 알고, 그것을 고치려는 노력이다. 내 악을 알아야 내가 선해줄 수 있는 것이다. 내가 악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내가 비로소 선해질 수 있는 것이다. 노자의 진리다. 결국 선하려 하는 것은 이미 악하기 때문인 것이다. 내가 추함을 알아야 고쳐서 예뻐질 수 있는 것이다. 감춰서 예뻐질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노자가 옳다. “天下皆知美之为美,斯恶已;皆知善之为善,斯不善已。”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개지선지위선, 사부선이.) “천하가 안다. 아름다워지려는 것은 아름다움이 추하기 때문이며, 착해지려 하는 것은 악하기 때문이다.” 모든 존재에 이 원칙은 예외가 없다.
“배 고프냐? 이제 배부를 있겠구나.” 노자의 말이다. 무슨 말인가 싶다. 배 고프다는데, 그럼 이제 배부를 수 있다니? 하지만 생각해보라. 배 부른 이가 어찌 배 부를 수 있겠는가? 배 고픈 이가 어찌 배 고플 수 있겠는가? 배가 부르려면, 먼저 배가 고파야 하고, 배가 고프려면, 먼저 배가 불러야 하는 법이다. 이제 생각하니 너무 당연한 말이다. 노자의 진리다. 세상의 쉽고 너무도 당연한 것들이 바로 노자의 진리들이다. 도덕경 2장의 이야기를 위한 몸풀기다.. “天下皆知美之为美,斯恶已;皆知善之为善,斯不善已。”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개지선지위선, 사부선이.) “천하가 안다. 아름다워지려는 것은 아름다움이 추하기 때문이며, 착해지려 하는 것은 악하기 때문이다.” 착해지려는 게 악해서 그렇다니? 마치 착해지려 애쓰지 말라는 소리로 들린다. 도대체 무슨 말인가? 배 고픔과 배 부름을 생각하면 답이 있다.
“道可道,非常道;名可名,非常名。无,名天地之始;有,名万物之母。”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 명천지지시; 유, 명만물지모) “도를 네가 정의하면 비상의 도요; 이름을 붙이는 순간 비상의 이름이 된다. 없음은 천지 시작의 이름이요, 있음은 만물 시작의 이름이다.” 묘한 말이다. 알려주고 싶지 않은 듯싶다. 마치 이리 말하는 듯싶다. “왜 알려고 하는가? 말하면 알아듣기는 하는가? 그럼 한 번 들어는 봐라.” 그리고 입을 땐다. “도를 네가 정의하는 순간, 그 도는 상(常)도가 아닌, 비상(非常)의 도다. 마치 인간들 사이의 네가 네 이름으로 불리는 순간, 다른 인간과 구분돼 네가 되는 것과 같다. 이름이 있는 너는 너이지, 일반의 인간이 아니다. 하물며 그 것은 인간의 말일뿐이다. 보라, 인간에게 산은 산은데, 새에게도 산은 산이던가? 인간에게 강은 강인데, 물고기에게도 강은 강일까? 만물을 존재케한 게 만물의 도인데, 왜 너만 부르려 하는가. 네가 정의한 도는 너만의 도이지, 모두의 도가 아니다. 비상의 도인 것이다.” 천지만물 속에 인간이 있고, 인간 속에 나와 네가 있다. 유(有)와 무(無)도 마찬가지다. 나 아(我)와 비아(非我)가 그렇다.
편집자 주: 본 시리즈 '노자심득'은 노자의 도덕경에 대한 이야기다. 노자는 유가의 공자도, 도가의 장자도 스승으로 여겼던 이다. 세상에 딱 한 권의 책 도덕경을 남겼다. 5000자의 도덕경은 총 81개의 장으로, 37장까지를 도경, 44장을 덕경이라고 한다. 노자는 이 도덕경을 통해 모든 것을 주관하는 하나의 원리가 있음을 제시하고, 그 원리를 따르라 권한다. 원리를 따르면 흥하고 따르지 않으면 망한다 한다. 하지만 묘한 게 그 원리가 도대체 무엇인지, 노자는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것을 네가 안다 하는 순간, 그 도는 무엇인가 변질된 도라고 한다. 묘한 말이지만,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노자의 생각에 공감을 하게 된다. 노자가 말하는 원칙 앞에서 스스로를 숙이게 되고, 순응하게 된다. 이에 수천년 장구한 동양의 역사에서 도덕경은 이 원칙, 천지창조의 진리로 인도하는 비서(秘籍)로 여겨졌다. 하지만 그 난해한 문구 탓에 아쉽게도 오늘날, 특히 한국에서 노자는 잊혀가는 인물, 도덕경은 잊혀져 가는 책이 됐다. 많은 이들이 도덕경을 읽은 현인이 남긴 말에는 감탄하면서 정작 노자의 말은 읽지 않는다. 이번 시리즈는 이에 노자의 생각, 노자에 대한 집필자의 생각
미하엘 천사는 “쌍둥이를 갓 낳은 산모를 데려오라”는 하느님의 심부름을 이행하지 않은 죄로 인간으로 살아야 하는 벌을 받았다. 그는 하늘에서 땅으로 유배당할 때 3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으면 다시 천사가 될 것이라는 숙제를 받는다. ’사람의 내부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에게 허락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하는 질문이다. 미하엘은 가난한 구두 수선공 부부의 눈에 띄어 함께 살면서 3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으려고 노력한다. 그는 돈이 많아 거들먹거리고 구두장이를 깔보며 멋진 가죽 장화를 만들어달라고 하던 사람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갑자기 죽는 반면, 비록 내일 먹을 양식이 없고 비바람이 새는 집에 살지라도 나보다 힘들고 지친 사람을 보면 애면글면 도와주려는 따뜻한 사랑이 있어 행복한 사람들을 보면서 마침내 올바른 답을 얻어 다시 천사가 되었다. ‘사람 안에는 사랑이 있고, 사람은 자기의 몸이 필요한 것을 알지 못하며, 사람은 사랑으로 산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톨스토이의 단편소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 나오는 이야기다. 이스털린 역설/ 如心 홍찬선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돈일까 벼슬일까 명예일까 부자는 행복할까
“80만 대군이 도착했다. 강변까지 나와 항복하지 않으면 섬멸하겠다!” 요(遼)의 소손녕은 993년, 고려를 침공한 뒤 항복을 강요했다. 위협을 느낀 고려 조정은 서경(평양) 이북을 떼어주고 화의하자는 의견에 기울었다. 서희는 “국토를 떼어준다는 것은 만세의 치욕이다. 적과 일전을 겨룬 뒤에 화친을 해도 늦지 않다”며 자신이 적진에 가서 담판하겠다고 나섰다. 서희는 소손녕과 치열한 논리 싸움을 벌여 요 군대의 철수와 압록강 동쪽 280여리의 영토를 받았다. 준 것은 고려가 요를 섬긴다는 명분뿐이었다. ▲상대가 원하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고 ▲전면전을 벌인다면 상대도 엄청난 손실을 입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당당한 협상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얻은 결과였다. 칩4동맹/ 如心 홍찬선 반도체가 위험에 빠졌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쌀로서 대한민국을 먹여살리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는 반도체가 진퇴양난의 외통수에 걸렸다 바이든은 칩4동맹에 가입하라 하고 시진핑은 후환이 두렵지 않느냐며 으름장을 놓는다 한쪽은 원천기술로 목줄을 쥐고 한쪽은 시장이 전가의 보도다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어 머리가 하얘진다 서희 장군이 해법을 보여준다 너무 기죽지 말고 당당히 대응하라고
전쟁은 일어나서는 안 된다. 전쟁은 인간성을 파멸시키고 삶의 터전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모든 전쟁을 부정할 수도, 피할 수도 없다. 자기 나라의 잘못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른 나라를 침략하는 전쟁은 절대 불가다. 하지만 외적이 쳐들어올 때는 맞서 싸워야 한다. 어쩔 수 없는 방어 전쟁이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침략에 맞서 싸우는 것이 좋은 예다. 전쟁을 일으켜서는 안 되지만 침략에 맞서 싸워야 할 때는 반드시 이겨야 한다. 그래야 나도 살고, 가족도 살며, 나라도 생존할 수 있다. 싸우는 게 무섭다고 도망치면, 도망갈 곳도 없을뿐더러 죽음이 먼저 달려와 목숨을 낚아채 간다. 방어전쟁에서는 도망가서 비겁하게 죽어 영원히 죽느냐, 분연히 일어나 싸우다 죽어 영원히 사느냐의 선택만 있을 뿐이다. 한산/ 如心 홍찬선 뚫어야 하는 운명과 지켜야 하는 운명이 그 어느 쪽도 물러설 수 없는 절체절명의 운명이 맞붙었다 옳음과 옳지 못함, 의(義)와 불의(不義)를 가르는 한판 좀 더 겸손하고 좀 더 준비하고 좀 더 고민하고 좀 더 사랑하고 좀 더 절실했던 여해(汝諧)가 운명의 끈을 당겼다 최후의 순간까지 보안을 유지하고 최후의 순간까지 노군(櫓軍)을 훈련하고
관찰이 세상을 바꾼다. 관찰은 한 행동으로 여겨지지만, 사실은 보는 것(관, 觀)과 살피는 것(찰, 察)으로 이루어지는 두 가지 행동이다. 관은 황새(雚)가 먹이를 찾으려고 위에서 크고 넓게 내려다 보는(見) 행동이고, 찰은 집(宀)에서 제사 지낼 때(祭)처럼 삼가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하나하나 꼼꼼하게, 좁고 깊게 살펴보는 행위이다. 갈릴레이는 별을 관찰해서 지동설을 주장했고, 왓슨과 크릭은 세포를 관찰해서 DNA를 발견해 유전자 연구에 획기적 발전을 이루었다. 관찰을 변화로 바꾸는 힘은 연상(聯想)이다. 연상은 한 가지 생각을 바탕으로 다른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것이다. 어렸을 때 많이 불렀던 동요, “원숭이 똥구멍은 빨개, 빨가면 사과, 사과는 맛있어, 맛있으면 바나나, 바나나는 길어, 길면 기차, 기차는 빨라, 빠르면 비행기, 비행기는 높아, 높으면 백두산, 백두산 뻗어내려…”가 연상의 예다. 관찰과 연상이 긍정적 사고와 만날 때 ‘기적’이 일어난다. 이 세상 모든 일에는 그것을 만들어 낸 법칙이 있고, 모든 문제는 그것을 해결할 답이 있다. 유물유칙(有物有則)이고 유문유답(有問有答)이라는 자세로 문제를 고민하면 반드시 해답을 찾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