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는 '75년이후 생' 성(省)과 장관급 간부가 속속 등장해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은 본래 직급 선임에서 연령 제한을 두고 진행하며 간부들의 고령화를 통제하고 있다. 중국의 공직자 선발은 그 효율성에서 글로벌 사회에서도 주목받는 시스템이다. 12일 중궈신원망에 따르면 지난 7월 31일 제12기 티베트 자치구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11차 회의는 장리를 티베트 자치구 인민정부 부주석으로 임명했다. 그는 1976년 3월생, 올해 43세의 공학박사다. 후베이성에서 오랫동안 근무했으며, 2019년 12월에는 처음으로 성(省)으로 전근하여 닝샤(寧夏)시 시쯔산시 당위원회 부서기, 2020년 1월 시당위원회 부서기 겸 시장, 2021년 12월 중웨이(中偉)시 당위원회 서기를 역임했다. 이번에 그는 이후 여러 지방을 두루 근무했고, 차관급 공무원으로 승진했다. 중궈신원망의 집계에 따르면 장리 외에도 1975년에서 1977년 사이에 태어난 '75년 이후 생' 성(省) 및 장관급 공무원은 최소 11명에 달한다. 그 중 9명은 티베트, 신장, 간쑤, 안후이, 톈진, 하이난, 후난성 등 7개 성에 분포된 성(省)급 당 및 정부 간부로 근무하고 있다. 중앙 기관에 신화통신
음력 7월 7일은 결혼을 희망하는 중국인들에게는 가장 길일로 꼽히는 날이다. 한국 전통 문화 속에도 녹아 있지만, 견우와 직녀의 고사는 중국 연인들에게는 서양의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낭만적인 고사다. 어쩔 수 없이 헤어져 애타는 마음으로 기다렸던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 번 만남을 이루는 날이 바로 칠석이다.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결혼 등기를 하는 날이다. 중국 결혼 등기를 하는 민정국 담당 창구에는 매년 칠석이면 길 줄이 이어졌다. 그런데 올해는 그 줄을 보기 힘들까는 우려가 제기됐다. 올해 칠석은 바로 10일로 토요일이기 때문이다. 토요일은 관공서가 쉬는 날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칠석을 하루 미룰 수도 없는 일이다. 많은 이들이 올해 결혼 등기를 하지 않고 한 해 미룰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가 사라졌다. 9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민정부가 여러 신혼부부들의 수요에 부응해 업무를 계속 보기로 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민정부는 웹사이트를 통해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최근 몇 년 동안 법정 공휴일 등 중요한 시기에 혼인신고를 해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이 같은 수요에 적극 호응하도록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필리핀의 뎅기열 전염이 확산되면서 중국이 긴장하고 나섰다. 이미 세계보건기구(WHO)가 엠폭스(원숭이두창)에 대해 글로벌 비상과 코로나 재확산에 이어 필리핀 뎅기열까지 확산조짐을 보이면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한 데 이어 코로나까지 재 창궐 조짐을 보이는 상황이다. 코로나 19 악몽의 2년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중국 방역 당국이 ‘방역 만리장성’의 방어망을 더욱 견고히 하고 나선 것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올 필리핀에서는 뎅기열로 인한 사망자 수만 지난 7월 현재로 337명에 이른다. 매체들이 인용한 필리핀 보건부 보고에 따르면 7월 27일 현재 필리핀에서 확인된 뎅기열 사례는 총 12만8834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9만7,211건에 비해 33%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다만, 사례 증가에도 불구하고 올해 사망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378명에 비해 소폭 줄었다. 이는 글로벌 의학계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뎅기열 치료 능력이 제고된 덕이다. 실제 필리핀 보건부는 “확진자 증가는 사망자 수 감소를 동반한다”고 밝혔다. 뎅기열에 대한 위험 인식도가 높아지면서 조기 진단으로 발병 확인이 빨라지고, 치료 역시 그 만큼 용
중국 자린고비 이야기다. 자린고비는 구두쇠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옛날 중국의 한 마을에 소문난 구두쇠가 있었다. 어느날 이 구두쇠가 옆 마을에 있는 구두쇠 선생의 이야기를 듣고 감탄한다. '내가 아낀다고 하는게 정말 하찮은 것이구나. 그 선생의 찾아 뵙고, 사부로 모셔 아끼는 방법을 배워야겠다.' 이리 결심한 구두쇠가 옆마을 구두쇠 선생을 사부로 모시기로 하고 찾아간다. 각종 예물을 준비했는데, 종이로 각종 과일을 그리고, 빈 술병에 물을 채워 사부에게 드리는 선물이라 준비했다. 하지만 찾아간 당일 아쉽게도 소문난 구두쇠 선생이 출타를 하고 없었다. 대신 사모가 있어, 구두쇠는 사모에게 온갖 예를 갖춰 인사를 하고 예물을 바쳤다. 그러자 사모 역시 종이로 그린 접시에 종이로 그린 과일과 과자를 얹어 내놓으며 말했다. "과일과 과자 좀 드시고 가시죠" 그 것을 본 구두쇠가 '역시 사모는 남다르군' 하고 감탄하고 돌아갔다. 얼마 뒤 그 유명한 구두쇠 선생이 집에 돌아왔다. 사모는 낮에 찾아온 구두쇠 이야기를 하나도 빼놓지 않고 이야기 했다. 내심 '대접은 잘했지요'라고 생각하며 구두쇠 사부의 칭찬을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웬걸. 칭찬 대신 떨어진 것은 '호
중국에서 특정 선수 팬들의 일방적인 응원이 결국 중국 공안의 수사 상황까지 번졌다. 앞서 올림픽 경기에서 중국 선수 쑨잉샤와 천멍 둘이서 탁구 여자 단식의 금과 은 놓고 결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쑨잉샤의 광적 팬들이 일방적으로 응원하며 천멍은 물론, 심지어 심판에게까지 야유를 보내 물의를 빚었다. 문제는 상황은 그 거기에 그치지 않고, 경기가 끝나고도 이어졌다는 점이다. 경기 후, 인터넷에서는 천멍과 중국 탁구 대표팀 코치를 향한 비방, 공격, 사이버 폭력이 난무하기 시작했다. "코치가 천멍을 편애한다", "천멍이 쑨잉샤를 이길 방법을 외국인에게 넘겨줬다"는 등의 이야기가 돌았으며, 심지어는 천멍에 대한 음란한 소문을 퍼뜨리는 파렴치한 행동도 있었다. 이러한 발언들은 팬들 사이의 경쟁과 자원 다툼, 주도권 싸움을 체육 분야에 그대로 옮겨온 것으로, 매우 불쾌하고 극단적이며 법적인 경계를 넘어섰다. 결국 지난 6일, 웨이보는 코치에 대한 악의적인 추측을 하고 선수들을 공격하는 발언을 한 여러 대형 계정 팬 유저와 마케팅 계정이 차단하였다고 밝혔다. 같은 날, 언론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 다싱 공안국은 선수와 코치에 대한 비방 정보를 게시한 혐의자인 허 모
'4,145억 달러' 중국을 올 상반기 기계공업 화물무역 수출액이다. 한화로 무려 약 570조 3,520억 원에 달한다. 전년동기 대비 5.6%가량 늘어난 수치다. 과거와 같은 급격한 성장은 아니지만, '세계의 공장'이라는 명성을 유지할 수준이라는 전문가들의 평이다. 중국의 올 상반기 기계 공업 규모 이상 기업 부가가치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중국 당국의 성장률 목표를 웃도는 수치다. 9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밝힌 올 상반기 기계공업 규모 이상 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전체 공업보다 0.1% 높았다. 기계공업 화물무역 수출액은 4,145억 달러(약 570조 3,52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했다. 상반기 경제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발전하였다. 제품 생산 및 판매 역시 안정세를 이어갔다. 상반기 기계공업에서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한 122종의 기계 제품 중 75종이 전년 동기 대비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전체의 61.5%를 차지했다. 전기 장비 생산량이 크게 늘었으며, 상반기 발전기 세트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했고, 태양광 전지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했다
음식은 한 국가, 한 지역의 생활 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한 국가의 문화가 발전할수록 음식은 다양해지고, 정교해진다. 말 그대로 풍요와 번영의 상징이 한 나라의 음식 문화인 것이다. 대표적인 과거 중국식이다. 중국은 ‘책상 다리 빼고는 다리 달린 것은 다 먹는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다양한 식재료로 만드는 다양한 요리들이 있다는 의미다. 서민들이 먹는 일반 음식은 물론, 과거 중국의 귀족들이 먹던 예술 작품 수준의 요리들이 있다. 요즘 중국의 경제가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시작하면서 과거 예술 작품 수준의 요리들이 과거의 모습을 되찾고 있다. 또 다른 예가 바로 한국이다. 임금님 수라상도 있지만, 일반적인 서민음식은 정말 요리 방식이 단순한 냉면, 김치찌게, 떡볶이 등이 있었다. 하지만 경제가 발전하면서 같은 떡볶이라도 다양한 요리 방식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한국 문화의 국제화와 맞물리면서 ‘한식’을 대표하는 아이콘이 됐다. 냉면도 마찬가지다. 맑은 국물에 처음에 ‘이게 뭔가’ 싶던 냉면은 맑음 속에 감춰진 깊은 국물 맛이 일품인 명품 한식이 되고 있다. 이런 게 음식 문화다. 만약 글로벌 소비자들이 투표로 어느 나라의 음식이 맛있거나, 유명하다고
세상 모두가 바라는 게 있다. 뭘까? 금은보화, 명예, 직위 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이 모든 걸 한 번에 갖게 하는 게 있다. 뭘까? 바로 ‘성공’(成功)이다. 성공은 그 순간 원하는 걸 이룬다. 하지만 정말 그게 성공일까? 성공이란 우리가 원하는 걸 이루는 것일까? 대부분 경우가 그렇듯 사람들은 결과만 보길 좋아한다. 성공을 하면 그 결과가 원하는 걸 이루는 것이다. 하지만 결과만 안다고 성공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성공이란 게 뭔지 정확히 알아야 비로소 성공을 할 수 있다. 성공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공(功)을 이루는 것이다. 그럼 공이란 무엇인가? 공이라는 한자는 비교적 일찌감치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 갑골문자에 나온 공(工)과 력(力)이 만든 회의자 겸 형성자인 때문이다. 하지만 기록상 등장은 소전체에서 나온다. 소전은 진나라의 글씨다. 자형은 단순하지만, 그 의미가 깊고 깊은 때문 아닌가 싶다. 공(功)은 인간 존재적 가치의 개념이다. 기구를 써 힘, 노동(힘과 시간)을 더해 만들어진 부가가치에 대한 첫 개념이다. 자연이 주는 가치가 아닌 인간이 스스로 만든 가치다. 세상 만물 가운데 자연을 빼고 세상에 부가가치를 만드는 유일한 존재가 ‘인간’이다
생이 무엇이더냐? 있고, 없는 게 생이다. 없어야 있을 수 있고, 있어야 비울 수 있다. 이룸이 무엇이더냐? 어렵고 쉬운 게 이룸이다. 어려워야 쉬울 수 있고, 쉬워야 어려울 수 있다. 형태란 무엇이더냐? 길고 짧은 게 형태다. 길어야 짧아지고 짧아야 길어진다. 서로 다른 길이들이 만드는 게 모양이다. 같은 길이는 한가지 모양만 만든다. 화음이 무엇이더냐? 음 높이가 다른 음들의 어울림이다. 한 음으로는 노래를 만들 수 없다. 그럼 따른다는 게 무엇이더냐? 앞과 뒤가 같이 있어야 비로소 따를 수 있는 것다. 네가 앞이냐? 내가 뒤냐? 방향만 달리하면 내가 앞이고 네가 뒤다. 결국, 앞은 뒤의 다른 이름이요, 뒤는 앞의 다른 이름이다. 이 모든 게 항상 그렇다. 노자는 이 도리를 ‘항’(恒)라 부르고, 혹자는 이 도리를 ‘조화’라고 부른다. “有无相生,难易相成,长短相形,高下相盈,音声相和②,前后相随,恒也。” (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형, 고하상영, 음성상화, 전후상수, 항야) "유무가 같이 생을 만들고, 쉬음과 어려움이 같이 성공을 만든다. 길고 짧은 게 같이 모양을 만들며, 높고 낮음이 같이 채움을 이뤄진다. 소리와 소리가 겹쳐 화음을 이루며, 앞과 뒤가
올해 들어, 신장, 산시, 헤이룽장 등 여러 지역에서 ‘소량 요리’, ‘반인분 요리’를 도입하고 장려하는 캠페인을 시작해 중국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많은 음식을 해 남기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전통이 최근 일어나는 개인화 사회와 소량 소비 문화로 인해 새로운 전기를 맞을 지 주목된다. 일단 중국 관영 매체들은 적극 호응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할 일이 그렇게 없냐"는 냉소적 반응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이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일단 중국 매체들은 ‘소량 요리’, ‘반인분 요리’를 홍보하면 소비자들의 다양한 식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음식물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소량이라는 게 어느 정도가 소량인지, 그 분량이 정확하지 않고, 가격, 종류가 다양하지 않은 등으로 인해 소량 요리의 보급에는 여전히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고 중국 매체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 각계 각층의 공통된 노력이 필요하든 것이다. 중국 매체들은 우선, 관련 부서가 정책을 세분화하여 소량 요리의 보급을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단순히 캠페인에 그치지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