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명 높았던 일본의 생화학 실험 부대 '731부대'의 옛터가 발굴돼 공개됐다. 8일 하얼빈(哈爾濱)신문망 등 중국매체에 따르면 중국에서 일제 시기 생체실험 등을 했던 731부대 옛터 발굴과 관련된 자료 전시회가 열렸다. 일본의 731부대에서는 중국과 조선인 등 3천 명 이상을 대상으로 인체실험을 했다. 일본의 세균전 무기 개발·실행도 담당했다. 패전이 임박하자 일본은 증거를 없애기 위해 부대 시설을 폭파했다. 하지만 중국은 최근까지 이 부대 옛터를 발굴했고, 관련 자료들을 수집했다. 이렇게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중국 헤이룽장성은 이날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에 위치한 731부대 죄증(罪證·범죄증거) 진열관에서 '731부대 옛터 보호 성과' 특별전을 개막했다. 죄증 진열관은 당시 부대 부지에 설치됐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731부대 옛터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 보호유지, 연구, 환경정비 등을 통해 발굴된 유물 195점, 사진 554장, 문서 150건 등이 전시돼 당시 일본의 죄상을 말없이 증언했다. 발굴을 통해 중국 당국은 당시 일본 731부대의 핵심구역이 '사각형 모양 건물' 쓰팡러우(四方樓)였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 건물에는 세균 실험실과 특설 감옥 등으로 구
드디어 판다가 멸종 위기에서 벗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베이징(北京)일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야생 자이언트 판다의 개체 수 증가에 따라 판다의 위협정도 등급을 낮줬다. 생태환경부 자연생태보호국 관계자는 앞서 7일 기자회견을 갖고 "야생 자이언트 판다 개체 수가 1천800여 마리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는 멸종위기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한다. 이에 중국 당국자는 "위협정도 등급을 멸종위기종에서 취약종으로 낮췄다"고 말했다. 중국은 판다를 국가를 상징하는 동물로 지정하고 보호해왔다. 외교적 관계 진전을 위해 판다를 각국에 분양해주기도 해 '판다 외교'라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다. 이 같은 중국 정부의 노력이 결국 빛을 발한 것이다. 중국의 멸종위기 동물 보호 노력은 판다에 그치지만 않는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자연생태보호국 관계자는 "자이언트 판다뿐만 아니라 동북 호랑이(일명 백두산 호랑이)와 동북 표범, 아시아 코끼리, 따오기 등 일부 희귀 멸종위기종도 개체 수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야생동물 개체 수가 늘면서 산속의 야생동물이 도심을 찾아 시민들은 놀래키는 상황도 왕왕 발생하고 있다. 앞서 동북부 헤이룽장성에서는 지난 4월 야생 호
중국이 '7·7사변(노구교<盧溝橋> 사건)' 기념일을 맞아 애국주의를 재차 강조하고 있다.올해는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이 되는 해다. 노구교 사변은 일본이 중국 침략전쟁을 일으키는 구실로 삼은 사건이다. 창당 100주년을 맞아 과거의 굴욕을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 중국 당국의 의지가 자연스럽게 애국주의 고취로 이어지는 것이다. 8일 중국신문망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7일 중국 각지에서는 7·7사변 84주년 기념행사가 열려, 항일 정신을 되새겼다. 7·7사변은 지난 1937년 7월 7일 발생했다. 중일 양국 군대가 베이징(北京)의 노구교에서 충돌한 사건인데, 전쟁을 준비해온 일본의 자자극으로 알려져 있다.사건 직후 일본군은 본격적인 침략을 개시했다. 순식간에 노구교 지역을 점령하고 베이징과 톈진(天津) 등을 공격했다. 청일 전쟁 직후 만주 일대를 점령했던 일본이 중국 침략의 야심을 본격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중국은 시진핑 정권 들어 이 노구교 사건을 중시해 기념하고 있다. 이날 특히 난징에서는 '평화의 종'이 울리는 가운데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다.난징은 중일전쟁 당시 3만명이 학살된 곳이다. 난징의 학살 기념관에는 3만명의 영혼을 물방
중국의 60세 이상 노년층 인구가 오는 2025년에는 3억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됐다. 소득도 늘고, 무엇보다 모바일 문화에 밝은 노년층 인구들로 분석됐다.이에 따라 중국의 실버산업이 폭발적인 성장이 예고된다.6일 중국 언론 등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65세 이상 노년층 인구는 1억9천64만명이었다. 이는 전체 인구의 13.5%에 달하는 수치다.이 노년층 인구는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다. 본래 중국인들은 보양을 중시하는 게 전통적인 관습이다.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는 이날 '중국의 노인인구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 2025년에는 60세 이상 인구가 3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체 인구의 대략 35%가량에 해당한다. 보고서는 지난해 기준 자녀와 따로 사는 노년층 1억2천만명이라고 추산했다. 이중 혼자 사는 노인은 2천500만명이 넘는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무엇보다 월 소득이 1만 위안(약 175만원)이 넘는 노인 인구도 2017년 1천600만명에서 2022년에는 2천200만명으로 늘 전망이다.특히 노년층의 모바일 사용 시간도 늘었다. 지난해 5월 기준 중국 노년층의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 시간은 40세 이상 연령층보다 16.2분
중국 최고의 호흡기 질병 권위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을 막기 위해 밀접접촉자의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지금도 역학조사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강하게 하고 있다. 전염병 방지에 역학조사는 가장 기본적인 대응이다. 어떤 경로로 전염병이 퍼지는 지 여부를 확인하면 전염의 고리를 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처럼 확진자 직전의 전체 활동 내역이 공개되면서 개인 인권이 지나치게 침해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7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중난산(鐘南山) 중국공정원 원사는 최근 CCTV와의 인터뷰에서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독성이 강하고 전염성이 매우 높아 기존의 밀접접촉자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광둥(廣東)성에서 진행한 자신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잠복기가 짧아 2∼3일 이내에 발병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밀접접촉자의 범위를 확대하는 등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중국 방역당국은 코로나19 확진자와 발병 이틀 전까지 함께 한 가족이나 사무실 동료를 비롯해 1m 내에서 식사나 회의한 사람을 밀접접촉자로 분류하고 있다. 중 원사는 "델타 변이 바이러
21명의 사망자를 낸 지난달 중국 산악 마라톤 사고는 부실한 대회 운영과 사고 대응이 부른 인재(人災)라는 중국 당국의 조사 결과 보고서가 나왔다. 27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간쑤(甘肅)성 정부는 최근 발표한 산악 마라톤 참사 조사 결과 보고서에서 강한 비바람과 우박 등 악천후로 중국 최고의 마라톤 선수들이 견디지 못하고 쓰러졌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대부분 선수가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지 않은 데다 영하 5도의 온도에서 고통을 겪었기 때문에 극단적인 날씨가 참사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대회 주최 측은 일기예보에도 불구하고 조기 경보를 제대로 발동하지 않았고, 비상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결함과 부실 운영이 비극을 가중시켰다고 밝혔다. 또 행사 관리 부서도 충분한 안전 관리 감독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대회 주최 측의 비상 대응 계획이 발동되지 않아 선수들을 구하기 위한 긴급구조대 투입이 늦어졌다고 당국은 파악했다. 이밖에 경기장의 열악한 의사소통과 의료인력 부족 등도 비극을 키웠다고 당국은 설명했다. 지난달 22일 간쑤성 황허스린(黃河石林) 지질공원 일대에서 열린 100km 산악마라톤 대
중국이 6월말까지 인구 40%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도록 한다는 목표를 달성했다. 중국중앙방송(CCTV)은 지난 25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발표를 인용해 중국에서 백신을 맞은 사람이 6억3천만명 이상이라고 26일 보도했다. CCTV는 "이는 전체 인구 대비 접종률이 40%를 넘었다는 것을 뜻한다. 집단면역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은 6월말까지 14억 인구의 40%에 대해 백신 접종을 마친다는 목표를 세웠었다.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누적 횟수는 지난 24일까지 11억2천만회에 이르렀다. 백신 생산량이 증가하고 일부 지방의 지역사회 감염 확산으로 경각심이 높아지자 백신 접종 횟수는 부쩍 늘었다. 지난 24일 하루에만 2천470만회의 접종을 기록했다. 중국의 다음 목표는 연말까지 14억 인구의 70%를 접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목표 달성이 집단 면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샤오이밍(邵一鳴)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 연구원은 지난 21일 CCTV 인터뷰에서 "백신의 면역 효능이 100%라면 집단면역 달성을 위한 최소 접종 기준은 인구의 66%지만, 중국에서 사용 중인 백신의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집단 공중 쇼를 벌이던 드론 중 수십 대가 추락하면서 아래를 지나던 유람선에 타고 있던 관광객이 다치는 사건이 벌어졌다. 25일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등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온 목격담과 영상을 종합하면, 중국의 단오절 연휴 마지막 날인 지난 14일 밤 유명 관광지인 상하이 황푸(黃浦)강변 와이탄(外灘)에서 공중 쇼를 벌이던 드론 중 수십대가 갑자기 통제력을 잃고 강물 위로 자유낙하 하듯이 떨어졌다. 추락한 드론은 아래를 지나던 유람선 위에 집중적으로 떨어졌고 유람선에 타고 있던 한 남성이 드론에 머리를 맞아 상처를 입었다. 인터넷에 퍼진 영상 속에서 조명을 밝힌 드론 수십 대가 마치 폭격을 가하는 것처럼 유람선 위로 우수수 떨어졌다. 이 사건은 당초 중국에서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중국의 대표적인 드론 업체인 이항(億航)이 최근 이번 사고와 자사의 연관성이 없다는 취지의 성명을 내면서 다시 주목받게 됐다. 이항 측은 23일 밤 발표한 성명에서 이번 드론쇼 사고를 낸 업체인 '이항첸지(億航千機)문화미디어'라는 회사가 자사와 관계가 없는 회사이며 이번에 사고가 난 드론이 자사 제품과 기술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
중국 인민은행이 불법으로 규정된 가상화폐 거래소와 관련된 자금을 색출하기로 했다. 인민은행은 21일 오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일부 은행 등 금융권과 알리페이 등 지급결제 기관이 가상화폐 투기에 이용되는 문제와 관련해 웨탄(約談)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웨탄은 정부 기관이 감독 대상 기관 관계자들이나 개인을 불러 공개적으로 질타하고 요구 사항을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웨탄에는 공상은행, 농업은행, 건설은행, 우정저축은행, 싱예(興業)은행 등 대형 은행들과 알리바바그룹이 운영하는 중국 최대 전자결제 서비스인 즈푸바오(付寶·알리페이) 법인 관계자들이 불려왔다. 인민은행은 “가상화폐 거래는 정상적인 금융 질서를 저해하고 불법 해외 자산 이전, 돈세탁 등 범죄 행위를 낳는다”며 각 은행과 지급결제 기관은 계좌 제공, 청산·결제 등 서비스를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인민은행의 이번 조치로 중국인들이 전처럼 당국의 규제를 피해 비트코인 등 음성적인 가상화폐 거래를 하기가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부유층들은 당국에 노출되지 않고 해외에 거액을 송금하는 등의 목적으로 비트코인 같은 가상화폐를 거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4대 국유은행 가운데 하나인 농업은행은
지난달 중국 서북부 깐쑤성 바이인 시의 칭타이 현 ( 白银 市 景泰 县)에서 열린 산악마라톤 대회에 참가했다, 우박등 악천후로 인한 기온급강하고 , 참가 선수 172명 가운데 무려 21명이 동사했던 사건에 대해, 중국당국이 오늘 11일 관련자에 대한 조사와 처분결과를 발표했다. 중국신문왕등 다수매체들에 따르면, 깐쑤성 인민정부 ( 甘肃省 人民政府)는 지난 달 22일 이후 20일 동안에 걸쳐, 대회관련자 약 50명에 대한 강도높은 조사를 벌여 , 대회관계자인 민간인 5명을 구속하고, 개최지의 바이인 시와 징타이 현의 공무원 27명에 대해 직급들을 최대 3 급씩 강등조치하는 등의 중 징계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날 발표에 따르면, 개최지 인 바이인 시의 당위원회 서기와 부서기이자 시장, 그리고 부시장등에게 일률적으로 최고단계의 정무경고처분이 내려졌고, 24명의 주요 간부들의 보직을 박탈하고 직급을 최고 3단계씩 강등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날 발표 이틀전인 지난 9일 , 대회지인 바이 인시 징타이 현의 현 당 서기로서, 21명의 사망자들의 가족들과 사후 보상문제를 협의해 왔던 리 쭈어삐 현장이 , 협상의 난항에 비관해 자택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