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조 3258억 위안' 한화로 약 2272조 원이다. 중국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업종의 4만 개에 육박하는 기업들의 지난 2023년 이익 총액이다. 중국의 IT 업종 성장이 여전히 드세다. IT 업종은 글로벌 산업 생태계에서 업스트림 지위를 누리고 있다. 1차 농수산목축업, 2차 제조업, 3차 서비스업에 이은 4차 산업으로 불린다. 중국은 물론 세계 주요 산업국들이 산업 발전의 파일럿으로 삼고 있는 업종이다. 중국이 발빠르게 글로벌 산업 생태계의 헤드를 선점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가 최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이하 소프트웨어 산업)'의 규모이상 기업은 3만 8000개를 넘어섰다. 또 소프트웨어 산업의 연간 매출액은 12조 3258억 위안(약 2272조 원)으로 전년 대비 13.4% 성장했으며, 연간 이익은 전년 대비 13.6% 증가한 1조 4591억 위안(약 269조 원)으로 집계됐다. 부문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정보기술 서비스 부문은 8조 1226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4.7%, 클라우드 서비스 및 빅데이터 서비스 부문은 1조 247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
'3.4%' 지난 2023년 중국 IT(전자정보) 산업의 전년 대비 성장률이다. 중국 정부가 반도체 자립 목표를 내세우며 기업들을 적극 지원했지만 미국의 강력한 제재가 먹힌 것으로 보인다. 성장률이 중국 경제 성장 목표치 대비 1%포인트 이상 낮다. 중국 최대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의 성장이 없었으면 이나마도 어려웠을 수 있어 보인다는 게 전반적인 시장의 평가다. 중국은 과연 미국의 제재를 극복하고 IT 산업의 굴기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중국의 미래가 달린 문제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가 지난해 전자정보 제조업 운영 현황 보고서를 12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전자정보 제조 생산은 회복세로 돌아섰으며 수출 하락폭도 줄어들었다. 중국측 보고서여서 그마나 회복세라는 평가가 붙었다는 게 글로벌 시장 분석가들의 지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중국의 규모이상 전자정보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성장률은 공업보다 1.2%p 낮지만 첨단기술 제조업보다 0.7%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용 스마트폰 시장이 확대된 것이 유효했다. 중국 당국의 노력이 결실을 본 셈이다. 지난해 휴대폰은 전년 대비 6.9% 증가한
중국 본토 증시에서 거래되는 A주(China A-Shares) 상장사 2808개 기업의 2023년도 실적 잠정치가 최근 공개됐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Wind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상하이, 선전 증권거래소의 A주 2808개 상장사 중 617개 사는 전년 대비 실적 향상, 20개 사는 실적 유지, 373개사는 흑자전환, 158개사는 다소 성장이라고 밝혔다. A주 상장사 가운데 40%가 넘는 1168개 기업이 ‘희소식’을 알려온 것이다. A주 상장사들의 전년 대비 성장폭을 살펴보면 54.99%에 달하는 1544곳의 회사가 2023년 순이익이 플러스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특히 709개 사는 순이익이 전년 대비 100%를 넘어설 것으로 조사됐다. 순이익이 전년 대비 10배에 달할 것이라고 밝힌 기업도 34개에 달했다. 리장주식회사(丽江股份), 후이성환보(惠城环保), 간넝주식회사(赣能股份) 등이 순이익 증가폭 순위 1~3위를 차지했다. 순위별로 순이익 추정치를 살펴보면 리장주식회사가 2억 1500만 위안(약 397억 원)~2억 4000만 위안(약 443억 원), 후이성환보가 1억 3600만 위안(약 251억 원)~1억 5600만 위안(약 288
오를 것인가? 가라앉을 것인가? 중국 경제 그것이 문제로다. 말 그대로 햄릿 경제다. 중국 경제의 현재 모습이다. 침체와 회복의 길목에서 아직도 헤매고 있다. 2년을 그렇게 허비하고 있다. 많은 개선을 의미하는 지표들이 나오고 있지만, 지난 2023년 지방 정부 발표 지표들이 상승과 하락의 방향을 바꾸는 정도의 수치 오류가 있었음이 증명되면서 중국 정부 발표 수치들에 대한 신뢰도는 더욱 바닥으로 떨어진 상태다. 침체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 경제에 대한 실망도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8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8%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 CPI 하락폭(-0.8%)은 2009년 8월(-1.2%)과 9월(-0.8%) 이후 14년만에 가장 많이 떨어진 것이다. 중국 CPI는 지난해 7월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하며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8월 0.1% 상승하며 반등했으나 10월부터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1월 비식품 물가는 0.4% 상승했으나 식품 물가가 5.9%나 떨어져 하락세를 주도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돼지고기(-17.3%) 가격이 급락한 가운데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 설) 연휴가 다가오면서 중국내 항공권 주문이 폭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대의 여행그룹인 중국인들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인들은 글로벌 여행산업의 최대 고객이다. 그 수가 워낙 많기도 하지만, 중국인들의 소비 규모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인들은 여행을 하면서 주변사람들의 돈을 모아, 쇼핑을 대신해준다. 어린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스스로 여행경비를 벌기도 한다. 자연히 현지를 찾으면서 각종 명품에 대한 소비를 하게 된다. 여행을 떠나면서 위탁받은 물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이제 이런 중국 관광객들이 설을 맞아 대대적인 이동을 시작한 것이다. 7일 중국 항공정보 앱 '항반관자(航班管家, Flight Manager)'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으로 중국 국내 항공권 예약은 지난해 대비 130%, 2019년 대비 201% 증가했다. 항공권 운임 측면에서 살펴보면 올해 춘제 연휴기간 중국 국내 항공권(이코노미 클래스)의 평균 가격은 910위안(약 16만 7000원)으로 작년보다 7%, 2019년 대비 2.7% 상승했다. 또 올해 춘제 연휴기간 인기 항공 여행지로는 베이징(北京), 청두(成都), 상하이(上海), 항저우(杭州
'차세대 정보기술, 첨단 설비 제조, 신에너지 신소재, 현대 해양 산업, 실버 헬스케어, 첨단 화학공업, 현대 농업, 프리미엄 관광 산업, 현대 금융 서비스, 현대 경공 방직업' 중국 산둥성이 내세우는 지역내 10대 주요 산업이다. 산둥성은 이들 산업을 집중으로 육성해 지역 발전을 꾀한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10대 산업들의 지난 2023년 한 해 전년 대비 매출 성장률이 6%에 육박했다. 중국 산둥성 정부가 6일 발표한 '2023년 산둥성 세수(稅收)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산둥성 10대 산업(十强产业 - 차세대 정보기술, 첨단 설비 제조, 신에너지 신소재, 현대 해양 산업, 실버 헬스케어, 첨단 화학공업, 현대 농업, 프리미엄 관광 산업, 현대 금융 서비스, 현대 경공 방직업)의 매출이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특히 차세대 정보기술(11.6%), 첨단 설비 제조(14.6%), 현대 해양 산업(11.0%), 프리미엄 관광 산업(18.7%), 현대 금융 서비스 산업(19.2%) 부문이 성장을 주도했다. 디지털 경제 핵심 산업의 매출 수익은 전년 대비 6.8% 증가하였으며 특히 소프트웨어와 정보 기술 서비스업(16.5%), 인터넷 서비스업(15.
'8.7%' 지난 2023년 중국 기계공업 부가가치의 전년 대비 증가폭이다. 현재 중국 경제는 침체와 회복의 두 가지 신호를 모두 보내고 있다. 부동산 경기만 보면 중국 경제는 침체가 확실해 보이지만, 다른 산업의 전년 대비 성장세를 보면 코로나19 불경기를 딛고 회복하는 모습이 분명하다. 하지만 글로벌 경제 분석가들은 중국 당국의 통계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실제 지난 2023년 중국 각지의 GDP 수치를 보면 오류가 많다. 일단 중국 기계공업 관련 단체가 통계를 낸 부가가치는 9%에 육박하는 성장을 했다. 중국기계공업연합회(中国机械工业联合会, CMIF)가 5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기계공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8.7% 증가했다. 예딩다(葉定達) 중국기계공업연합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지난해 중국 기계공업은 안정적으로 성장했을 뿐 아니라 성장 동력과 무역 구조도 질적으로 개선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중국 기계공업 부가가치 증가율은 중국 전체 공업의 성장세(4.1%p) 및 제조업의 성장세(3.7%p)보다 높았다. 기계공업의 핵심 분야가 관련되어 있는 5대 산업의 부가가치가 모두 증가하였는데 특히 전기 기계와 자동차가 성장을
지난해 글로벌 금 수요가 13년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중국내 금 장신구 소비액 또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세계금협회(WGC)가 최근 발표한 '글로벌 금 수요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금 수요는 총 4899t으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제 금 가격은 2023년 내내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등락세를 보였다. 지난해 평균 금 가격은 온스당 1940.54달러로 2022년 대비 8%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중국내 금 장신구에 대한 수요는 전년 대비 10% 증가한 630t에 달했고, 금 가격 인상으로 인해 중국내 금 장신구 소비액은 2820억 위안(약 51조 9528억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왕리신(王立新) 세계금협회 중국 CEO은 올해 1분기의 금 장신구 수요는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 설) 연휴로 인해 반짝 늘어날 수 있지만 금 가격 인상, 경제 성장 둔화, 혼인 예물용 금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이후 꺾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4분기 중국내 금 장신구 수요는 148t으로 전기 대비 4% 하락했다. 이는 최근 10년간 4분기 평균값인 170t보다 17% 줄어든 수치이다. 한편 중국 인민은행
지난해 중국 서비스 무역액이 전년 대비 10% 증가한 6조 5754억 위안(약 1,219조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글로벌 경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다. 현 글로벌 경제 질서는 미국의 경제 규모가 글로벌 경제에서 50% 이상을 차지할 때 만들어진 것이다. 당시 미국은 금본위 제도를 토대로 글로벌 경제를 주도했지만, 사실상 금 태환 요구를 들어주지 못하면서 부도를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마불사'로 글로벌 각국은 미국 정부의 약속만으로 미국 달러 통용을 인정하는 조치를 취한다. 그것이 오늘날 글로벌 통화질서인 '브레튼우즈 체제'다. 1일 중국중앙TV(CCTV)가 상무부 자료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서비스 수출액은 전년 대비 5.8% 하락한 2조 6856억 위안(약 498조 원), 수입액은 24.4% 증가한 3조 8897억 위안(약 721조 원)을 기록해 무역 적자가 1조 2041억 위안(약 223조 원) 발생했다. 상무부는 지난해 지식집약형 서비스 무역이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지식집약형 서비스 무역액은 전년 대비 8.5% 증가한 2조 7193억 위안(약 504조 원)을
중국의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가 3개월 만에 반등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경기 회복을 의미하는 50을 넘지는 못했다. 중국 경제는 침체와 회복의 갈림길에서 배회하는 상황이다. 제조업 PMI는 그 동안 수개월간 줄곧 하락해 침체 우려를 더했다. 그나마 추세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중국 경제를 지켜보는 이들에게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31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월 제조업 PMI는 전월 대비 0.2 상승한 49.2를 기록했다 제조업 PMI를 구성하는 13개 하위지수를 보면 전월 대비 생산지수, 신규수주지수, 신규수출주문지수, 완제품재고지수, 구매량지수, 수입지수, 공급자배송시간지수가 상승했다. 반면 잔고지수, 구매가격지수, 공장가격지수, 원자재재고지수, 직원지수, 생산운영활동기대지수는 하락했다. 산업 부문별로 보면 장비 제조업 PMI는 50.1%로 전월보다 0.1%포인트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5개월 연속 확장세를 유지했다. 첨단기술 제조업 PMI는 51.1%로 전월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재 제조업 PMI는 50.1%로 전월보다 0.7%포인트 상승했다. 기초원자재산업 PMI는 47.6%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해 2개월 연속